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ed

검색결과 1,507건 처리시간 0.026초

Angus, Hereford, Charolais종(種)과 그 교잡종(交雜種)의 생시체중(生時體重)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Certain Environmental Factors on Birth Weight in Angus, Charolais, Hereford and Their Crossbred Cattle)

  • 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41-145
    • /
    • 1977
  • 본(本) 연구(硏究)는 1974년(年)부터 1977년(年)까지 4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제주도(濟州道) 소재(所在) 제동목장(濟東牧場)에서 사육(飼育)된 Angus, Charolais, Hereford종(種)과 그들 교잡종(交雜種) 총(總) 1020두(頭)에 대한 자료(資料)를 최소자승법(最小自乘法)을 통(通)해 통계분석(統計分析)하여 자우(仔牛)의 성(性), 출생년도(出生年度), 출생계절(出生季節), 품종(品種) 및 교배방법(交配方法)등이 자우(仔牛)의 생시체중(生時體重)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推定)하였다. 1. 생시체중(生時體重)에 대한 성(性)의 효과(效果)는 숫송아지가 암송아지 보다 1kg 더 무거웠다. 2. 출생년도(出生年度)의 효과는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76, '77년도(年度)의 생시체중(生時體重)이 '75년도(年度)보다 0.9kg 0.2kg 더 무거웠고 목장개설(牧場開設) 초년도(初年度)인 '74년도(年度)는 '75년도(年度)보다 1.7kg 가벼웠다. 3. 출생계절(出生季節)의 효과(效果)는 봄과 여름에 출생(出生)된 송아지가 겨울에 출생(出生)된 송아지보다 0.6, 0.3kg무거웠으며 가을에 출생(出生)된 송아지는 0.9kg 가벼웠다. 4. 품종(品種)과 교배방법(交配方法)의 효과는 Charolais 종(種)이 Hereford종(種)보다 0.4kg무거웠으며 Angus종(種)은 1.1kg가벼웠다 Charolais종(種)과 Hereford종(種)의 교잡종(交雜種)은 Hereford종(種)보다 1.5kg 무거웠고 Angus와 Hereford 교잡종(交雜種), Angus와 Charolais교잡종(交雜種)은 Hereford종(種)보다 각각(各各) 0.6, 0.4kg 가벼웠다.

  • PDF

Statistical Genetic Studies on Cattle Breeding for Dairy Productivity in Bangladesh: II. Estimation of Reciprocal and Heterosis Effects and Optimum Crossbreeding System between the Local Breeds and Exotic Breeds for Milk Performance

  • Hossain, K.B.;Takayanagi, S.;Miyake, T.;Bhuiyan, A.K.F.H.;Sasaki,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6호
    • /
    • pp.777-782
    • /
    • 2002
  • Reciprocal effects among local breeds and additive and heterosis effects were estimated for total milk production per lactation (TLP), lactation length (LL) and daily milk yield (DMY). Procedures for an optimum crossbreeding system were examined by comparing various crossbred combinations. Three data sets were chosen from the total records collected from 1962 to 1997. Data set I with a total of 5,938 records composed of 9 breed groups for reciprocal crosses, data set II with a total of 6,064 records composed of 5 breed groups for additive and heterosis effects and data set III with a total of 10,319 records composed of 42 breed groups for optimum crossbreeding system were analyzed. The least squares ANOVA was used. The reciprocal crosses between Red Sindhi and the Bangladeshi Loc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Red Sindhi was used as cow, the cross was superior to the opposite in terms of the three performance traits. The results showed that additive breed effects on both TLP and DMY were positive and highly significant between Bos indicus and Bos taurus, whereas the individual heterosis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general, any local breeds were improved two to three times by crossing with the Friesian once or twice. However, the effect was reduced when the grading up with the Friesian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al breed was crossed with the other breeds such as Holstein and Jersey, the improvement of TLP was less. Crossing the F1 cows with the Friesian bull gave further improvement. Almost the same trends were found also for LL and DMY. The local breeds and their crosses are raised mainly for draft animals, then it is recommended that the crossbreds between the local cows and Friesian are used for dairy purposes and more than 75% Friesian blood is used for beef.

정상 소형 견에서 경골 고평부각의 측정 (Measurement of the Tibial Plateau Angle in Normal Small Breed Dogs)

  • 김충섭;허수영;설재원;김민수;이상훈;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1-2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형견종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과 동적 안정화를 이용한 치료법에서 사용되는 경골 고평부각(the tibial plateau angle)을 측정하였다. 경골 고평부각을 측정하기 위해 성장이 끝난 소형견종 32마리의 사체의 양측 뒷다리를 이용하였다. 성별, 각 양측다리(왼쪽, 오른쪽), 그리고 견종별로 구분하여 경골 고평부각을 평가하였다. 전체 소형견종의 평균 경골 고평부각은 $26.13^{\circ}{\pm}2.33^{\circ}$이었다.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는 각각 $26.00^{\circ}{\pm}2.23^{\circ}$$26.26{\pm}2.45$로 측정되었고 성별에 따른 측정에서는 암컷은 $26^{\circ}.22{\pm}2.80^{\circ}$로 수컷은 $26.01^{\circ}{\pm}1.57^{\circ}$로 평가 되었다. 견종별로는 말티즈는 $26.06^{\circ}{\pm}2.96^{\circ}$로 푸들은 $25.21^{\circ}{\pm}1.38^{\circ}$로 시추는 $26.65^{\circ}{\pm}2.96^{\circ}$로 요크셔 테리어는 $26.27^{\circ}{\pm}1.61^{\circ}$로 측정되었다. 모른 측정치의 확률적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소형견의 경골 고평부각은 전 십자인대의 병적 상태평가와 수술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서울에서의 개의 안과질환에 대한 역학적 특징과 임상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2009년에서 2013년)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Canine Ophthalmic Diseases in Seoul from 2009 to 2013)

  • 김준영;김경희;;이원창;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5-238
    • /
    • 2015
  • 서울에서 개의 안과질환에 대한 역학적인 특징에 대해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우성동물메디칼센터에 안과질환으로 내원한 초진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1253두의 안과환자들이 초진 내원하였으며, 평균나이는 7.93년령 (SD, 4.06)이었다. 환자중에 Shih Tzu (29.4%)가 가장 많았으며, Maltese, Yorkshire Terrier, Cocker Spaniel, toy Poodle (P < 0.01)이 뒤를 따랐다. 눈에서 질병이 호발하는 곳은 수정체 관련 질환이 가장 많았으며 (28.3%), 안검질환, 망막질환, 비루관질환, 포도막질환, 유리체질환, 시신경계 질환이 그 뒤를 따랐다(P < 0.01). 수정체, 안검, 망막, 비루관, 포도막, 유리체, 시신경계 질환들은 주로 양측성 질환(P < 0.01)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Shih Tzu에서는 각막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수정체, 안검, 망막, 녹내장 질환이 그 뒤를 따랐다. Maltese에서는 수정체, 안검, 망막, 각막질환의 순으로 질병이 발생했다. Yorkshire Terrier, Cocker Spaniel, 그리고 toy Poodle 종은 수정체 질환이 가장 많았다(P < 0.01). 안과질환으로 병원에 내원하는 주된 환자들은 Shih Tzu, Maltese, Yorkshire Terrier등과 같은 소형견들이었고, 대부분 수정체 질환과 같은 품종소인이 있는 질환이 대부분이었다.

소형견종의 후지정렬 측정 (Determination of Pelvic Limb Alignment in Small-breed Dogs)

  • 김주호;허수영;나지영;김남수;이기창;정성목;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1-485
    • /
    • 2015
  • 후지 전체의 정렬 평가에 필요한 정렬각도의 정상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고 육안 또는 방사선 검사에서 각기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소형견 사체(말티즈, 푸들, 시추, 요크셔테리어) 의 후지 60개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후지를 완전히 신장시켜 전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계적경골대퇴골각도(mechanical tibiofemoral angle, mTFA), 기계적중족경골각도 (mechanical metatarsotibial angle (mMTTA) 기계축-대퇴각도(mechanical axis-femur angle (MAFA), 기계축-중족각도(mechanical axis-metatarsus angle (MAMTA)을 측정하였으며, 무릎관절과 뒷발목관절의 기계축변위(mechanical axis deviation, SMAD or TMAD)의 평균값과 95% 신뢰구간 값을 전체 그리고 품종별로 측정하였다. 소형견 전체의 mTFA, MTTA, MAFA, MAMTA의 95% 신뢰구간 값은 각각 $5.7-7.4^{\circ}$, $-2.2--0.8^{\circ}$, $3.5-4.5^{\circ}$, $1.0-2.0^{\circ}$였으며, SMAD와 TMAD는 2.1-2.7%, 0.5-1.0%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형견의 후지정렬 측정법과 정상치는 소형견종의 후지 각기형의 진단 및 평가, 수술 계획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Insights into the genetic diversity of indigenous goats and their conservation priorities

  • Liu, Gang;Zhao, Qianjun;Lu, Jian;Sun, Feizhou;Han, Xu;Zhao, Junjin;Feng, Haiyong;Wang, Kejun;Liu, Chous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01-1510
    • /
    • 2019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of 26 Chinese indigenous goats by 30 microsatellite markers, and then to define conservation priorities to set up the protec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weight given to within- and between-breed genetic diversity. Methods: Twenty-six representative populations of Chinese indigenous goats, 1,351 total, were sampled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of China. Within-breed genetic diversity and marker polymorphism were estimated calculating the mean number of alleles, observed heterozygosities, expected heterozygosities, fixation index, effective number of alleles and allelic richness. Conservation prioritie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Results: A relatively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was found in twenty-four population; the exceptions were in the Daiyun and Fuqing goat populations. Within-breed kinship coefficient matrices identified seven highly inbred breeds which should be of concern. Of these, six breeds receive a negative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when the method was based on proportional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Based on Weitzman or Piyasatian and Kinghorn methods, the breeds distant from others i.e.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Chengdu Brown goat and Leizhou goat obtain a high ranking. Evidence from Caballero and Toro and Fabuel et al method prioritized Jining Gray goat, Liaoning Cashmere goat, and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which agree with results from Kinship-based methods. Conclusion: Conservation prioriti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multiple methods. Our results suggest Inner Mongolia Cashmere goat (most methods), Jining Gray goat and Liaoning Cashmere goat (high contribution to heterozygosity and total diversity) should be prioritized based on most methods. Furthermore, Daiyun goat and Shannan White goat also should be prioritized based on consider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size. However, if one breed can continually survive under changing conditions, the straightforward approach would be to increase its utilization and attraction for production via mining breed germplasm characteristics.

한국토종닭 5품종의 생산능력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 (Production Traits and Stress Responses of Five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 조은정;최은식;정현철;김보경;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5-105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토종닭 5품종 (재래황갈종, 토착로드종, 토착레그혼종, 토착코니시종 및 한국오계)에 대한 생산 특성 및 생리적 특성을 제시하고자 이들의 생산능력,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총 493수를 공시하고, 생산능력의 평가를 위해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산란율 및 난중을 조사하였고,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미어 함유율, heterophil-lymphocyte 비율,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생존율은 토착로드종이 99%로 가장 높았고, 한국오계가 91%로 가장 낮았다. 발생시부터 50주령까지의 체중은 토착코니시종, 토착로드종, 한국재래닭, 한국오계, 토착레그혼종의 순으로 변동없이 높게 나타났다. 22주령부터 50주령까지의 평균일계산란율은 토착레그혼종이 75%로 가장 높았고, 토착코니시종이 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 분석 결과, 텔로미어 함유율은 토착로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낮았다. Heterophil-lymphocyte 비율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은 공히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로드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토착로드종이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고, 토착코니시종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토착코니시종은 한국형 토종 육용 품종으로 개량함이 바람직하고, 토착레그혼종은 한국형 토종 난용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토착로드종은 양호한 생산능력과 뛰어난 강건성을 기반으로 한국형 토종닭 종계 모계통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되고, 재래황갈종은 우수한 육질을 바탕으로 차별화 된 고급육질형 토종닭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토종닭 실용계의 생산성, 도체율 및 육질특성 비교 (Comparison on Performance, Carcass Yield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igenous Commercial Chicken)

  • 김기곤;차재범;김희진;추효준;박병호;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7-285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토종닭 실용계 4종(한협3호: G, 소래1호: V, 우리맛닭1호: S, 우리맛닭2호: W)의 생산성, 도체율, 정육율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품종을 처리구로 총 4처리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6수(♀ 8수, ♂ 8수)씩 총 384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체중은 S와 W 품종에 비해 G와 V 품종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증체량은 S 품종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사료요구율은 8~10주령에서 W 품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존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주령 도체율과 정육율은 V 품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P<0.05), 암수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가슴육의 전단력은 G 품종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12주령에 수탉이 암탉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가슴육의 L*(명도)는 V 품종을 제외하고 암탉이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 간 a*(적색도)는 G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가슴육의 b*(황색도)는 G와 V 품종이 높았으며(P<0.05), G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은 황색도를 보였다. 다리육은 적색도의 암수 효과를 제외하고 명도, 적색도, 황색도에서 품종, 암수 그리고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생산성은 G와 V종, 육질은 S와 W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육계의 개량현황과 전망 (The Performance of Broiler Breeds and It′s Advence in the Future)

  • 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05
    • /
    • 1992
  • 육용계의 능력 개량 역사는 산란계에 비하여 비교적 짧지만 그동안 많은 발전하여 왔는데 1934년에 95일 사육에 1.3kg이였던 육계가 1991년에는 7주에 2.3kg에 도달하였고 사료요구율도 1934년에 4.3에서 1991년에는 2.07로 낮아졌으며 가금 육종학자들은 2006년대에는 육계의 2kg 도달 일령은 28.7일로 단축되고 사료요구율은 1.33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