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Treatment posit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좌측 유방암의 방사선치료 자세와 선량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radiation therapy position and dose factors for left breast cancer)

  • 전재완;박철우;홍종수;진성진;강정훈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8
    • /
    • 2017
  • 목 적: 방사선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정상조직의 불필요한 피폭을 방지하는 것이다. 유방암의 경우는 폐와 심장에 조사되는 선량이 중요하게 평가되는 인자이다. 따라서 유방암 방사선치료 자세에 따른 정상조직에 조사되는 선량을 비교하고 그 연관성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유방암 방사선 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을 내원한 좌측 유방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Supine, Prone Position에서 CT image를 획득하였다. 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Version 11, USA)을 이용하여 전산화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DVH(Dose Volume Histogram)을 통해 Position 별로 정상조직에 조사된 선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SPSS(Version 18)을 이용하여 각 정상조직의 선량인자를 통계분석하고 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 및 독립표본 t-test를 통하여 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MIRADA RTx(Version Advanced 1.6, UK)를 이용하여 HI(Homogeneity Index)와 CI(Conformity Index)를 Supine, Prone Position에서 값을 구하고 비교하였다. 결 과: 유방암의 전산화치료계획의 결과 폐의 경우는 Supine Position에서 V20은 $16.5{\pm}2.6%$, V30은 $13.8{\pm}2.2%$, Mean dose는 $779.1{\pm}135.9cGy$(Absolute value)를 보였다. Prone Position은 위 순서대로 $3.1{\pm}2.2%$, $1.8{\pm}1.7%$, $241.4{\pm}138.3cGy$를 보였다. Prone Position이 전반적으로 낮은 선량을 나타내었고 평균선량 537.7 cGy가 더 적게 폐에 조사되었다. 심장의 경우에는 Supine, Prone 순서대로 V30은 $8.1{\pm}2.6%$, $5.1{\pm}2.5%$, Mean dose는 $594.9{\pm}225.3cGy$, $408{\pm}183.6cGy$를 보였다. Prone Position에서 평균선량 182.6 cGy가 더 적게 조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신뢰도 분석지표인 Cronbach's Alpha value는 0.563이였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치료자세와 폐의 선량평가인자는 대략 0.89 이상으로 그 상관관계가 높았다. 반면 심장의 경우는 V30은 0.488, Mean dose는 0.418로 상관관계가 다소 적었다. 마지막으로 독립표본 t-test 결과 치료자세와 폐, 심장의 선량평가인자가 신뢰수준 99 %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p-value{\leq}0.05$). 결 론: 현재 방사선치료는 최첨단 선형가속기와 다양화된 전산화치료계획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발전의 기본전제 조건은 PTV(Planning Target Volume) 주위의 정상조직 보호라고 생각한다. 물론 유방암 환자를 Prone Position에서 치료하면 Set-up의 재현성 문제와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이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Prone Position에서 폐와 심장에 들어가는 선량을 줄일 수 있으며 그 연관관계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Prone Position에서 충분한 치료시간을 확보하고 정확한 치료부위 확인이 이루어진다면 환자에게 보다 좋은 방사선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Clinical Impact of Patient's Head Position in Supraclavicular Irradiation of the Whole Breast Radiotherapy

  • Surega Anbumani;Lohith G. Reddy;Priyadarshini V;Sasikala P;Ramesh S. Bilimagga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4권1호
    • /
    • pp.10-13
    • /
    • 2023
  •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an be positioned with their head turned to the contra lateral side or with their head straight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treatment set-up. In our hospital,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who were receiving radiation therapy have experienced swallowing difficulty after 2 weeks of irradiation. In this pilot study, the impact of head position on reducing dysphagia occurrence was dosimetrically evalua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iz., HT (head turned to the contra lateral side of the breast) and HS (head straight) with 10 members in each. Treatment planning was performed, and the dosimetric parameters such as Dmin, Dmax, Dmean, V5, V10, V20, V30, V40, and V50 of both groups were extracted from the dose volume histogram (DVH) of esophagus. The target coverage in the supraclavicular fossa (SCF) region was analyzed using D95 and D98; moreover, the dose heterogeneity was assessed with D2 from the DVHs. The average values of the dose volume parameters were 27.6%, 58.6%, 35.4%, 19%, 13.8%, 14.1%, 11.8%, 8.4%, and 8.1% higher in the HT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HS group. Furthermore, for the SCF, the mean values of D98, D95, and D2 were 42.4, 47.5, and 54 Gy, respectively, in the HS group and 38.9, 45.35, and 55.5 Gy, respectively, in the HT group. This pilot study attempts to give a solution for the poor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fter breast radiotherapy due to dysphagia.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head position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eviating esophageal toxicity without compromising tumor control.

Cardiac dose reduction with breathing adapted radiotherapy using self respiration monitoring system for left-sided breast cancer

  • Sung, KiHoon;Lee, Kyu Chan;Lee, Seung Heon;Ahn, So Hyun;Lee, Seok Ho;Choi, Jin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84-94
    • /
    • 2014
  • Purpose: To quantify the cardiac dose reduction during breathing adapted radiotherapy using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PM) system in the treatment of left-sided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left-sided breast cancer underwent CT scans during breathing maneuvers including free breathing (FB), deep inspiration breath-hold (DIBH), and end inspiration breath-hold (EIBH). The RPM system was used to monitor respiratory motion, and the in-house self respiration monitoring (SRM) system was used for visual feedback. For each scan, treatment plans were generated and dosimetric parameters from DIBH and EIBH plans were compared to those of FB plans. Results: All patients completed CT scans with different breathing maneuvers. When compared with FB plans, DIBH plans demonstra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irradiated heart volume and the heart $V_{25}$, with the relative reduction of 71% and 70%, respectively (p < 0.001). EIBH plans also resulted in significantly smaller irradiated heart volume and lower heart $V_{25}$ than FB plans, with the relative reduction of 39% and 37%, respectively (p = 0.002). Despite of significant expansion of lung volume using inspiration breath-hol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ft lung $V_{25}$ among the three plans. Conclusion: In comparison with FB, both DIBH and EIBH plan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radiation dose to the heart. In the training course, SRM system was useful and effective in terms of positional reproducibility and patient compliance.

가상쐐기를 이용한 반대측 유방선량감소 (Contralateral Breast Dose Reduction Using a Virtual Wedge)

  • 여인환;김대용;김태현;신경환;지의규;박원;임도훈;허승재;안용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30-235
    • /
    • 2005
  • 목적: Siemens사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가상쐐기를 이용하여 반대측 유방에 흡수되는 선량을 기존쐐기와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대측 유방선량을 인체모형에서 이극진공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극진공관을 조사영역의 내측 경계선으로부터 반대쪽 외측방향으로 5.5 cm (1번 위치), 9.5 cm (2번 위치), 14 cm (3번 위치)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6 MV X-선을 이용하여 50도와 230도에서 $17{\pm}10cm$의 비대칭조사영역을 사용하여 접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번째 실험은 4가지의 치료방법을 시도하였다; (i) 개방 내측조사와 30도 기존쐐기를 사용한 외측조사; (ii) 15도 기존쐐기를 사용한 내측 및 외측조사; (iii) 개방 내측조사와 30도 가상쐐기를 사용한 외측조사; (iv) 15도 가상쐐기를 사용한 내측 및 외측조사. 두번째 실험은 개방조사, 15도 및 60도 기존쐐기 및 가상쐐기 모두를 사용하여 내측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때 동일한 모니터단위로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되었다. 결과: 첫번째 실험은 반대측 유방선량은 1번 위치, 2번 위치, 3번 위치의 순으로 감소한다. 또한 기존쐐기 및 가상쐐기와 무관하게 내측에 쐐기를 사용한 경우($3.25{\pm}1.59%$)보다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2.70{\pm}1.45%$) 선량이 낮았고, 이러한 차이는 가상쐐기($0.10{\pm}0.01%$)보다 기존쐐기($0.99{\pm}0.18%$)의 경우 더 컸다. 가상쐐기의 사용은 같은 기법의 기존쐐기를 사용한 것에 비해 처방선량 대비 $0.12{\sim}1.20%$의 반대측 유방선량을 감소시켰다. 두번째 실험시 1번 위치에서는 개방빔, 가상쐐기, 기존쐐기 순으로 선량이 높았으며, 2, 3번 위치에서는 기존쐐기, 개방빔, 가상쐐기 순으로 선량이 높았다. 결론: Siemens사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가상쐐기를 사용할 경우 반대측 유방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선량분포는 Varian사 것과 차이가 있었다.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환자자세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 측정 (Contralateral Breast Doses Depending on Treatment Set-up Positions for Left-sided Breast Tangential Irradiation)

  • 주찬성;박수연;김종식;최병기;정윤선;박원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1
    • /
    • 2015
  • 목 적 :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바로 누운 자세 및 엎드린 자세 에 따른 환자 자세변화 시 발생하는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을 사방향 조사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Human Phantom (Anderson Rando Phantom. USA)을 대상으로 실제 좌측 유방암 환자로 가정한 후, Supine용 Breast Board와 본원에서 주문 제작된 Prone Breast Board를 이용하여 처방선량 50 Gy/25회로 치료계획(Conventional technique, Field-in-Field, IMRT)을 수립하였다. 치료 계획 수립 후 Human Phantom 의 중심축을 기준점으로 하여 우측방향으로 0 mm, 10 mm, 30 mm, 50 mm 떨어진 위치에 유리 선량계(GD-302M, SRS Technol, Japan)를 부착한 후 환자 자세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라 산란선량을 측정하였다. 이 때 각각의 자세 측정 시 모의치료 계획과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측정 전 EPID를 이용하여 L-gram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Prone-Device를 이용한 측정 시에는 동일한 입사 점을 확인하기 위해 Human Phantom 에 입사점을 표시하여 5회 측정된 평균값으로 각각의 치료계획 선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각각의 자세에 따른 치료방법에 따라 반대 측 유방의 산란선량을 측정한 결과 바로 누운 자세가 엎드린 자세에 비하여 평균 1.2%~1.8% 이상 치료계획 선량 보다 증가함을 보였고 엎드린 자세일 때는 오히려 치료계획 선량보다 평균 0.81~0.9% 이상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엎드린 자세 일 때 반대 측 유방의 위치 별 흡수선량 값은 바로 누운 자세일 때 비하여 총 처방선량의 평균 2.7%로 최대 4% 이상 나타났으며 Conventional technique이 Field-in-Field나 IMRT 비하여 평균 3.3%이상 높게 나타남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Human Phantom 을 이용하여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을 치료 방법 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실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유방변화를 가정하여 Human Phantom을 위치시켰으나 실제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엎드린 자세 시 환자의 자세 재현의 어려움에 따른 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오차로 인하여 좌측 폐 및 심장 등의 선량을 급격히 줄여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대측 유방에 산란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prone position을 적용할 경우, 치료방법 및 환자 자세확인을 위한 정확한 검증과정의 임상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eatment of Pseudoangiomatous Stromal Hyperplasia of the Breast: Implant-Based Reconstruction with a Vascularized Dermal Sling

  • Jung, Bok Ki;Nahm, Ji Hae;Lew, Dae Hyun;Lee, Dong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30-634
    • /
    • 2015
  • Pseudoangiomatous stromal hyperplasia (PASH) of the breast is a benign mesenchymal lesion with incidental histologic findings. Surgical excision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ASH, although the recurrence rates after excision range from 15% to 22%. A 46-year-old-female presented with a six-month history of bilateral breast enlargement and painful sensation mimicking inflammatory carcinoma. Imaging studies demonstrated innumerable enhancing nodules in both breasts. Due to the growth of the lesions and progressive clinical symptoms, bilateral subcutaneous mastectomy was performed. Grossly, the specimens were round and well-circumscribed, and the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PASH. After mastectomy, we created a pocket with the pectoralis major muscle and a lower skin flap, which was deepithelized. Anatomical mammary implants were inserted, and the nipple areolar complex was transferred to a new position as a free graft. The aesthetic result was satisfactory after twelve months of follow-up.

4주간의 PNF기법을 이용한 어깨뼈 안정화 운동이 유방암 절제술을 한 여성의 어깨뼈 대칭성, 어깨관절 굽힘 가동범위, 통증 및 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Four-week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using PNF technique on Scapular Symmetry and Range of Flexion Motion, Pain,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ost-Mastectomy Women with Breast Cancer)

  • 송민정;강태우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1호
    • /
    • pp.19-2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four-week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using the PNF technique on scapular symmetry and range of flexion motion (ROM), pain,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in post-mastectomy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wom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10) and a control group (n = 10). All patients performed complex decongestive physiotherapy for 40 min daily,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extra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program using the PNF technique for 50 min daily,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Scapular symmetry, shoulder flexion ROM, pain and function, and QOL were subsequently assessed. For ROM measurement, the range of shoulder flexion was measured using a clinometer smart phone application; the pain of the shoulder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scapular position was measured using a lateral scapular slide test (LSST); the level of pain and function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the QOL was measured using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flexion ROM, VAS, SPADI, and LSST 0˚ and 45˚ w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n improved within-group change in the ROM, SPADI, LSST, and QOL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using the PNF technique may be used as a possible treatment option for post-mastectomy women with breast cancer that aims to improve scapular position, shoulder ROM and function, and QOL.

유방암 여성의 대체요법 이용과 영향요인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서연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7-458
    • /
    • 2007
  • Purpose: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identify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o analyze which factor influence CAM use. Methods: 114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identified and approached. The instrument used to gather data were the common types, main reasons and effects as well as stress, mood states and fatigue. Results: 42.7% of all participants reported the use of CAM. The most common types of CAM used were Phellinus linteus, elm tree, and vitamin C. The main reasons for CAM use were to boost the immune system and to prevent recurrence. Prayer, massage, Shitake mushroom, and Ganoderma lucidum were, identified as being more effective than others. 93.6% of the respondents informed their physicians of their use of CA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at stress, mood states,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M use. Conclusion: CAM use is increasing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in the main position to identify what treatments patients are using and implement CAM therapies that can be helpful to relieve patient symptoms related to treat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 PDF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한 선량비교 (Dose Comparison Using Deformed Image Registration Method on Breast Cancer Radiotherapy)

  • 원영진;김종원;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57-62
    • /
    • 2017
  • 본 연구는 거대유방암 환자대상으로 환자의 움직임과 모양의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를 콘빔단층촬영영상(CBCT)과 변형영상정합기법(DIR)을 적용하여 적응형방사선치료계획을 재구성하여 기존에 사용된 쐐기접선조사기법(TWF)과 종속조사면 병합치료방법(FIF) 그리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계획(IMRT)을 이용하여 선량비교평가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CT와 CBCT를 MIM6 사용하여 변형영상정합기법영상(DIRCT)을 만들어 각각의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계획표적체적(PTV)은 왼쪽 유방이고 균질성지표(HI), 적합성지표(CI), 조사범위지표(CVI)의 값을 확인하였다. 관심장기(OAR)는 반대쪽 유방, 폐 그리고 심장이며 평균선량, 최대선량과 장기 특성에 따른 기타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PTV인 유방의 HI 값은 DIRCT를 이용한 모든 치료계획방법에서 증가하였으며, CVI, CI의 결과에서는 DIRCT를 이용한 치료계획방법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폐에서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 이용한 IMRT 치료계획방법이 다른 치료계획보다 증가함을 보였으며, 심장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를 이용한 TWF와 FIF는 감소했으며, 오히려 IMRT의 결과는 증가하였다. 유방암 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움직임과 셋업 오차로 인해 유방모양의 변경을 감암했을 때 TWF와 IMRT보다 FIF 방법을 이용했을 때 반대편 유방과 심장, 폐의 피해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암의 보완대체의학적 치료에 관한 연구 (Systemic Review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Breast Cancer)

  • 박영애;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5-222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ically journals on the studies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Methods: Through medical websites, foreign clinical literature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of breast cancer were searched. The cite used was http://www.Pubmed.gov.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edication, Non-medication therapies and questionnaire reports. Results: 1. We researched 23 papers about herb medicines. Most of papers were about single herb and there were rarely about mixed composition. And there were papers about Ocimum gratissimum, elliptilimba, seeds of Livistona chinensis, golden feverfew which were not commonly used in Korea. 2. We researched 16 papers about acupuncture. Acupuncture had a possitive effect on such symptoms like flushing, nausea and vomitting and pain on upper limb caused by anticancer therapy or tamoxifen or surgery. 3. We researched 36 papers about questionnaire study. Most were about research for women who diagnosed as breast cancer or wome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Subjects were about proportion of using CAM, purpose of using it, most popular CAM therapy, satisfaction degree, and relation with age, aducation and social position. And most conclusion were that patient-doctor communication was needed. Conclusion: Afterwards we have to focus on realisitic clinical studies about breast cancer patients, especially postsurgery and people who takes anticancer therapy. And we have to be interest in acupuncture therapy on breast cancer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