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un-Blanquet method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Coastal Dune Vegetation of South Korea

  • Lee, Jeom-Sook;Ihm, Byung-Sun;Cho, Du-Sung;Kim, Jong-W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07
  • We used the Braun-Blanquet method to study coastal dune vegetation of South Korea. Coastal vegetation was monitored in thirty sites from April 2004 to September 2005. Seventeen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s follows: A. Two associations of herbaceous sand dune plants in Salsoletea komarovii Ohba, Miyawaki et Tx. 1973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Lathyrus japonicus-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B. Twelve associations of herbaceous perennial sand dune plants in Glehnietea littoralis Ohba, Miyawaki et Tx. 1973 (Carex pumila community, Elymus mollis community, Vitex rotundifolia-Elymus mollis community, Ixeris repens community, Elymus mollis-Ixeris repens community, Lathyrus japonicus community, Messershmidia sibirica community,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Carex kobomugi community, Ishaemum anthephoroides community, Zoysia macrostachya community), C. One association of shrubby perennial sand dune plant in Viticetea rotundifoliae Ohba, Miyawaki et Tx. 1973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D. One association of shrubby perennial sand dune plant in Rosetea multiflorae Ohba, Miyawaki et Tx. 1973 (Rosa rugosa community), E. The naturalized community (Diodia teres community).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林)과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 장규관;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14-222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낙엽 활엽수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신갈나무림을 분류하기 위하여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및 중왕산의 자연 식생 중에서 100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1. 신갈나무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면 신갈나무-당단풍 군락군의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 전형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및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은 다시 복장나무 하위 군락 및 전형 하위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TWINSPAN에 의하여 분류하면 신갈나무-복장나무 군락,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곽, 신갈나무-당단풍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3.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 방법은 상호 보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강원도 신갈나무 군락의 우점도 다양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 장규관;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0-165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중왕산 지역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우점도 다양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가 0.4~1.2, 종풍부도 지수가 2~11, 균재도 지수가 0.6~0.9로 어느 한 값에 치우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상태의 것으로 판단된다. 종서열 중요치 곡선은 모든 군락에서 대수정규분포에 접근하고 있으며, 비교적 기울기가 완만하였다. 그리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의 기울기가 비교적 급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낮았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의 종서열 중요치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높고 군락의 안정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전 장태산, 해태산, 안평산과 구봉산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area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김효정;이미정;권오원;신동훈;이규석;서병기;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47-5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76 plots were sampled.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verage coverage rate was 85% in tree layer, 44% in subtree layer, 37% in shrub layer, 25% in herb layer,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s were 58.76 in Pinus densiftora, 44.86 in Quercus monegolica, 44.06 in Quercus variabilis, 33.00 in Quercus serrata, 18.73 in Rhus trichocarpa, 18.07 in Prunus sargentii. DBH range of most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more decad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north and east slope in a high-altitude and relative good nutrition condition. Querucus variabilis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south slope in a middle-altitude and medium nutrition condi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poor nutrition condition.

금산 진악산의 산림군락 분류 및 구조 분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of Jinaksan Forest in Geumsan)

  • 지윤의;이미정;김효정;이규석;이선;송호경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62-270
    • /
    • 2003
  • 본 연구는 충남 금산군에 위치한 진악산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으로 임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진악산의 26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산림군락은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피도율은 교목층이 79.4%, 아교목층이 27.6%, 관목층이 37.0%, 초본층이 31.1%의 순으로 나타났다. DBH 2 cm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는 신갈나무가 45.51, 소나무가 44.17, 굴참나무가 27.56, 졸참나무가 26.78, 갈참나무가 20.81, 벚나무가 15.58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소나무는 5 cm이하의 어린 개체와 15 cm이상의 큰 개체는 적고 5~15cm의 중간 개체가 많아 이들이 당분간 우점할 것으로 판단된다.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 Hwang, Ki Seon;Jung, Sunghoon;Kim, Sung-Chul;Chung, Doug-Young;Park, Kee 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25-33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maintained for organic farming for more than five years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of Korea. According to the Braun-Blanquet method, 42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organic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while 38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conventional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wo years' survey, 53 species from 24 families in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32 annuals, 3 biennials and 18 perennial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51 species from 24 families (30 annuals, 6 biennials, and 15 perennial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family,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were Compositae (9 species), followed by Poaceae (8 species) and Polygonaceae (6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Compositae (9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followed by Cruciferae (6 species), Poaceae, Polygonaceae, and Cyperacea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in diversity of weeds in paddy fields was influenced more by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an the type of cultivation.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to control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the paddy fields.

도시 내 고립된 임지의 경시적 식생특성 변화: 부산광역시 황령산을 사례로 (Changes i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ver Time in the Isolated Forests of the Urban Areas: A Case Study on the Mt. Hwangyeong, Busan Metropolitan City)

  • 조재형;박찬열;오정학;김준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284-293
    • /
    • 2016
  • 도시화에 의해 고립된 임지의 식생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황령산을 대상으로 1996년과 2015년에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종조성기준)은 군락군수준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군락수준이하에서는 다소 변화가 나타났다. 단위면적당($/100m^2$) 총피도와 평균종수는 각각 1996년 175%, 17종에서 2015년 191%, 19종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구성종의 상대중요치는 아교목층 이하에서 한반도 잠재자연식생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는 감소한 반면, 난대 및 상록성 식물인 비목나무, 때죽나무, 구골나무 등과 생태적 적응 범위가 넓은 국수나무가 크게 증가하였다. 생활형 조성은 전체적으로 1996년과 2015년 모두 $MM-R_5-D_4-e$로 변화가 없었으나, 휴면형의 경우 반지중식물(H)과 일년생 식물(Th)이 감소한 반면 관목성인 미소지상식물(N)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종자 산포형의 경우 풍수산포형($D_1$)은 다소 감소한 반면, 동물산포형($D_2$)은 70%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상관식생 유형의 공간적 분포 특성의 변화를 대축척(1/5,000) 정밀상관식생도를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Templ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

  • 송주현;권순선;김호진;이정은;윤이슬;;김현섭;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2-733
    • /
    • 2019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된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사찰림의 생태적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9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느티나무-으름덩굴-황매화군락(VU1), 졸참나무-작살나무-까치박달군락(VU2), 소나무-산벚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VU3)으로 식생유형이 각각 구분되었으며, 각 식생단위별 지표종은 각각 12분류군, 8분류군,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식생단위에서 느티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의 종다양도가 0.939으로 다른 식생단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유형과 무생물적입지환경, 생물적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CCA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는 식생단위 2와 해발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섬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연구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at the Coastal Sand Bars in the Nakdong Estuary, South Korea)

  • 이율경;안경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11-922
    • /
    • 2012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연안 사주섬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총 118개의 식생자료를 획득되었다. 좌표결정법에 의해 식물종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RIM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총 12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으며, 건생형과 습생형으로 대분류 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사주와 염습지를 대표하는 하는 식생형으로 건생형은 해송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군락, 띠군락, 물억새군락, 갯메꽃군락, 습생형은 개수양버들-산조풀군락, 갈대-산조풀군락, 쇠보리-갈대군락, 갈대군락, 새섬매자기군락, 나문재-칠면초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간적으로 건생형 초본과 염습지의 갈대군락 및 새섬매자기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해안 사주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해안가에서는 새섬매자기군락이 관찰되었다. 현존식생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구성하는 식생유형은 새섬매자기군락, 염습지 갈대군락, 건생초원식생이다. 대부분의 사주섬 가장자리에는 염습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그 외곽에 새섬매자기군락이 발달하고 있다. 해안 사구식생과 염습지 식생은 각각 말단사주섬의 전방과 후방 지역에 분포하였다.

Study on the diagnosis of disturbed forest eco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n case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 Lee, Seon-Mi;Cha, Jae-Gyu;Moon, Ho-Gy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7호
    • /
    • pp.182-190
    • /
    • 2017
  • Background: Baekdudaegan was designated in 2005 as a protected area to prevent destruction and conserve. However, there are many disturbed and destroyed areas. The total disturbed area amounts to $25.9km^2$ (0.94%), including $13.4km^2$ (0.49%) in the core area and $12.5km^2$ (0.45%) in the buffer area.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vegetation types established in the disturbed areas and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 forest ecosystem. Methods: We surveyed the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s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and the surrounding natural area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5 targeted a total of 54 quadrats by Braun-Blanquet method (Daegwallyeong, 22; Chupungryeong, 32). We also investigated the height and coverage of each layer. We classified the vegetation types based on the field data and analyzed the ratio of life form and the exotic plants, species richness, and vegetation index (Hcl).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s calculated from rapideye satellite imagery in 2014 and 2015. Result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11 group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at included successional sere or plantation at first, followed by developmental stage and origi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pecies richness, vegetation index (Hcl), ratio of tree plants, and the NDVI tended to increase, while the ratio of the exotic plant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time since disturbance. These indicators had the classified valu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types with time since the disturbance. Conclusions: These indicators can be effectively used to diagnose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 of the Baekdudaegan area. In addition, the NDVI might be effective for the diagnosis of the disturbed status instead of the human efforts based on the higher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ry. Appropriate diagnosis of the disturbed forests in the Baekdudaegan area considering the established vegetation types is essential for the elaboration of restoration plans. In addition, restoration target and level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urbed status of restoration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