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 mit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씨크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와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의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Study on Cyclamen Mite (Phytonemus pallidus) and Broad Mite (Polyphagotarsonemus latus))

  • 조명래;정순경;이원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3-439
    • /
    • 1993
  • 먼지응애류 중 농업상 가장 중요한 씨크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와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의 분류 및 형태적 특징에 관하여 기재하였고 각 종별로 암, 수컷의 복면 및 배면의 특징을 도판으로 나타내었다. 씨크라멘먼지응애는 경기도 고양의 팔손이에서 채집되었으며 차먼지응애는 고추, 아잘리아, 아프리카 봉선화, 낙상홍, 물푸레나무등에서 채집되었다.

  • PDF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가 고추의 생육과 수확에 미치는 피해 및 화학적 방제 (Damage of broad mite,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on pepper growth and yield and its chemical control)

  • 조명래;전흥영;라승영;김동순;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6-331
    • /
    • 1996
  • 차먼지응애가 고추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고추 유모에 암컷을 접종 실험하였다. 차먼지응애 암컷을 각각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10주후의 고추 생장율이 각각 264, 256, 177%로 무처리 337%에 비해 현저한 생육감소를 나타내었다. 총수량은 무처리 1,197.5kg/10a에 비해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각각 443.9, 230.5, 103.4kg/10a로 현저히 낮았다. 고추에서 Dicofol EC, Chinomethionat WP, Pyridaben WP, Pyraclofos WP 등 4개 약제를 대상으로 한 방제시험 결과 4개 약제 모두 처리 17일 후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의 국내에서 고추의 차먼지응애 발생보고를 종합하면 전국적으로 온실에서 10월부터 3월 사이에 주로 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에 따라서는 5월 하순에도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A New Species of Chigger Mite (Acari: Trombiculidae) from Rodents in Southwest China

  • Ren, Tian-Guang;Guo, Xian-Guo;Jin, Dao-Chao;Wu, Dian;Fletcher, Quinn 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63-67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new species of chigger mite (Acari: Trombiculidae), Gahrliepia cangshanensis n. sp., from rodents in southwest China.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Yunnan red-backed voles, Eothenomys miletus (Thomas, 1914), and a Chinese white-bellied rat, Niviventer confucianus (Milne-Edwards, 1871) in Yunnan Province. The new species is unique mainly in its number of dorsal setae (n=21), and it has the following features: fT (formula of palpotarsus)=4B (B=branched), fp (formula of palpal seta)=B/N/N/N/B (N=naked), a broad tongue-shaped scutum with an almost straight posterior margin, and 17 PPLs (posterior posterolateral seta) with a length of 36-43 ${\mu}m$. This chigger mite may also infect other rodent hosts and may be distributed in other localities.

서울대 광양연습림내 토양 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 3. 날개응애와 식생과의 관계 (Soil Microarthropods at the Kwangyang Experiment (3. Relationship between Soil Oribatid Mite and Vegetation))

  • Kwak, Joon-Soo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91-202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mites(Acarina:Cryptostigmata) and vegetation in sampled area. From July 1984 to June 1985, samples were taken monthly from coniferous forests; a pinenut (Pinus koraiensis S. et Z.) forest (site C-1), a whitepine(Pinus strobus L.) forest (site C-2), a needle fir tree(Abies holophyla Max.) forest (site C-3), and three broad-leaved forests; site B-1, B-2, and B-3 in Cholanamdo province, southerm part of Korea. Vascular plants of 152 species belonging to 115 genera (53 families) were identified. The flora in the coniferous forests were more diverse than in the broad-leaved forest. Similarity coefficient to the flora was shown highly between the neighbouring sites. The oribatid species in the coniferous forest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in the broadleaved forests. The similarity index suggested that oribatid mites in those surveying sites could be divided into "coniferous forest type" and "broad-leaved forest type".d forest type".uot;.

  • PDF

서울대 광양연습림내 토양 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1. 날개응애의 종조성 (Soil Microarthropods at the Kwang Yang Experiment Plantation -1. Composition of Oribatid Mites (Acari: Cryptostigmata)-)

  • Kwak, Joon S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y the MGP analysis the composition of oribatid mite in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s, Kwang Yng experiment plantation, Chola Nam Do Provinc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se study area, 157 species of oribatid mites (Acari: Cryptogimata) were identified. Among them 6 species such as; Brachychochthonius jugatus JACOT, B hungaricus BALOGH, Eremulus translamealtus BALOGH et. MAHUNKA, Brachioppiella ctenifera GOLOSOVA, Striatoppia opuntiseta BALOGH et. MAHUNKA, Suctobelba perdentata baculifer BALOGH et. MAHUNKA have not been described in Korea. Species compositions were as follows; Among them 69 species were found in all the six sampling sites, 33 species scattered sporadically in all the area, 12 species found in coniferous forest, 10 species in broad-leaved forest only, and 33 species sampled at one site.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 site B-1, B-2, and B-3 were found to be "Type G" and site C-1, C-2, and C-3 were "Type MG".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I, site B were found to be all "Type G". But site C-1 was "Type MG", C-2 was "Type M" and C-3 was "Type G" suggesting that "Group M" increased in the site C.e G" suggesting that "Group M" increased in the site C. in the site C.

  • PDF

식물체 추출물의 살충 및 살비활성 (Insecticidal and Acaricidal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 권민;이성백;안용준;박노중;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92-497
    • /
    • 1994
  • 43종 식물체 추출물의 6종 해충(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쌀바구미, 독일바퀴)에 대한 살충활성 및 응애에 대한 살비활성을 조사하였다. 은행잎 메탄올 추출물은 벼멸구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강한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나한백의 일종인 Thujopsis 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수증기증류물은 모든 공시충에 대해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소나무잎 메탄올 추출물과 T. 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수증기증류물은 점박이응애에 대해 강한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를 이용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olyphagotarsonenmus latus(Acari: Tasonemidae) by Amblyseius cucumeris(Acari: Phytoseiidae))

  • 나승용;백채훈;이건휘;김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47-354
    • /
    • 2009
  • 본 연구는 차먼지응애의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상위 엽을 가해하다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먹이조건이 나빠지기 때문에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였다. 오이이리응애와 차먼지응애의 밀도변동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의 이동에 따라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서식지가 같아졌다. 차먼지응애에 대해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포식량은 15,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8, 15.2, 27.0 및 30.3마리를 포식하였다. $25^{\circ}C$ 조건하에서 부화유충은 0.5마리, 전약충은 1.6마리, 후약충은 5.2마리, 수컷 성충은 3.8마리, 암컷 성충은 27.0마리의 차먼지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차먼지응애 성충에 대한 오이이리응애 성충의 기능반응은 차먼지응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포식율은 감소하여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과 일치하였다.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 접종비율이 고추에서 1:40일 경우 밀도억제효과가 98% 이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단풍나무류 8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A Study of the Defense Mechanism against Herbivores of 8 Species of the Genus Acer)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1-417
    • /
    • 2009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8종의 단풍나무속 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수목들은 강원도 치악산, 청태산, 방태산, 태백산과 윈주시에 생육 중인 8수종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단풍, 고로쇠 및 복장나무의 domatia는 tuft type, 단풍나무, 신나무, 복자기와 시닥나무는 pocket+tuft type, 산겨릅나무는 pocket type 임이 밝혀졌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겨릅나무에서 20.2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신나무에서 4.2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표면의 털은 단풍나무, 당단풍, 신나무 및 복장나무는 응모(villous), 고로쇠나무와 복자기는 연모(pilose), 시닥나무는 강모(strigose)였다. 일반적으로 털의 밀도는 잎 뒷면이 앞면보다 높았다. 단풍나무, 당단풍, 산겨릅나무 및 시닥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시닥나무가 9.2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복장나무, 당단풍, 복자기가 순이었다. 단풍나무류 잎을 가해하는 미소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나무이, 혹응애, 매미충 등이었으며, 총개체수는 혹응애, 진사진딧물, 나무이, 단풍알락진딧물, 매미충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육식성 응애, 말벌, 그 약충, 광대노린재 약충, 등이 확인되었으며, 고동털개미와 곰개미는 진딧물과 상리공생을 하여 단풍나무류의 초식피해를 가중시킴을 확인하였다. 육식성 응애가 진사진딧물을 공격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것을 확인하였으면, 이는 domatia가 중재하는 응애와 식물의 상리공생의 증거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에서 이러한 응애와의 상리공생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충남 태안군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Broad-leaved Tree Species Growing in Taean-gun, Chuncheongnam-do)

  • 김갑태;추갑철;류동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5
    • /
    • 2012
  • 이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탐색하고자 67종의 활엽수를 대상으로 방어전략을 결정하는 잎의 형태적 특성, domatia구조, 초식곤충 및 포식응애의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67종 중에서 46종(68.7%)의 활엽수가 domatia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참가시나무와 태산목 등을 비롯한 21종의 활엽수에서는 domatia 구조가 없었으며, 황매화와 서어나무를 비롯한 31종의 활엽수에서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난티잎개암나무와 떡갈나무를 비롯한 12종의 활엽수에서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왕벚나무와 팥배나무에서는 pocket type domatia를 지녔으며, 아왜나무에서는 pouch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잎 뒷면의 털을 이용한 방어전략으로 태산목에서의 밀융모, 은백양과 포도에서의 밀면모, 보리수나무에서 비늘털 밀생, 칡의 강모 밀생 등이 밝혀졌다. 화외밀선(花外蜜腺; extrafloral nectary, EFN)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조사대상 중에서 23종(34.3%)의 활엽수가 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앵두나무, 무화과, 가막살나무 및 서어나무 등이었다. 조사 대상 중에서 40종(59.7%)의 활엽수에서 포식응애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잎에 서식하는 응애 개체수 평균은 떡갈나무에서 23.4마리로 가장 많았다. 잎을 가해하는 미소 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깍지벌레, 혹응애, 총채벌레등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혹응애, 깍지벌레, 진딧물, 총채벌레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포식응애, 말벌, 무당벌레류와 그 애벌레, 진딧벌 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대 활엽수종에서 상리공생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어전략이 활용되는 경우가 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