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Radiation Therapy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8초

Resection and Observation for Brain Metastasis without Promp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 Song, Tae-Wook;Kim, In-Young;Jung, Shin;Jung, Tae-Young;Moon, Kyung-Sub;Jang, Woo-You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6호
    • /
    • pp.667-675
    • /
    • 2017
  • Objective : Total resection without consecutive postoperative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is indicated for patients with a single or two sites of brain metastasis, with close follow-up by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iveness, usefulness, and safety of this follow-up regimen. Methods :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5, a total of 109 patients (76 males, 33 females) underwent tumor resection as the first treatment for brain metastases (97 patients with single metastases, 12 with two metastases). The mean age was 59.8 years (range 27-80). The location of the 121 tumors in the 109 patients was supratentorial (n=98) and in the cerebellum (n=23). The origin of the primary cancers was lung (n=45), breast (n=17), gastrointestinal tract (n=18), hepatobiliary system (n=8), kidney (n=7), others (n=11), and unknown origin (n=3). The 121 tumors were totally resected. Follow-up involved regular clinical and MRI assessments. Recurrence-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after tumor resection were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s based on clinical prognostic factors. Results : During the follow-up, MRI scans were done for 85 patients (78%) with 97 tumors. Fifty-six of the 97 tumors showed no recurrence without adjuvant local treatment, representing a numerical tumor recurrence-free rate of 57.7%. Mean and median RFS was 13.6 and 5.3 months, respectively. Kaplan-Meier analysis revealed the cerebellar location of the tumor 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related to RFS (p=0.020). Mean and median OS was 15.2 and 8.1 month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OS. The survival rate at one year was 8.2% (9 of 109). Conclusion : With close and regular clinical and image follow-up, initial postoperative observation without promp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an be applied in patients of brain metastasi(e)s when both the tumor(s) are completely resected.

폐암의 유전자 치료법을 위한 암특이적인 PRC1 프로모터 (A Cancer-specific Promoter for Gene Therapy of Lung Cancer, Protein Regulator of Cytokinesis 1 (PRC1))

  • 조영화;윤혜진;권희충;김희종;조성하;강봉수;김연주;설원기;박기랑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95-1399
    • /
    • 2008
  • 우리는 최근에 PRC1 프로모터가 유방암 유전자치료를 위하여 전사 표적이 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후보 프로모터임을 보고하였다. 우리는 본 실험에서 PRC1이 폐암유전자 치료에서도 적용이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특정 프로모터가 루시퍼라제 유전자와 연결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형질전환 assay에서 PRC1 프로모터는 정상폐세포주에서는 활성을 보이지 않으나 폐암세포주에선 약 30 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이미 암특이적인 발현으로 알려진 BIRC5 (survivin) 프로모터와 유사한 결과였다. 또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PRC1은 CMV 프로모터에 비해 아데노부속바이러스에서 약 75%, 아데노바이러스에서 약 66%의활성을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PRC1 프로모터를 함유한 이 들 두 종류의 바이러스는 정상 폐세포에서는 20%정도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인간 폐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모델을 사용한 결과에서는 PRC1 프로모터가 CMV 프로모터와 비슷한 생체 활성을 보였다. 종합하면, 이상의 결과는 PRC1이 폐암 유전자치료를 위한 전사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로 사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6 MeV Electron Therapy에서의 Electron Dose Distribution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6 MeV Electron Dose Distribution)

  • 제재용;박철우;진성진;박은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66
    • /
    • 2005
  • 목 적 :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전자선은 피부암과 유방암, 두 경부 등의 다양한 부위의 치료에 사용되어진다. 연구에서는 6 MeV에서 bolus 사용 시 SSD setup과 SBD setup에 따른 선량분포를 비교하였고 electron field 내에 nipple이 존재하는 경우의 전자선 dose 분포, 그리고 광자선과 전자선을 같이 사용할 경우 junction 부위에서의 dose 분포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치료성적을 얻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첫 번째 실험은 SSD(source to surface distance) setup과 SBD(source to bolus distance) setup의 전자선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지름이 20 cm인 반구형 파라핀 phantom을 2개 제작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Electron field 내에 nipple이 존재하는 경우에 nipple 위에 bolus가 있을 때와 nipple 만큼 bolus를 제거하였을 때의 선량 분포를 서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nipple과 유사한 형태를 1 cm 두께의 아크릴을 사용하며 정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였다. 세 번째 실험은 필름의 중앙을 기준으로 광자선과 전자선의 junction을 나누었다. 그런 다음 film의 한쪽 반에는 광자선을 조사하고 나머지 반에는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위의 모든 실험은 제작된 파라핀 phantom 사이에 압착용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film(100 NIF, Kodak, France)을 삽입하고 air gap을 없앤 후 beam 중심축과 수평한 방향으로 놓은 후 6 MeV 전자선 20 MU를 조사하였다. 결 과 : SSD setup과 비교하여 SBD setup은 같은 depth에서 선량 분포가 감소해 있음을 알 수 있고 Electron field 내에 nipple이 존재하는 경우 nipple 크기만큼 bolus를 잘라낸 경우에 균일한 선량분포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광자선과 전자선의 junction에서는 전자선 field 전체에 bolus를 사용하는 것이 homogeneous한 선량 분포를 얻음을 알 수 있다. 결 론 : SSD setup과 SBD setup에 따른 선량분포, electron field 내에 nipple이 존재하는 경우의 전자선 dose 분포, 광자선과 전자선을 같이 사용할 경우 junction 부위에서의 dose 분포에서는 bolus의 사용방법에 따라 전자선의 선량분포곡선은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며 본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선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더 효과적인 전자선 치료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est-wall Surface Dose During Post-mastectomy Radiation Therapy, with and without Nonmagnetic Bolus: A Phantom Study

  • Choi, Cheon Woong;Hong, Joo Wan;Park, Cheol Soo;Ahn, Jae Ouk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2호
    • /
    • pp.293-297
    • /
    • 2016
  • For mastectomy patients, sufficient doses of radiation should be delivered to the surface of the chest wall to prevent recurrence. A bolus is used to increase the surface dose on the chest wall, whereby the surface dose is confirmed with the use of a virtual bolus during the computerized treatment-plan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se of the computerized treatment plan and the dose that is measured on the bolus. Part of the left breast of an Anderson Rando phantom was removed, followed by the attainment of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that were used as the basis for computerized treatment plans that were established with no bolus, a 3 mm-thick bolus, a 5 mm-thick bolus, and a 10 mm-thick bolus. For the computerized treatment plan, a prescribed dose regimen was dispensed daily and planning target volume (PTV) coverage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TOG 1304 guidelines. Using each of the established computerized treatment plans, chest-wall doses of 5 points were measured; this chest-wall dose was used as the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hile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The measurement of the chest-wall dose with no bolus is 1.6 % to 10.3 % higher, and the differences of the minimum average and the maximum average of the five measurement points are -13.8 and -1.9, respectively (P < 0.05); however, when the bolus was used, the dosage was measured as 3.7 % to 9.2 % lower, and the differences of the minimum average and the maximum average are 7.4 and 9.0, -1.2 and 17.4, and 8.1 and 19.8 for 3 mm, 5 mm, and 10 mm, respectively (P < 0.05). As the thickness of the bolus is increased, the differences of the average surface dose are further increased.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the surface dose on the chest wall during post-mastectomy radiation therapy, for which verification is required; in particular, a consideration of the appropriat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uses when a bolus is used, and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surface dose on the chest wall, is considered necessary.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볼루스 적용횟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Necessary Number of Bolus Treatments in Radiotherapy after Modified Radical Mastectomy)

  • 홍채선;김종식;김영곤;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17
    • /
    • 2006
  • 목 적: 유방암으로 진단 받고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후 흉벽에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볼루스(Bolus) 적용에 따른 흉벽(흉터, 수술봉합부위)의 피부선량 변화를 분석 하여 적절한 볼루스 적용횟수를 얻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4명의 여성 환자(우측 2명 좌측 2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벽 방사선조사는 4 MV광자선으로 매일 2 Gy씩 주 5회, 접선조사로 치료하였고, 총 조사선량은 50 Gy였는데 동측 내유방림프절은 포함하지 않았다. 치료 계획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흉터 부위의 위치 확인을 위해 방사선비투과성물질인 Angio-catheter를 흉터 위에 위치시켰다.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웠고, 전산화치료계획장치에서 흉터부위 좌우 2 cm 영역을 포함하는 두께 0.5 cm, 넓이 6 cm의 볼루스를 적용시켰다. 계획한 내용을 바탕으로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선량분포 변화와 피부선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열형광선량계 (Thermoluminescent dosimetry: TLD, Harshaw, USA)를 이용하여 관심 부위(흉터 부위 3 지점, 흉터 좌측 1 cm 3지점, 흉터 우측 1 cm 3지점) 9개 지점의 선량을 실측하였다. 결 과: 전산화치료계획장치에서 얻어진 선량분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흉벽 부위에 $95{\sim}100%$ 선량이 감싸고 있었으나, 흉터 주위 피부선량에 있어서는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50{\sim}75%$)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100{\sim}105%$)가 큰 차이를 보였다. 선량분포를 통한 관심지점의 피부선량은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에서 환자 1번 23.3%, 환자 2번 35.6%, 환자 3번 34.9%, 환자 4번 41.7%의 선량 증가를 보였다.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의 TLD 평균 측정치는 환자 1번 161.1 cGy 209.3 cGy 환자 2번 150.2 cGy, 200 cGy, 환자 3번 150.5 cGy, 211.4 cGy, 환자 4번 155.5 cGy 198.6 cGy의 결과를 얻었다. 결 론: 본 원에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흉벽 방사선치료의 가장 적절한 볼루스 적용 횟수는 전 치료횟수의 $50{\sim}60%$ 적용이다.

  • PDF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가관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비약물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 허석모;허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70-284
    • /
    • 2016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유방암 생존자들의 비약물적 추후 관리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 총 참여자는 10명으로 S시 E병원 외래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유방암 생존자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완료한 자들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심층면담 후 Colaizzi의 방법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는 '1.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용이한 방법을 적용함, 2. 변화된 신체 상태를 위해 움직이려 함, 3. 재발 방지를 위해 특정 식용 작물을 섭취함, 4.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양식이 있음,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항상 예의주시함, 6. 주치의 처방외 필요한 치료가 있음, 7.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의 삶을 지향함' 이었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들이 치료 후에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추후관리를 하는지 심도있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본 결과는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실제 관리 양식에 근거한 실행 가능한 지침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것이다.

Therapeutic Regimens and Prognostic Factors of Brain Metastatic Cancers

  • Song, Wen-Guang;Wang, Yi-Feng;Wang, Rui-Lin;Qu, Yin-E;Zhang, Zhi;Li, Guo-Zhong;Xiao, Ying;Fang, Fang;Chen, 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923-927
    • /
    • 2013
  • Objective: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regimen of brain metastatic canc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Methods: Clinical data of 184 patients with brain metastatic cancer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ival time and age, gender, primary diseases, quantity of brain metastatic foci, their position, extra cranial lesions, and therapeutic regimens. Results: The average age of onset was 59.1 years old. The median survival time (MST) was 15.0 months, and th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 the primary disease had the longest survival time. Females had a longer survival time than males. Patients with meningeal metastasis had extremely short survival time. Those with less than 3 brain metastatic foci survived longer than patients with more than 3. The MST of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only and the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only were all 10.0 months while the MST of patients receiving combination therapy was 16.0 months. Multiple COX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primary diseases, and quantity of brain metastatic foci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brain metastatic cancers. Conclusions: Chemotherapy is as important as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rain metastatic cancer. Combination therapy is the best treatment mode. Male gender, brain metastatic cancers originating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ore than 3 metastatic foci, and involvement of meninges indicate a worse prognosis.

뼈전이의 방사성동위원소 통증치료 (Radiopharmaceuticals for the Therapy of Metastatic Bone Pain)

  • 안병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2호
    • /
    • pp.82-89
    • /
    • 2006
  • Bone metastasis is a common sequelae of solid malignant tumors such as prostate, breast, lung, and renal cancers, which can lead to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fractures, hypercalcemia, and bone pain, as well as reduced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of life it occurs as a result of a complex pathophysiologic process between host and tumor cells leading to cellular invasion, migration adhesion, and stimulation of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y. Several sequelae occur as a result of osseous metastases and resulting bone pain can lead to significant debilitat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usually required not only to address the etiology of the pain and its complicating factors but also to treat the patient appropriately. Pharmaceutical therapy of bone pain, includes non-steroidal analgesics, opiates, steroids, hormones, bisphosphonates, and chemotherapy. Whil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remains the mainstay of pain palliation of a solitary lesions, bone seeking radiopharmaceuticals have entered the therapeutic armamentarium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painful osseous lesions. $^{32}P,\;^{89}SrCl,\;^{153}Sm-EDTMP,\;^{188}Re/^{186}Re-HEDP,\;and\;^{177}Lu-EDTMP$ can be used to treat painful osseous metastases. These various radiopharmaceuticals have shown good efficacy in relieving bone pain secondary to bone metastasis. This systemic form of metabolic radiotherapy is simple to administer and complements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has been associated with improved mobility in many patients, reduced dependence on narcotic and non-narcotic analgesics, improved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of life, and, in some studios, improved survival. All of these agents, although comprising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fer certain advantages in that they are simple to administer, are well tolerated by the patient if used appropriately, and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forms of treatment.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salient features of these radiopharmaceuticals, including the usual therapuetic dose,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indications for use and also describe about the pre-management checklists, and jndication/contraindication and follow-up protocol.

유방암 환자의 모의치료, CT 스캔 및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준비 오차 분석 (Analysis of Set-up Errors during CT-scan, Simulation, and Treatment Proc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 이레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69-175
    • /
    • 2005
  • 목적: 방사선 치료 시 3차원 영상 획득에 방사선치료 전용으로 개발된 모의 CT를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많은 병원에서는 일반 진단용 CT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1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모의치료, 진단용 CT기를 이용한 CT 스캔, 및 치료 과정 사이의 준비 오차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준비 오차는 isocenter, SSD, CLD, 및 수술 시 삽입된 클립의 위치들의 변화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모의조사에서 얻어진 x-ray 영상에 나타난 해부학적 구조물과 CT 스캔 시 isocenter를 표시하기 위해 환자의 몸에 부착된 marker를 기준으로 정해진 isocenter에서 얻은 DRR 영상상의 구조물을 비교하여 잘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isocenter가 정해졌고 이러한 isocenter의 위치 변화를 계산하였다. 결과: 21명의 환자 중 7명의 경우 DRR상과 모의치료 필름상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21명의 환자 중 7명이 일치하지 않았으므로 치료계획을 실행하기에 앞서 새로운 isocenter를 정하였다. Isocenter 이동을 근거로 계산된 진단용 CT와 모의 치료간에 발생되는 평균 준비오차의 표준편차는 횡측 방향으로 2.3 mm, longitudinal 방향으로 1.6 mm, 그리고 AP 방향으로 1.6 mm이다. 모의치료와 CT data의 AP 방향 및 tangential 방향에서 측정된 SSD 값의 평균오차 및 표준편차는 각각 $1.9{\pm}2.3\;mm$$2.8{\pm}3.7\;mm$이다. 모의치료와 DRR간의 CLD 오차의 변화범위는 0에서 6 mm 이고 모의치료와 portal 영상간의 오차범위는 0에서 5 mm이다. 클립을 기준으로 계산된 그룹의 systematic error는 횡측 방향으로 1.7 mm, AP 방향으로 2.1 mm, 그리고 SI 방향으로 1.7 mm이다. 결론: 연구 결과 SSD, CLD, 클립의 움직임 및 isocenter의 위치변화 측면에서 분석될 경우 그다지 큰 오차는 발생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 유방암 환자의 경우 진단용 CT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준비오차는 모의 CT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의치료와 CT스캔 사이의 준비오차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CT 영상 획득 시 환자 위치고정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유방암 생존자의 장기간 복합 운동중재에 따른 기능적 체력과 골밀도의 변화 (The Change of Function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n a Long-Term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 김양숙;김미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68-973
    • /
    • 2008
  • 본 연구는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40-60대의 기혼 중년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을 1년간 실시하여 골다공증약과 운동을 병행한 군과 운동군으로 나누어 기능적 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총 24명을 두군으로 나누어, 이중 18명은 골다공증 범위(T-score=$-2.2{\pm}0.8$)에 있으며 복합운동만을 실시하였다. 나머지 6명은 골다공증진단(T-score=$-4.6{\pm}0.9$)을 받고 골다공증약(Alendronate 70 mg/주 당)을 처방 받아 복용하면서 복합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적 체력 요소 중 좌전굴, 악력, 윗몸일으키기에서는 시기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12개월 후, 골 밀도의 변화는 복합운동군(N=18)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복합운동과 골다공증약 복용(N=6)을 병행하고 있는 그룹은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따라서 하타요가, 탄성밴드 및 볼 운동이 포함된 장기간 점진적 강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유방암절제술 여성의 기능적 체력의 개선 및 골밀도 지연에 효과가 있었고, 특히 운동과 골다공증약을 병행한 그룹에서 골다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유방암 수술 후 회복기 운동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앞으로 대상자 수를 늘려 골다공증약과 운동과의 병행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유방암 수술 후 운동중재프로그램의 유형 및 강도를 달리하여 유방암과 골밀도 및 운동과의 관련성을 연구 해 볼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