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dges crossing waterwa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항만횡단 해상교량의 해양사고 관련 인자 분석을 통한 교량설계안 제안 (A Proposal of Bridge Design Guideline by Analysis of Marine Accident Parameters occurred at Bridges Crossing Navigable Waterways)

  • 박영수;이윤석;박진수;조익순;이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43-750
    • /
    • 2008
  • 최근 세계 각지에서는 선박 통항 수역에 해상교량의 건설 운영, 건설 계획 중에 있어 이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에게는 위험요소로 작용하여 해양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및 유럽, 일본을 대상으로 해상교량과 관련한 해양사고 인자 분석을 통하여 해상교량 건설 및 기 설치된 해상교량의 안전한 선박통항을 위하여 필요한 환경 요소가 무엇이며 이 환경 요소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해상교량과 관련한 해양사고 관련 인자는 선박운항자의 실수 이외에 주경간폭, 통항하는 선박크기, 직선거리, 선박교통량 등이 관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최소 해상교량 주경간폭은 300m 이상이며, 선박크기가 150m 이상의 선박이 통항하는 해역에서는 주경간폭이 500m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해상교량 진입 직전 직선거리는 최소한 5L이상이 필요하며 8L(L:선박의 길이) 이상의 확보를 통하여 해양사고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교량 안전통항을 위한 레이더의 교각인식 특성 분석 (Analysis of Radar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Bridge Piers and Attachments for Safe Passing)

  • 김태인;박상일;정대득;신철호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59-65
    • /
    • 2003
  • 시계 불량시 교량하 항로를 교각과 충돌없이 안전하게 통항하기 위하여 충분히 떨어진 곳에서 레이더로 교각을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 검토 및 레이더 실험을 통하여 교각인식을 위하여 필요한 교각 돌출량을 도출하였다. 교량하 항로를 통과하는 최대선박의 전장과 통항조건별로 필요치를 제시함으로써 교량 설계시 그 해역의 교통 환경에 적합한 교각방호시설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