•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Production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7초

문자그래픽 시각인지도 분석에 따른 HDTV시청환경 개선 연구 (Improving Watching HDTV Environment by Analyzing Visual Perception of Character Graphics)

  • 이국세;문남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583-589
    • /
    • 2009
  • HDTV의 새로운 기술은 맑고 뚜렷한 방송영상과 다중음향 사운드를 제공하며 방송의 기대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HDTV의 고품격화는 기존의 TV에 비해 4배나 높은 해상도와 16:9 와이드 화면 제공이 큰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같은 방송시청의 환경변화는 특히 문자그래픽(Character Graphic)이 단지 영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쓰였던 보조적 수단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여주는 시각적인 요소로 자리잡게 하였다. 따라서 TV화면의 대형화와 영상의 고품질화에 적합한 글자표현을 위해 문자의 글꼴, 크기, 색상, 이동속도 등 문자의 속성에도 다양한 변화가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제작과정의 역할에 따라 전문가 그룹을 세 그룹(아트 디렉터, CG 디자이너, 제작 및 송출기술)으로 나누어 두 차례 실시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방송시청의 환경변화에 따른 문자그래픽의 시각적 요소 및 시각 인지도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OSMU 환경에 따른 매체로의 변형이 가능한 문자그래픽의 제작기준과 개선방향을 제안한다.

  • PDF

해외 한국어 방송사 실태 분석 및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A Study for Analyzing Status of Korean Minority Media Market and Promoting its Competitiveness)

  • 이문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86-695
    • /
    • 2017
  • 재외동포 사회의 성장과 함께 참정권이 부여되면서 해외 한국어 방송의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다. 해외 한국어 방송은 무엇보다 한민족의 문화와 언어, 민족 정체성 확립 및 계승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현지 매체로서 한류 확산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해외 한국어 방송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현지 미디어 시장의 변화와 함께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해외 한국어 방송사들은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지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미국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한국어 방송사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현지 사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방송사의 한국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으나, 모국으로부터의 프로그램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상파 채널들의 직접 진출로 한국 프로그램은 방영 여부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한국어 방송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방송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콘텐츠 제작사로서의 경쟁력도 확보하기 위해 한국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제작 등을 통한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DACUM 기법에 의한 영상편집자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Video Editors Based on the DACUM Method)

  • 송화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95-104
    • /
    • 2007
  • 방송환경이 HD 콘텐츠 제작 환경으로 변화되어 감에 따라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전문 인력 양성과 새로이 요구되는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에 의해 영상편집자의 직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방송영상분야 영상편집자의 직무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직무분석에서는 영상편집자의 직무를 구성하는 9개의 임무와 각 임무영역을 구성하는 71개의 작업이 도출되었으며, 교육 요구도 분석을 위해 각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입직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작업이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직무분석 내용을 구조화하여 데이컴 리서치 차트를 완성함으로써 방송영상분야 영상편집자의 직무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영상편집자의 직무 모형은 방송 영상분야 영상편집 교육과정 개발 및 직무 연수 내용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 방송 콘텐츠 수출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실증 연구 (The Impact of Cultural Differences Upon the Export of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 An Empirical Approach)

  • 김태하;오민진;김태준;임병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9권4호
    • /
    • pp.171-184
    • /
    • 2012
  • We suggest that cultural differences among nations sh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 exports of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due to the fact th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contents are influenced by their own cultural aspects. Based o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frequently cited in the literature, we perform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impact of cultural dimensions upon the export amounts by investigating four-year export data of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In our research model,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and GDP per capita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a genre of broadcasting contents i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We find in our analysis that three cultural dimensions such as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masculinity significantly affect the export amount but do not find the impact of power distance.

디지털방송 콘텐츠 재사용을 위한 효율적인 시간정보 보정 방법 (Efficient Time Information Correction for Reus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 배병준;김윤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10
  • DTV, IPTV, DMB 등 다양한 디지털방송 매체가 등장함에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비용 및 초기 디지털방송 시장을 고려해 볼 때, 제작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재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각각의 디지털방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 지정된 전송율을 맞추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콘텐츠 내의 시간정보가 틀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틀어진 시간정보를 보정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연산량을 줄여서 구현이 용이하며, 그로 인한 송신시스템에서의 콘텐츠의 전송 지연 시간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MPEG-4 기반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 시스템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 이인재;기명석;김욱중;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The MPEG-4 standard, which aims to provid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tool, has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communications, interactive broadcasting as well as from mixed service model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convergence. Due to the feature of object based coding, it has been considered that MPEG-4 is the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 production. This feature is suitable for creation of the content which provides multiple views of object or scene in interactive mann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multi-view visual content into two types: panoramic multi-view content and object multi-view conten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ng system for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is presented.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urther deployment of MPEG-4 content to various interactive applications.

  • PDF

MPEG-4 IPMP Authoring Tool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s

  • Kim Kwang-Yong;Kim Jae-Gon;Hong Jin-Woo;Kim Chang-Su;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4호
    • /
    • pp.195-200
    • /
    • 2005
  • The MPEG-4 standard is aimed to defin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standar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interactive broadcasting. Since a broadcasting program is created on the basis of its objects, it is considered that MPEG-4 is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s production and it can be retrieved in terms of its properties. But, there is no system that protects the copyright of digital contents and manages copyright and possibility that contents producer and author's copyright receives infringement at process that exchange contents mutually rose very. Therefore, we need to control and distribute contents according to user's permission right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IPMP for copyright and protection of MPEG-4 contents. The main features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o provide an MPEG-4 compliant IPMP authoring system in a plug-in type along with standardized interfaces, which is to be able to incorporated into an existing MPEG-4 content authoring system. In this way, it is capable of authoring content to the MP4 file format while accommodating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a unified way. Furthermore, it also allows a user to edit and/or author IPMP information in a more efficient way by offering form based user interfaces.

통방 융합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모델 (A Service Model for Multimedia Contents in Communication & Broadcasting Converged Environment)

  • 김광용;김재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43-6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방송망과 통신망이 연동되어 있는 통신 방소 융합 환경하에서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을 가지고 있는 최종 소비자(End-user)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해 주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이 서비스 모델의 특성은 End to End(E2E) media QoS와 소비자 맞춤형 콘텐츠 소비 제공으로써 콘텐츠의 제작에서 적응, 전달, 그리고 최종 소비자에게 맞춤형 콘텐츠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유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안된 서비스 모델은 미래의 통방융합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통을 위한 참조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KBS의 공보 방송 모형적 성격에 관한 연구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Public Broadcasting or Publicity Broadcasting? An Analysis of KBS News Coverage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 김수영;박승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1권
    • /
    • pp.225-271
    • /
    • 2017
  • 본 논문은 KBS의 언론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분석했다. 부동산 분야는 국민의 기본권인 동시에 경제적 사회적 이해가 충돌하는 공적 의제라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다. 분석 결과 첫째, KBS 뉴스룸은 뉴스 선별 과정에서 시민에 대한 봉사보다 시청률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뉴스를 제공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KBS 뉴스룸은 정부 출입처의 보도 자료에 의존하는 취재 관행 속에서 정부 발표를 부각시키고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KBS 뉴스는 1분 30초 이하의 도식적 뉴스 형식의 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감시와 다양한 여론 전달이라는 공익적 역할은 경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KBS는 공영 방송을 표방하고 있지만 오랜 역사에 걸쳐 정착되어온 내부 관행을 통해 닫힌 공보 뉴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를 대표하고, 공적 의제에 대한 토론장의 제공과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보다는 정부를 홍보하고 특권층을 옹호하는 '공보 방송 모형'에 부합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국내방송장비 수요처와 공급자의 구매인식 비교 연구 (A Comperative Study on Purchase Recognition between Domestic Broadcasting Equipment Demanders and Suppliers)

  • 윤명진;조용석;이선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9-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텐츠 생산 및 유통방식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방송장비 구매 수요처의 절대적인 장비구매 인식을 비교하였으며 이에 수요자가 지각하는 국산 방송장비의 기술 신뢰도, 시스템 안정성 등의 정보의 정도가 장비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방송 장비 수요에 관한, 기존 연구 데이터의 미진함으로 인하여 방송장비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외산장비에 비해 국내 장비의 단품구매와 시스템, Block구매의 경우가 많아 호환 경쟁력이 미흡하고 기술발전이 늦다. 국내 방송장비수요처가 인식하고 있는 국산방송 장비에 대한 선호, 만족도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기술 신뢰도 증진과 핵심 주요장비의 개발이 시급하며 소출력 송신기 안테나, 모니터장비에 국한되어있는 국산 장비의 공급을 확장하기 위한 개발이 시급하고 해외진출과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국내육성 지원도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