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nolid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3초

들깨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Perilla frutescense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97-202
    • /
    • 1993
  • 들깨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 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에 대해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main brassinosteroid로 castasterone이 그리고 minor brassinosteroid로 homodolicholide가 최초로 동정되었다. 들깨에 함유된 brassinosteroid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0.8\;ng$ 수준이었다.

  • PDF

Cinosulfuron과 Dymron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수도(水稻)(Oryza sativa L.)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ixed Application of Cinosulfuron with Dymron on Rice)

  • 최용석;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123
    • /
    • 1992
  • 제초제(除草劑) cinosulfuron에 대(對)한 수도(水稻)의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을 검정(檢定)하고 여러 가지 제초제(除草劑)에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ymron을 대상(對象)으로 cinosulfuron에 대(對)한 약해경감효과( 藥害輕減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한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cinosulfuron에 대한 수도(水稻) 104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의 반응(反應)은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에 따라 반응(反應)이 달랐는데 cinosulfuron 1ppm 처리(處理)에서 Daeseongbyeo, Iri 371, Jaseongbyeo, Taebaegbyeo, IR 74 등(等)은 높은 내성(耐性)을 보인 반면(反面)에 Calrose, Dasukei, Hwajinbyeo, Kwangmyungbyeo, Milyang 105 등(等)은 상당한 감수성(感受性)을 보여 대체로 indica type과 indica ${\times}$ japonica 교잡종(交雜種)이 japonica type보다 cinosulfuron에 내성(耐性)을 보였다. 2. Cinosulfuron 48g 및 96g ai/ha를 dymron 450g ai/ha와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 광명벼에서 처리량(處理量)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에 있어서 상당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발휘(發揮)하였다. 반면에 IR 74는 초장(草長)에 대(對)한 억제(抑制) 그다지 크지 않아 경감효과(輕減效果)가 뚜렷하지 않았다. 3. Dymron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광명 벼 및 IR 74 두 품종(品種)에 모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Cinosulfuron과 dymron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초장(草長)에 있어서 품종(品種) 및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보였다. 생체중(生體重)에 있어서는 dymron과 cinosulfuron 24g ai/ha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를 제외(除外)한 모든 처리(處理)에서 拮抗作用(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실내(室內) 샤레 검정(檢定)에서는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신초보다 뿌리의 억제(抑制)가 심했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japonica type의 광명벼 및 화진벼가 indica type의 IR 74 보다 신초 및 뿌리의 억제(抑制)가 심하였다. Cinosulfuron과 dymron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품종(品種) 및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신초, 뿌리 및 생체중(生體重)에 대해 cinosulfuron의 약해(藥害)를 상당히 경감(輕減)시키는 효과(效果)를 보였다. 4. Cinosulfuron과 brassinolide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초장(草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inosulfuron 24g ai/ha에서는 brassinolide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두 품종(品種)이 비슷하였으나 cinosulfuron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광명벼가 IR 74보다 더 억제(抑制)되었다. 5. Cinosulfuron과 ABA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초장(草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cinosulfuron 96g ai/ha에서 AB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광명벼와 두 품종(品種) 모두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보였다. 그러니 생체중(生體重)에 대해서는 96g ai/ha에서 광명벼는 상승적(相乘的), IR 74는 길항적(拮抗的)으나 ABA 처리(處理) brassinolide와 마찬가지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Brassinolide와 Auxin류(類)의 식물(植物)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가 무우 자엽병(子葉柄)의 굴절(屈折)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rassinolide and Auxin Type Plant Growth Regulators on Radish Petiole Curvature)

  • 최충돈;죽송철부;죽내안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4-89
    • /
    • 1987
  • HBR[(22s, 23s)-homobrassinolide]과 auxin류(類)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단독(單獨) 또는 혼용(混用) 처리시(處理時) 무우 자엽병(子葉柄)의 상편생장(上偏生長)(굴절(屈折))에 어떻게 影響(影響)을 마치는가를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HBR 단독처리(單獨處理)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무우 자엽병(子葉柄) 굴절(屈折)에 영향(影響)하지 않았다. 2. 천연식물생장조절제(天然植物生長調節劑) IAA, IBA, NAA의 굴절효과(屆折效果)는 짧았고 IAA는 처리후(處理後) 4(시간(時間)), IBA는 12~24 시간(時間), NAA는 12 시간(時間) 지나면 감소(減少)하였다. 이 가운데 NAA 100ppm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높았고 IAA 처리(處理)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고 IAA 처리(處理)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효과(效果)가 낮았다. 3. 합성(合成) auxin 류(類)인 MCP나 2, 4-D의 굴절효과(屈折效果)는 대체로 36시간(時間) 지속(持續)되었으며 고농도(高濃度)인 100 ppm에서 무처리(無處理)에 3배(倍) 이상(以上) 증대(增大)시켰다. 30ppm 이하(以下)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효과(效果)도 작고 농도간(濃度間) 차(差)도 작았다. 4. NAA와 HBR의 혼용(混用)은 NAA 100ppm 처리(處理)에서 HBR 100 ppm 단독(單獨)보다 약(約) 3배(倍) 증대(增大)시켰으나 30 ppm 이하(以下)의 농도(濃度)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5. HBR에 MCP 3ppm의 혼용(混用)은 HBR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比)하여 굴절각(屈折角)을 약(約) 3배(倍) 증대(增大)시켰다. HBR과 2.4-D의 혼용(混用)은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굴절각(屈折角)의 반응(反應)이 크게 나타났으며 100 ppm 혼용(混用)에서 HBR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比)하여 약(約) 8배(倍) 증가(增加)시켰다.

  • PDF

Brassinolide와 기존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 (Interaction of Brassinolide with Other Known Plant Growth Regulators)

  • 최충돈;죽송철부;죽내안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8-83
    • /
    • 1987
  • 새로운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인 brassinolide와 기존(旣存)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과의 혼용(混用)의 효과(効果)를 우우 불배축(不胚軸)의 신장반응(伸長反應)으로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HBR 단독처리(單獨處理)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0.1 에서 1.0ppm 증가(增加)할 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촉진(促進)되었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1.0 ppm에서 60% 이상(以上) 증대(增大)시켰다. 2. GA나 BA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처리농도(處理濃度)에 관계(關係)없이 하배축(下胚軸) 신장(伸長)을 촉진(促進)시키지 못하였으나 IAA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할 수록 다소(多少) 증가(增加)시켰다. 3. HBR과 GA, BA 및 IAA와의 혼용(混用)은 HBR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의 증대(增大)시켰다. 4. HBR과 GA 및 BA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의 반응(反應)은 대체로 길항적(拮抗的)이며 HBR과 IAA와는 HBR의 0.03 ppm에서 0.3ppm과 IAA 3.0ppm에서 10.0 ppm 혼용(混用)에서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으며 저농도(低濃度) 조합(組合)에서 5% 미만(未滿)의 길항(拮抗) 또는 상가반응(相加反應)을 보였다. 5. B-9과 CCC 단독처리(單獨處理)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억제(抑制)되었으나 HBR과 혼용(混用)하므로 신장(伸長)이 회복(回復)되었고 HBR에 의해 유도(誘導)된 신장(伸長)이 B-9에 의해서 억제(抑制)되지 않았으나 CCC에 의해서는 크게 억제(抑制)되어 강(强)한 길항관계(拮抗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oryza sativa seeds)

  • 박근형;김선재;박종대;이란숙;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76-380
    • /
    • 1993
  • 벼종자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진벼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등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erone, teasterone, 6-deoxocastasterone이 최초로 동정되었다. 벼종자에 함유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1.5\;ng$ 수준이었다.

  • PDF

24-Epibrassinolide Modulate Cellular and Organogenic Response of Explants of Brassica Species, in vitro Culture

  • Rocha Andrea da S.R.;Coutinho Camila M.;Braga Eugenia J.B.;Peters Jose A.;Binsfeld Pedro Canisi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161-167
    • /
    • 2005
  • Brassinosteroids are steroidal plant hormones and are known to modulate physiological and cellular response i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Considerable insights has been achieved of the physiological role of brassinosteroid in Brassica species in the past few years, but their effect on direct organogenesi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In this sense, under optimal basal media and growth conditions we tested the cellular and organogenic response of 24-epibrassinolide (EBL) in a variable concentration (0.1 to $5.0\;{\mu}M$) and Zeatin (Z) (1.0 to $100\;{\mu}M$) and their synergic effect on hypocotyl explants of cauliflower and broccoli. The isolated EBL accelerated cell elongation and promotes direct organogenesis. One micromolar EBL + $10\;{\mu}M$ of Z was the most efficient combination for cell elongation, cell differentiation as well as for organogenesis. A suppressing effect on root induction was confirmed for all the tested hormone levels. The general results indicate a synergic effect of EBL-Z and EBL potentates Zeatin activity, at least in certain tissues. Besides de genetic factors, we can speculate that the natural hormone concentration in the explants might affect the responses by application of exogenous growth regulators. Experiments with new plant growth regulators, like brassinolide, are important aiming to maximize or accelerate plant regeneration for in vitro multiplication or for genetic transformation.

옥수수 유식물 신초에서 Brassinosteroid류의 동정 및 생합성 경로 추정 (Identification and Biosynthetic Pathway of Brassinosteroids in Seedling Shoots of Zea mays L.)

  • 강민욱;김영수;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411-419
    • /
    • 2003
  • GC-MS/SIM를 통하여 옥수수 유식물 신초로부터 해 castasterone (CS)과 6-deoxocastasterone (6-deoxoCS)을 동정하였다. 또한 BRs의 생합성 전구물질인 24$\alpha$-methylcholesterol과 24$\alpha$-methylcholestanol이 동정하였다. 이들 BRs와 생합성 전구물질은 BRs의 생합성과정 중 후기 C6산화과정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는 BRs의 생합성 과정으로 후기 C6산화과정이 주된 생합성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옥수수 유식물 줄기내의 BRs가 발아와 더불어 종자에서부터 이동해 온 것인지, 아니면 줄기 생장 시 줄기 자체가 생합성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몇몇 중요한 후기 C6산화과정의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활성이 유식물 줄기에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후기 C6산화과정에 포함되는 24$\alpha$-methylcholestanol에 서 6-deoxocathasterone (6-deoxoCT), 6-deoxoteasterone (6-deoxoTE) 에서 6-deoxo-3-dehydroteasterone (6-deoxo-3-DHT)을 거쳐 6-deoxotyphasterol (6-deoxoTY),그리고 6-deoxoCS에서 CS로의 과정을 촉매하는 24$\alpha$-methylcholestanol 22(R)-hydroxlyase, 6-deoxoTE dehydrogenase/6-deoxo-3-DHT reductase, 6-deoxoCS oxidase의 활성이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식물 줄기 생장 시 필요한 BRs가 발아종자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유식물 줄기 자체에서 생합성 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 CS를 brassinolide(BL)로 전환하는 BL synthase의 활성이 검출되지 않아,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의 활성형 BR은 BL이 아닌 CS임을 밝혔다.

수경재배 영양결핍토마토에서 브레시노스테로이드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BAK1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rassinosteroid-Related Protein, BAK1 from Nutrition Deficient Tomato Cultivated by Soilless Cultivation System)

  • 신평균;장안철;홍성창;이기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29-1733
    • /
    • 2007
  • BAK1(Brassinolide insensitive associated receptor kinase 1)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 대사관련 신호전달 매체이다. BR 생합성 및 신호전달 돌연변이체는 매우 특징적인 난쟁이 표현형을 보인다. 과채류전용 양액배지인 Sonneveld 양액을 이용하여 양분결핍에 의해 왜성을 나타내는 토마토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토마토에 대해 이차원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체를 분석한 결과, 발현차를 나타내는 28개의 단백질 spot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단백질 spot중 현저하게 발현이 억제된 단백질 spot 6개를 선발하여 단백질 서열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pI 4.5, 분자량 24 kDa를 나타내는 단백질은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에 관여하며 왜성 표현형을 나타내는 신호전달 단백질, BAK1으로 동정되었다. BCK1, cystein proteinase, sulfutase, peroxidase, zinc finger factor로 동정 된 나머지 단백질들은 브레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관련 신호전달기작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추정되었다. BAK1을 검정하기 위해 단백질 서열이 결정된 부위로부터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RT-PCR를 수행한 결과, 증폭된 500 bp의 산물이 정상과 발현차를 보여주었는데 이 결과는 양분조절에 의해서도 BAK1의 발현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teraction of brassinosteroids and cytokinin in modulating light mediated signaling in Arabidopsis

  • Hwang, Indeok;Paudyal, Dilli P.;Cheong, Hyeonsook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4-31
    • /
    • 2008
  • Brassinosteroids (BRs) are a special class of plant steroid hormones that are essential for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Part of confusion is whether BRs are unique to plants, because they have overlapping physiological roles with other better-studied hormones and with physiological responses caused by light. In systems designed to assay for cytokinins, the effects of BRs vary. We measured hypocotyl length for testing the ability of brassinolide (BL) to rescue double mutant between det2 and the photoreceptor null mutant phytochrome B (phyB). PHYB involved in controlling hypocotyl elongation in increased concentration of BL whereas phyBdet2 double mutant just partially rescue to phyB in white and red light indicated the involvement of BRs in PHYB regulated cell elongation. BRs regulated hypocotyl growth was delayed by BAP, a cytokinin treatment but inhibitory effects of BAPs on hypocotyl growth was slightly recovered by BL.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ode of action of BR and cytokinin is independent or sequential in the downstream light-regulated response control on hypocotyl elongation and also light modulated the action of BR and cytokinin in some ex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