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 oleracea L.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s of different sulfur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and light source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 Park, Ye-Jin;Chun, Jin-Hyuk;Woo, Hyunnyung;Maruyama-Nakashita, Akiko;Kim, Sun-Ju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61-271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glucosinolates (GSL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TBC')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lfur ions in sprout's nutrient solutions (0.0, 0.5, 1.0, and 2.0 mM) and to different light sources [Fluorescent lamp, Red, Blue, and Mix (R+B) LED]. Kale sprouts were cultivated in a growth chamber for 13 days in sulfur solutions. Kale sprouts were treated with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sources for 5 days, from eight days after sowing to harvest. Amount of seven types of GSLs (progoitrin, sinigr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and neoglucobrassicin) were measured in kale sprouts after harvest. The total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and it was the highest at S 0.5 mM ($172.54{\mu}mol{\cdot}g^{-1}DW$) and the lowest at S 2.0 mM ($163.09{\mu}mol{\cdot}g^{-1}DW$). The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light source, and it was the highest with Red LED ($159.23{\mu}mol{\cdot}g^{-1}DW$) and the lowest with Blue LED ($147.57{\mu}mol{\cdot}g^{-1}DW$). As the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increased under all light source, progoitrin and sinigrin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hile glucobrassicin content showed an upward tendency for all of the light sources. The content of glucobrassicin was higher than that of progitrin when treated with sulfur solutions for all LED light sources. Sinigrin, which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showed the highest rate (92.2%) among all the GSLs, under all of the light sources.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lodes))

  • 이미란;강창희;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9-202
    • /
    • 2017
  • 본연구는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콜라비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폴리페놀 함량($27.33{\pm}0.26mg\;GAE/g$)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IC_{50}\;172.9{\pm}1.6{\mu}g/mL$)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항염 활성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보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들에 대한 저해효과를 농도별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콜라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_2$ 생성과 iNOS와 COX-2 및 TNF-${\alpha}$, IL-6, IL-$1{\beta}$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라비가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가지는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브로콜리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 임은정;김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5
    • /
    • 2009
  • 브로콜리 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가루 양에 대한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을 0%, 3%, 5%, 7%, 9%로 각각 달리 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3% 첨가구를 제외하고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퍼짐성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퍼짐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손실율은 3%와 5%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7%와 9% 첨가구는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증가하였다. 팽창율은 5% 첨가구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왔고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9%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왔다.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3%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브로콜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외관, 향기, 색,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5%와 7%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향기는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와 7%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색은 3%와 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고, 7%와 9%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과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7%가 가장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는 브로콜리 분말을 쿠키 제조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개발 가능성 검토 결과, 브로콜리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을 고려한 기호식품의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 된다.

  • PDF

Myo-inositol increases the plating efficiency of protoplast derived from cotyledon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 Jie, Eun-Yee;Kim, Suk-Weon;Jang, Hye-Rim;In, Dong-Su;Liu, Jang-Ryo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69-76
    • /
    • 2011
  •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myo-inositol on sustained cell divis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derived protoplast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Freshly isolated protoplasts were cultured in modified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removed ammonia ions and containing $0.4\;mg\;l^{-1}$ thiamine HCl, $100\;mg\;l^{-1}$ myo-inositol, $2\;mgl^{-1}$ 2,4-D, $0.5\;mgl^{-1}$ BA, $30\;gl^{-1}$ sucrose and several concentrations of myo-inositol (2, 4, 6, 8, 10% (w/v)) as an osmotic stabilizer. After 3 weeks of culture in the dark at $25^{\circ}C$, the plating efficiency of cabbage protoplasts reached to $22.5{\pm}2.9%$ when cultured in modified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mgl^{-1}$ 2,4-D, $0.5\;mgl^{-1}$ BA, $30\;gl^{-1}$ sucrose and 8% (w/v) of myo-inositol at a density of $2{\times}10^5$ protoplasts/ml. Rapidly growing cell colonies after 3 weeks of culture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culture medium removed osmoticum. To induce shoot regeneration from calluses, calluses with about 2 mm in diameter were transferred to the MS medium containing $2\;mgl^{-1}$ BA and $0.5\;mgl^{-1}$ NAA. After further three weeks of incubation onto the medium in the light, green shoot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calluses at a frequency of 30%. Upon transfer to half-strength MS basal medium, roots were formed onto the bottom of regenerated shoots without auxin treatments. These regenera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to soil transfer, grown to normal mature plants. The cabbage protoplast culture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production of somatic hybrids or cybrids by asymmetric protoplast fusion and mass proliferation of elite somatic clones of cabbage.

가묘상을 이용한 잡초관리가 잡초발생과 유기농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ed Managements after False Seedbed on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Organic Chinese Cabbage Growth)

  • 조정래;이병모;안난희;옥정훈;신재훈;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61-771
    • /
    • 2014
  • 본 시험은 유기재배 배추(Brassica oleracea L.)에서 가묘상 준비 후 잡초관리 방법이 잡초발생과 배추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봄과 가을작기에 수행되었다. 잡초관리 방법에는 천경, 화염, PE멀칭, 무처리를 포함하였다. 천경처리는 봄작기에서 잡초억제 효과가 작았으나 화염처리는 봄과 가을작기 모두 효율적으로 잡초를 억제하였다. 봄작기에는 PE멀칭구에서 30%의 tip-burn이 관찰되었다. 가묘상 준비에 의한 잡초관리로 봄과 가을작기 모두 관행 PE멀칭과 비슷한 엽수와 신선중 및 수량이 가능하였다. 결구정도는 무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을작기는 봄작기 보다 잡초생장이 감소되었고 이에 따라 배추 수량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묘상을 통한 천경이나 화염처리는 잡초발생을 크게 감소시켜서 PE 멀칭 대용으로서 친환경적인 초생관리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식용식물의 항산화 효과 검색과 산초의 항산화 성분 (Further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Plants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Zanthoxylum schinifolum)

  • Mun, Sook-Im;Ryu, Hong-Soo;Lee, Hee-Jung;Park, Jae-Su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66-471
    • /
    • 199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thirty plants was tested using the methol of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eactivity. Four methanol extracts from Zingiber officinale, Piper nigrum ,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Capsocum annuum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ext effective ones were Perilla frutescens , Sedium sarmentosum , Raphnus sativas, aArctium lappa, Beta vulgari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bBrassica juncea inorder, and the others did not show a considerable activity.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seed coa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as fractinated with several sovlents. The interphase materials exhibit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and was further purified by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ormatography. Two active principl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quercetin -3-O-$\alpha$-L-rhamonopyranoiside(quercitrin) and quercetin 3-O-$\alpha$-D-galactopyranoside (hyperoside) by ultraviolet(UV), proton nuclear magetic resonance (1H-NMR) and carb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13C-NMR). Its antioxidative activity was a little higher that that of L-ascorbic acid.

  • PDF

브로콜리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 임은정;이현순;이유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3-880
    • /
    • 2010
  • 브로콜리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서 3%, 5%, 7% 및 9%의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 반죽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검토해 본 결과, 비중은 대조구가 0.4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3% 첨가구가 0.46, 5% 첨가구와 7% 첨가구가 0.47, 9% 첨가구가 0.48로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첨가구들의 비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브로콜리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굽기 손실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반죽 수율의 경우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브로콜리 첨가에 의하여 케이크의 색은 다소 어둡고 푸른색을 띄는 변화를 보였다.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다른 첨가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브로콜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도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브로콜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texture 특성으로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검성(gumminess)을 측정하였다. 대조구의 경도는 브로콜리 분말첨가 비율 증가에 따라 경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응집성은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스폰지 케이크의 탄력성은 브로콜리 분말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검성 또한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색, 향기, 조직감,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향기를 제외하고 모든 부분에서 브로콜리 분말 7% 첨가구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성(p<0.05) 있는 결과가 나타나, 브로콜리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적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3T3-L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3T3-L1 Cells)

  • 송미연;이재준;차선숙;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3
  • 본 연구는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_3T_3-L_1$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의 등지방에서 분리했다. 세포를 접종한 1일 후에 세척했고(day 0),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일 동안(day 0~day 2) 25 ng/ml과 100 ng/ml의 콜라비 알코올 추출물(과피와 과육)를 처리했다. 세포분화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DMEM/F- 12 배지에 6일 동안(day 0~day 6) 배양하고 배양초기 2일 동안(day 0~day 2) 콜라비를 처리하고 day 6에 세포 분화를 측정했다. 콜라비 과피 25 ng/ml와 100 ng/ml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각각 4.59%, 17.7% 억제했고, 콜라비 과육은 각각 11.4%, 19.2% 억제했다. 반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다. 콜라비가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돼지 지방전구세포처럼, 세포 배양초기 2일간 콜라비를 처리했는데 콜라비 과피와 과육 둘 다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비는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고, 한편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