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fed infant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인 수유부의 수유초기 이행유의 모유성분 분석과 영아의 섭취량 추정 연구 (Studies of nutrient composition of transitional human milk and estimated intake of nutrients by breast-fed infants in Korean mothers)

  • 최윤경;김나영;김지명;조미숙;강봉수;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6호
    • /
    • pp.476-487
    • /
    • 2015
  • 본 연구는 분만 후 5일에서 15일 사이에 분비되는 이행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모유의 전반적인 영양소의 함량을 측정하고, 모유영양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하여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국내 모유영양아의 영양 섭취의 적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상 만삭아를 출산하고 서울경기 지역 소재 산후조리원에서 회복중인 100명의 산모들이었다. 이들은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참여 동의한 뒤 개인의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모유 샘플을 제공하였다. 수유부들의 나이는 평균 $32.01{\pm}4.08$세였고, 신장은 평균 $161.93{\pm}4.79cm$, 만삭 체중은 $65.92{\pm}8.10kg$이었다. 모유 성분 분석 결과 모유 내 에너지 농도는 $59.99{\pm}8.01kcal/dL$, 단백질의 농도는 $1.47{\pm}0.27g/dL$, 지방의 농도는 $2.88{\pm}0.89g/dL$, 탄수화물의 농도는 $6.72{\pm}0.22g/dL$이었다. 지방산의 경우 ${\omega}-6$ 계열의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181.44{\pm}96.41mg/dL$, $28.15{\pm}8.89mg/dL$이었고, ${\omega}-3$ 계열의 리놀렌산, DHA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5.67{\pm}1.86mg/dL$, $5.74{\pm}2.57mg/dL$ 로 나타났다. 모유 속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의 농도는 각각 $28.95{\pm}17.50{\mu}g/L$, $23.09{\pm}11.16ng/mL$, $7.37{\pm}15.43mg/L$이었으며, 비타민 C,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비타민 $B_{12}$, 그리고 엽산의 모유 속 농도는 $30.22{\pm}18.43mg/L$, $75.14{\pm}209.61{\mu}g/L$, $617.82{\pm}267.79{\mu}g/L$, $637.74{\pm}271.92pg/mL$, $5.16{\pm}2.58ng/mL$이었다. 무기질 중 칼슘의 모유 속 농도는 $20.71{\pm}3.34mg/dL$, 철의 모유 속 농도는 $5.86{\pm}8.61mg/L$, 칼륨의 모유 속 농도는 $66.71{\pm}10.35mg/dL$, 나트륨의 모유 속 농도는 $27.72{\pm}10.16mg/dL$이었으며, 아연과 구리는 모유 속에 각 $0.44{\pm}0.41mg/dL$, $70.48{\pm}30.41{\mu}g/d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었다. 면역성분인 IgA의 모유 속 농도는 $61.85{\pm}31.97mg/dL$, total IgE의 모유 속 농도는 $2.35{\pm}0.93IU/mL$이었다. 영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에너지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_1$, 엽산, 칼슘의 하루 섭취 추정량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단백질,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_2$, 비타민 $B_{12}$, 철,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등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 섭취량을 충족하였다. 대부분의 영양소는 추정 섭취량이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비타민 $B_1$, 엽산, 칼슘, 비타민 D, 구리 등의 영양소는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모유의 영양성분과 관련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국인 모유의 성분함량과 섭취량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는 모유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영아의 성장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이 단백 유발 직결장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Dietary Protein Induced Proctocolitis)

  • 임선주;김성헌;배상남;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57-163
    • /
    • 2005
  • 목 적: 식이 단백 유발 직결장염(DPIPC)은 영아 초기에 발생하여 양호한 경과를 취하는 질환으로 모유나 우유 내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DPIPC의 임상적 특징과 자연 경과 및 식이 조절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혈변을 주소로 검사를 받은 영아 중 DPIPC로 진단된 13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아가 7명(53.8%), 여아가 6명(46.2%)이었고, 혈변이 발생한 시기는 평균 $96.8{\pm}58.8$일이었다. 혈변의 빈도는 평균 $2.6{\pm}2.5$회/일이었고, 혈변의 발현 후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35.5{\pm}55.0$일이었다. 환자의 식이는 모유 수유가 9명(69.2%), 인공 영양이 2명(15.4%), 혼합 영양이 2명(15.4%)이었다. 알레르기의 가족력은 1명에서 있었고, 환자에서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은 없었다. 어머니의 식이 습관으로 소량의 우유 복용이나 견과류 또는 어패류의 섭취가 각각 3명에서 있었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수가 $10,555{\pm}3,145/mm^3$, 호산구 비율이 $6.3{\pm}3.0%$, 절대 호산구수가 $659.0{\pm}532.2/mm^3$였다. 13명 중 6명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되었고, 전 예에서 직장과 S상 결장의 점막에 국소적인 발적과 소결절형성이 관찰되었다. 이 중 5명에서 대장 조직 검사를 시행했으며, 만성 염증과 음와 농양이 동반된 경우가 3명이었고, 전 예에서 결절성 림프양 증식이 있었다. 광학 현미경으로 400배의 고배율 시야에서 관찰하였을 때, 대장 점막의 호산구의 수는 4예에서 10개 이하였고 1예에서 10~20개였다. 13명 모두 식이의 변화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혈변은 $58.7{\pm}67.0$일 후에 자연 소실되었다. 결 론: 건강한 어린 영아에서 실 모양 또는 고춧가루를 흩어놓은 듯한 혈변이 있을 때는 DPIPC를 의심해야 하고, 환자나 환자의 어머니에서 식이 변화가 없이도 혈변은 대부분 1세 이전에 소실되며 혈변 이외에 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DPIPC 환자나 어머니에게 일률적으로 식이 제한을 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 수유부 유즙의 콜린과 베타인 농도 및 영아의 콜린과 베타인 섭취량 (Choline and Betaine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of Korean Lactating Women and the Choline and Betaine Intakes of Their Infants)

  • 정한옥;서윤석;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6호
    • /
    • pp.588-596
    • /
    • 2010
  • 모유 수유를 받는 영아는 생후 6개월까지 모유에 거의 모든 영양소 섭취를 의존하기 때문에 유즙의 콜린 농도가 영아의 콜린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품에는 콜린과 베타인이 함께 들어 있고 체내에서 콜린은 베타인으로 산화되어 메칠기 운반에 관여하므로 식품속의 총 콜린 함량만이 아니라 베타인 함량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유기간별 유즙의 총 콜린, 유리 콜린, 베 타인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LC-MS방법을 사용하여 수유부 유즙의 콜린과 베타인 농도를 분석하여 영아의 콜린과 베타인의 섭취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모유의 총 콜린 농도는 수유 첫 1개월째 145.03 mg/L (1.39 mmol/L), 2개월째 157.83 mg/L (1.52 mmol/L), 3개월째 165.99 mg/L (1.60 mmol/L), 4개월째 153.67 mg/L (1.48 mmol/L), 5개월째 145.05 mg/L (1.39 mmol/ L)이었다. 모유의 유리 콜린 농도는 수유 1개월 24.96 mg/L (0.239 mmol/L), 2개월 29.56 mg/L (0.284 mmol/L), 3개월 29.40 mg/L (0.283 mmol/L), 4개월 23.41 mg/L (0.225 mmol/L), 5개월 24.03 mg/L (0.231 mmol/L)로 수유월령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모유의 베타인 농도는 수유 1개월에 4.424 mg/L (0.038 mmol/L), 2개월 3.442 mg/L (0.033 mmol/L), 3개월 3.200 mg/L (0.031 mmol/L), 4개월 2.257 mg/L (0.022 mmol/L), 5개월 2.433 mg/L ($0.020\;{\mu}mol/L$)이었다. 2) 수유기간별 영아의 유즙 섭취량은 2개월에 771.1 mL/d, 3개월에 792.0 mL/d, 4개월에 796.5 mL/d, 5개월에 711.0 mL/d이었다. 3) 영아의 총 콜린 섭취량은 2개월 124.61 mg/d, 3개월 120.90 mg/d, 4개월 126.50 mg/d, 5개월 104.09 mg/d로 4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생후 5개월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영아의 체중 kg당 총 콜린 섭취량은 2개월 19.76 mg/d, 3개월 16.67 mg/d, 4개월 16.14 mg/d, 5개월 12.80 mg/d이었다. 4) 영아의 유리콜린 섭취량은 2개월 24.15 mg/d, 3개월 21.57 mg/d, 4개월 19.35 mg/d, 5개월 17.10 mg/d이었고, 수유기간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영아의 체중 kg당 유리콜린 섭취량은 2개월 3.85 mg/d, 3개월 2.97 mg/d, 4개월 2.47 mg/d, 5개월 2.08 mg/d이었다. 5) 영아의 베타인 섭취량은 2개월 3.12 mg/d, 3개월 2.82 mg/d, 4개월 2.10 mg/d, 5개월 1.83 mg/d로 유리콜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영아의 체중 kg당 베타인 섭취량은 2개월 0.50 mg/ d, 3개월 0.39 mg/d, 4개월 0.27 mg/d, 5 개월 0.22 mg/d이었다. 6) 영아의 콜린 섭취량은 모유의 콜린농도와는 r = 0.982 (p = 0.000), 모유섭취량과는 r = 0.414 (p = 0.028)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한국인 수유부 유즙의 총 콜린농도와 유리콜린농도는 외국인 수유부의 유즙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며, 이로 인해 영아의 콜린 섭취상태는 부족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영아의 총콜린 섭취량은 모유 섭취량보다 모유의 총콜린 농도와 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모유의 콜린농도가 영아의 콜린 섭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모유수유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경상북도성주군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Breast-feeding - Centering Sungju-gun, Kyongbuk -)

  • 박천만;김규종;이종렬;김혜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79
    • /
    • 2000
  • This study to stud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infancy breast-feeding & practice and related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practice of breast-feeding and breast-feeding percentage improvement. For the object, 474 mothers of the infants who were born between Jan. 1, 1998 and Dec. 31, 1998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period & method were from Oct. 15, 1999 through Nov. 14, 1999 (1 month period) and telephone interview, respectively. To examine by month breast-feeding type, the average breast-feeding percentage in 1 month after a child's birth was 42.4%, but after 6 month it decreased to 23.0%. To see breast-feeding percentage by academic background, the breast-feeding of elementary school graduated mothers was 33.3%, which was highest, and it decreased as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s went better (p〈0.01). By employment state, the percentage for the mothers who were not employed was higher (24.6%) than that of those who were employed at the time, which was 8.0% (p〈0.001).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found in breast-feeding percentage by infant mothers age, delivery place, infant sex, child order in family, weight at the time of birth. To examine breast-feeding percentage by delivery method, natural delivery was 27.0% which was higher than 13.1% of Caesarean section (p〈0.01), and by breast-feeding experience before leaving the hospital, 35.6% of those who have breast-fed were breast-feeding while it was 16.4% for those who never did it while in the hospital (p〈0.001). After conducting logistics multi return analysis having breast-feeding percentage as a variable at the time of 6 months after babys birth, I found that infant mothers employment state, delivery method, and breast-feeding experience before leaving the hospital become meaningful variables. As unemployed mothers (p〈0.05), as chose natural delivery (p〈0.05), as experienced breast-feeding before leaving the hospital (p〈0.001), there was more tendency to do breast-feeding. Summing the abov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to raise breast-feeding percentage. Firstly, systematic education about the importance and advantages of breast-feeding and correct breast-feeding method should be practised for women. Secondly, vacation before and after childbirth for working women should be practised and the support of systems for working womens breast-feeding such as installation of nursery in work place are needed. Thirdly, continuous publicity and education for natural delivery inducement is necessary, and for the ones who chose Caesarean section, recommendation of breast-feeding is also needed. Fourth, for breast-feeding within fastest time after delivery, rooming-in required and legal and systematic support is also needed. Lastly, in the governmental level, publicity for breast-feeding and breast-feeding recommending programs that promotes 10 rules for successful breast-feeding bringing-up, provided by UNISEF and WHO, are to be provided.

  • PDF

2세 이하 영유아 변비의 임상 양상과 식이 방식 (Clinical Feature and Dietary Pattern of Infantile Constipation Under Two Years of Age)

  • 김혜진;문진수;황종희;장현오;남승연;김동욱;이종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31-38
    • /
    • 2006
  • 목 적: 2세 이하의 변비를 주소로 소아과 외래에 방문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증상과 식이 방식을 조사하고, 변비의 치료 기간, 방법, 효과를 조사하며,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인제대학교 일산 백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2세 이하 소아 중 외래 처방프로그램 상 변비를 진단코드로 사용한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차트 조사와 전화 상담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총 96명(남아 40명, 여아 56명)의 환아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9개월이었고 수유 별로 모유수유 23명, 분유수유 20명, 혼합수유 53명이었다. 배변 통증(95.8%)과 배변을 참는 경우(94.8%)가 가장 많았고, 혈변, 단단한 변 순이었다. 신체적 계측상 복부 팽만, 직장 내 굳은 변, 치열, 항문 피부 용종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들 중 치열과 혈변, 직장 내에 변이 만져지는 경우는 조제분유의 섭취와 관련성이 있었다. 하루에 액상식이를 500 mL 이상 섭취하는 환아는 54.2% (32/59)였고, 이중 12개월 이상에서는 57.1% (8/14)였다. 액상식이의 양에 따른 임상 증상은 항문 피부 용종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변비를 치료하기 위해서 71명이 락툴로즈를 투약 받았으며, 투약 기간은 1달 이내가 가장 많은 79%를 차지하였다. 부모들은 약에 대한 효과가 36명(50.7%)에서 있었다고 대답하였고, 전화 상담 시기까지 변비가 있었던 환아는 5명(5.2%)이었다. 결 론: 2세 이하 영유아 변비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조제 분유의 수유가 변비의 주요한 증상과 연관이 있었다. 다수의 환자들에서 이유기에 고형식으로의 이행이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는 비교적 잘 되었고 좋은 예후를 보였다.

  • PDF

한국인 수유부에 어유의 보충 급여 효과에 관한 연구 -III. 영아의 지방산 섭취, 혈장 지질 농도 및 혈장과 적혈구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to Korean Lactating Women -III. The Effects of Fatty Acid Compositi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pspholipids and Erythrocyte of Infants-)

  • 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92-19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es on the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 and erythrocyte of infants. Among 18 breast-fed infants, 6 were in control group and 12 were in fish oil groups. The subjects in fish oil groups were nursed by their mothers who supplemented with fish oil 1.96g/d or 3.92g/d, respectively for 2 weeks from 10 to 12 weeks postpartum. The nursing mothers consumed their usual diets at hom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final day of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daily intake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and cholesterol of infants by fish oil supplementation. However, the content of EPA (eicosapentaenoic acid)increased and that of ARA (arachidonic acid) decreaed significantly in plasma PC(phophatidylchline). And also, there were tendencies to increase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to decrease cholesterol and phopholipid concentrations of plasma. As the above results, atherogenic index (AI)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not significant. DHA (docosahexaenoic acid) and EPA contents in plasma PC and PE (phosphatidylethanolamin) as well as those of erythrocyte tended to increase. I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se to lactating women does not obviously affect of the plasma lipid concentratio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C and PE as well as erythrocyte. However the increase of EPA content of plasma PC and the tendency to increase DHA and EPA contents of plasma as well as erythrocyte membrane indicate that there may be some beneficial effect on infant lipid metabolism of fish oil intake of nutsing mother were increased.

  • PDF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Late Preterm Infants at 12 Weeks

  • Lee, Soo Yeon;Jang, Gun J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79-8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reastfeeding practice with late preterm infants (LPIs), and to determine predictors of exclusive breastfeeding at the 12th week after discharg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6 mothers of LPIs hospitaliz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and October, 2013. Questionnaires included characteristics of LPIs, their mothers, and feeding-related characteristics. Feeding methods were exclusive breastfeeding, mixed feeding, and formula feeding. Results: Exclusive breastfeeding steadily increased from 5.7% at the 1st week to 19.8% at the 12th week, as did formula feeding from 27.3% to 67.9%. Contrarily, mixed feeding decreased from 67.0% at the 1st week to 12.3% at the 12th week. The ratio of formula feeding was higher than that of exclusive breastfeeding over time. Predictors for exclusive breastfeeding were the following: type of delivery (OR=2.96, 95%CI=1.07-8.14), feeding intolerance (OR=3.03, 95%CI=1.26-7.25) and feeding method during hospitalization (OR=7.84, 95%CI=3.15-19.53).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breastfeeding opportunities for LPIs, educational programs for gestational age-appropriate breastfeeding should be developed. The focus of breastfeeding education needs to be on mothers who delivered their LPIs through Cesarean-section and LPIs who had feeding intolerance or were fed only formula during hospitalization.

강원도 춘천지역 유아의 이유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Weaning Practice of Infants in Chunchon Area, Kangwon-Do)

  • 이정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3호
    • /
    • pp.272-280
    • /
    • 1994
  • The weaning practice of infants from 5 to 12 months of age in the area of Chunchon, Kangwon-do was studi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residential area, monthly family income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Parents of group 1 (n=90) received higher education and more monthly family income than those of group 2(n=32). The family inc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Mother's educational level has been markedly improved over 10 years, which affected the feeding methods before weaning in both groups(P<0.05). Group 1 appeared to be bottle-fed. Bottle-and mixed-feeding were mainly due to lack of breast milk. 95.6% of group 1 and 71.9% of group 2 started weaning before the age of 6 months and only 16.4% were completely finished regardless of the groups. Commercially prepared foods were used more than home-made for first given-supplementary food. 82.2% of group 1 received fruits and 84.4% of group 2 cookies/crackers as their main supplementary foods. As the motivation of onset of weaning, 'for baby's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was the most comm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se 2 groups in 1) the feeding methods prior to weaning, 2) time of onset of weaning, and 3) main supplementary foods, influenced by mother's educational level, economic purchasing power, or subjects birth order.

  • PDF

모유팩 모유수유아 어머니와 인공수유아 어머니간의 모아애착과 모성역할자신감 비교 - NICU의 저출생체중아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M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between Breast Milk in Sanitary Pack Feeding Infant's Mothers and Bottle Feeding Infant's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NICU)

  • 김영혜;최정녀;주현옥;조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86-397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maternal attachment and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between mother who feeds the child with mother's milk in sanitary pack by a nurse instead of her and mother who feeds the child with artificial milk.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mothers of premature baby who was in NICU and can not be fed with mother's milk directly. In the sample, 21 mothers were the breast feeding group and 20 were the bottle feeding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3, 2004 to November 2, 2005,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0.0. Results: The degree of m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of the breast milk feed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ttle feeding group.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was found in m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both breast feeding group and bottle feeding group. Conclusion: More systematic nursing mediation is required for the lactation of mother's milk in sanitary pack is planned to do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the child, which has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aternal attachment and the of maternal role confidence after hospitalization.

  • PDF

혈중 아연 농도는 정상이나 모발 검사에서는 감소된 아연 농도를 보인 일과성 장병성 선단 피부염 1례 (A case of acquired acrodermatitis enteropathica with a normal serum zinc level but a low level in the hair)

  • 오경일;김정희;이지은;임대현;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209-212
    • /
    • 2007
  • 장병성 선단 피부염은 위장관에서 아연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주로 이유기의 영 유아에 호발하고 상염색체 열성 유전하는 질환이다. 홍반, 인설, 가피, 건선양 피부와 습진의 특징적인 피부 병변이 개구부와 사지 말단 부위에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만성 설사, 탈모증, 조갑 주위염, 그리고 성장 장애가 나타나는 드문 질환이다. 혈중 아연 농도가 대부분에서 떨어져 있지만 정상 혈중 농도에서도 말초 조직 내의 아연 농도가 떨어지면 증상이 나타난다. 다른 원인 질환이 없고 만삭으로 정상 분만한 모유 수유 영아에서 조직학적으로 일치하며, 혈중 아연 농도는 정상이지만 모발에서 아연 농도가 떨어진 장병성 선단 피부염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