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Image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25초

신뢰확산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해상도 영상에서 깊이영상의 생성과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Processing of Depth Map for Multi-resolution Image Using Belief Propagation Algorithm)

  • 지인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01-208
    • /
    • 2015
  • 3차원 입체 방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실세계에 존재하는 한 사물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알고리즘인 신뢰확산(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을 다해상도 영역에서 적용하여 3차원 정보의 근간이 되는 변이(disparity) 영상이나 깊이(depth)영상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뢰확산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여러 번의 반복을 통하여 변이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갱신하게 되어 많은 연산량과 넓은 탐색영역으로 인하여 성능의 수렴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다해상도 변환은 공간영역과 주파수영역 모두에서 우수한 해상도를 갖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정합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TV스포츠 중계방송 제작 방향에 관한 연구 - 골프중계방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rections for Developing TV Sports Relay Broadcasting - With a focus on golf relay broadcasting on TV -)

  • 양진면;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63-564
    • /
    • 2011
  • 본 연구는 TV스포츠 중계방송 중에서 골프중계방송제작에 필요한 영상제작구성과 스포츠 중계방송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Fast Algorithms for Binary Dilation and Erosion Using Run-Length Encoding

  • Kim, Wook-Joong;Kim, Seong-Dae;Kim, Kyu-Heon
    • ETRI Journal
    • /
    • 제27권6호
    • /
    • pp.814-817
    • /
    • 2005
  • Fast binary dilation and erosion algorithms using run-length encoding (RLE) are proposed. RLE is an alternative way of representing a binary image using a run, which is a sequence of '1' pixels. First, we derive the run-based representation of dilation and erosion and then present the full steps of the proposed algorithms in detail.

  • PDF

A Fast Block Mode Decision Scheme for P- Slices of High profile in H.264/AVC

  • Kim, Jong-Ho;Pahk, Un-Kyung;Kim, Mun-Churl;Choi, Jin-So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142-147
    • /
    • 2009
  • The recent H.264/AVC video coding standard provides a higher coding efficiency than previous standards. H.264/AVC achieves a bit rate saving of more than 50 % with many new technologies, but it is computationally complex. Most of fast mode decision algorithms have focused on Baseline profile of H.264/AVC. In this paper, a fast block mode decision scheme for P- slices in High profile is propos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H.264/AVC because the High profile is useful for broadcasting and storage applications. To reduce the block mode decision complexity in P- pictures of High profile, we use the SAD value after $16{\times}16$ block motion estimation. This SAD value is used for the classification feature to divide all block modes into some proper candidate block modes.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average speed-up factors of 47.42 ${\sim}$ 67.04% for IPPP sequences.

  • PDF

ISMP: 집단지성 기반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mage Sheard Market Platform)

  • 심규성;정용은;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 기반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된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의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된 이미지 공유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집단 지성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므로 기존의 플랫폼보다 매우 낮은 가격으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제안된 이미지 공유 플랫폼은 효과적인 웹 접근성을 제공 하므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 누구나 이미지들을 편리하게 접근하고, 자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된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은 효과적으로 이미지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텍스쳐 분류 및 검출을 위한 강인한 특징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bust Feature Image for Texture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 김영섭;안종영;김상범;허강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3-1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 대한 공간 특성(Spatial properties) 및 통계적 특성(Statistical properties)을 포함한 특징이미지를 구성하고, 지역 분산 크기를 이용한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여 텍스쳐 분류에 이용함으로서 조도(illumination) 및 노이즈(Noise) 그리고 회전(Rotation)에 강인한 텍스쳐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영역 합계의 빠른 연산을 위해 사용된 중간 이미지 표현인 적분 이미지(Integral Image)를 이용함으로서 텍스쳐 검출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브로다츠(Brodatz) 질감 이미지를 이용하여 잡음 추가 및 히스토그램 명세화 그리고 회전 이미지를 생성하여 실험하였으며, 96% 이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닮은꼴을 이용한 영상구현 임계값설정과 정지영상 복원법 (Establishment Threshold Value of Image Realization & Reconstruction of Stoppage Image using Picture Resemblance)

  • 진현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7-1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영상 디코더에서 영상데이타를 디코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정지영상 처리기에서는 허프만 코드화 처리를 하여 제1영상을 부호화한후 분할기반 부호화 방식의 연속영상 처리기법을 사용하였으나 작은화면의 코드화시에도 많은 계산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이미지의 닮음정도를 객관적수치로 표현할 수 없어서 비슷한 이미지를 중복 코드화 및 전송 작업을 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닮음정도를 수치화하고 기준값 이하의 영상은 코드화 작업을 하지않고 계산된 영상 변화값에 의해 구현된 영상으로 대체하여 저장 및 전송하도록 저장용량의 감축 및 시각적으로 전혀 거부감이 없는 정지영상을 구현하였다.

계층적 깊이 영상으로 표현된 다시점 비디오에 대한 H.264 부호화 기술 (H.264 Encoding Technique of Multi-view Video expressed by Layered Depth Image)

  • 신종홍;지인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3-51
    • /
    • 2014
  • 깊이 영상을 고려한 다시점 비디오는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 때문에 저장과 전송을 위해서 새로운 부호화 압축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계층적 깊이 영상은 다시점 비디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이 된다. 이 방법은 다시점 칼라와 깊이 영상을 합성하는 데이터 구조를 만들어 준다. 이 새로운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압축하는 방법으로 3차원 워핑을 이용한 계층적 깊이 영상 표현과 비디오 압축 부호화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계층적 영상 표현을 사용한 H.264/AVC 비디오 부호화 기술의 개선된 압축 방법을 제시하여 준다. 컴퓨터 모의시험으로 좋은 압축율과 좋은 성능의 회복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지속적 호몰로지를 이용한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법 제안 (Proposal of Image Segmentation Technique using Persistent Homology)

  • 한희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23-22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각 연결성분들의 위상적 지속구간 정보를 그래프 기반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에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이미지의 밝기 또는 색상정보 등을 이용하여 모스 함수를 정의하고 이의 레벨세트로부터 각 연결성분의 위상적 지속구간을 구한다. 각 연결성분이 생성되고 긴 지속구간을 갖는 연결성분에 적절히 병합되는 과정을 영 차원 호몰로지 군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다양한 특성을 갖는 이미지들에 대하여 짧은 지속구간을 갖는 연결성분들을 지속구간이 긴 인근 성분에 적절히 병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결과들 얻을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한다.

적응적 가중치와 문턱치를 이용한 의료영상의 화질 향상 (Medical Image Enhancement Using an Adaptive Weight and Threshold Values)

  • 김승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5-21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과 Haar 변환을 기반으로 적응적 문턱치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의료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째, 화질이 저하된 의료영상에 대해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고 분해된 고주파 밴드에 대해 Haar 변환을 수행한다. 둘째, 고주파 각 밴드에 대해 적응적 문턱치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셋째, 잡음이 제거된 고주파 밴드에 대해 적응적인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수를 향상한 후, Haar 역변환 및 웨이블릿 역변환을 수행하여 복원영상을 얻는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복원된 영상의 화소 값의 범위가 좁아졌으므로 비선형 히스토그램 평활을 이용하여 화소 값의 범위를 조절하고 명암 대비가 좋은 향상된 영상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