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Category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기아자동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Innovative Product Strategy of KIA SOUL - Attract customers' soul -)

  • 이두희;이종호;전기흥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151-165
    • /
    • 2009
  • 본 사례는 Crossover Utility Vehicle (CUV)의 선구자인 기아자동차 SOUL이 혁신적인 제품전략을 통하여 어떻게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통적인 시장세분화 기준에 치중하여, 여러 소비자 계층들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의 기회를 놓치고 있었다. 기아자동차 SOUL은 여러 소비자 계층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기회를 포착하고, 기존 소비자 계층별 가치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었다. 본 사례는 포화상태에 있는 자동차 산업에서 혁신적인 제품전략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기아자동차 SOUL의 혁신적 제품전략을 크게 디자인 혁신, CUV 시장 개척, 고객을 위한 맞춤서비스 제공, 그리고 기능 혁신의 4가지 축으로 설명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은 블루오션 개척을 계획하고 있는 많은 기업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PDF

파타고니아 '원 웨어 (Worn wear)' 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Patagonia 'Worn wear')

  • 박소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1
    • /
    • 2020
  • This study looks 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is required for the fashion industry and brands in modern times. The American fashion brand known for i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atagonia' is the case study for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to eco-friendly, outdoor and casual apparel fashion brands that want to introdu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by considering the case of Patagonia's "Worn Wear" campaig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evious studies on Patagonia, and literature,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media, Patagonia's official homepage, specialty publications, and media. The study concern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focused on Patagonia's "Worn Wear". Worn Wear is Patagonia's system that repurchases and repairs products from Patagonia's own consumers. The study found that the well know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led to increased sales. Patagonia'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thought to be part of the brand identity that goes beyond marketing. In the Worn Ware case, repurchasing products from consumers and reselling them or reprocessing them resulted in increased sales, increased consumer engagement, and higher brand attention. The suggestion for a fashion company or brand in a category similar to Patagonia that is looking to engag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bty is to adopt and continue a campaign that 'consists of a successful marketing image, connecting memories and new experiences, separated shopping channels while diversifying the creation of distribution and contact channels'.

두류식품의 지역 이름 브랜드화의 효과: 한국 소비자의 종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on Soybean Products: Evidence from Consumer Longitudinal Data in Korea)

  • 김태경;정구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09-116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rchase pattern relating to soybean products in Korea. Specifically, the effect of branding based on a regional na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nsumer purchase frequenc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family characteristics affect product selection for a regional brand in the soybean food categ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d data collec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The RDA has monitored agricultural food consumers for years in order to obtain purchase records. Panel participants live in regions near the capital city of Seoul, Korea. Examining data from January 2010 to May 2016, 667 famil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al data set was 1,335,402. Each purchase item by each individual family was aggregated to a countable weekly observation. To analyze the data set quantitatively, zero-inflation regression was adopted, which was appropriate to avoid biases from overly dispersed observations. Results -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a regional brand of soybean products. The result strongly supported this hypothesi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the soybean products of a regional bran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was the pres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family size, which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As a supplementary analysis, we also tested mean-variance differences in terms of categories and regional branding with corporate branding.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for regional branding strategies in agricultural food management. This study appears to be one of the seminal studies trying to analyze purchase patterns from longitudinal obser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variables characterizing family lifestyle.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ldren and family size should be considered when soybean product brands are introduced.

해외 디지털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패션디자인 요소의 특징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Digital Fashion Design Elements Focusing on Overseas Digital Fashion Brands)

  • 홍윤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1호
    • /
    • pp.77-109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overseas virtual fashion brands and analyze attributes of common digital fashion brands. Based on brand analysis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digital fashion brands were analyzed for brand concept, price rang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attributes. Digital fashion design elements of items, colors, materials, patterns,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images of brands' digital fashion design products. Digital fashion brands could b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reative digital fashion brands and digital fashion brands aiming for popular brands. This study introduces a creative fashion collection that experiments sustainability and future value. It shares a new way of self-expression and a playful culture centered on the younger generation. In terms of fashion design elements, fashion items were similar to the existing fashion category, but included other accessories that reflected the lifestyle of Generation Z. Silhouette expressed a minimalistic futuristic image centered on straight silhouettes. Color showed a bold and modern color image through black and color contrast. Unique patterns reflecting the concept of the brand appeared, centering on abstract and geometric patterns. Regarding materials and effects, new element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ashion design area, showing meaningful characteristics. Digital materials are developed and proposed for sustainability.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 plastic) and effects (such as weightlessness, flames) expand impossible senses in reality and enable new fashion experiences. This is a case study of digital fashion brand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characteristics and discusses their values and meanings.

패션브랜드 자산 측정모델의 등치테스트에 관한 연구 (Testing for Measurement Invariance of Fashion Brand Equity)

  • 김혜정;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83-1595
    • /
    • 2004
  • 치열한 경쟁구조하의 패션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자산은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이는 브랜드 자산이 소비자가 브랜드에 가치를 부여하는 원천을 알게 함으로써 향후 브랜드 전략 수립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브랜드 자산 관리에서의 핵심이란 곧 소비자 자산의 측정에 관한 부분일 것이다. 과거 20여 년간 마케팅 분야에서는 브랜드 자산 측정방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기존의 접근에서 다루어진 패션브랜드 자산의 측정들은 패션브랜드만의 다차원적인 사회 심리적 특성을 반영하기에 미흡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김혜정과 임숙자(2002)는 Heller(2001)의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을 기초로 하여 패션 브랜드 자산의 척도를 제안하였다. 그들은 패션브랜드 자산은 소비자 지각에서 위계적인 형성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형성과정은 브랜드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나 각 브랜드 간의 자산 크기에 대한 상대적 비교는 유보되었는데, 이는 보다 엄격한 psychometric 검증을 결여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의 후속 분석으로, 측정척도에 대한 확증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이의 측정모델(Measurement Model)에 대한 다모집단(Multi-Group)의 등치테스트(Invariance Test; 동일변량 가정)를 통해 경쟁관계의 두 브랜드에 대한 자산 크기의 상대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AMOA 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패션브랜드 자산은 6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다차원의 개념이며 이들은 16개의 관찰변수를 통해 유의하게 측정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객-브랜드 공명'차원을 제외한 5개의 구성요소(고객감정, 고객판단,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성능, 브랜드 인식)의 평균값 비교에서 두 브랜드 간의 상대적 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검증됨으로써 특정 브랜드의 자산이 고객에게는 보다 월등한 것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간 자산 크기의 상대적 비교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패션투어리즘에서의 패션박물관의 역할 (Roles of A Fashion Museum in Fashion Tourism)

  • 예민희;임은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34-47
    • /
    • 2019
  • Fashion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for the promotion of urban tourism. Since fashion is attractive in itself, it can work as a resource which fascinates people and attracts many tourists to the city. This study examines fashion tourism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tourism.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positive effect of the existence of a fashion museum on the advent of fashion tourism, in particular. A fashion museum can be classified in the same category as an art museum, whereby the museum exists as specializing in fashion and is considered a fashion brand museum.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museums and analyzes roles of fashion museums in fashion tourism by types, which are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of general tourism including trends in the fashion tourism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ashion museum can help spread the word and educate tourists about fashion culture. Second, a fashion museum can increase the value of its brand by strengthening the city's identity. Lastly, the presence of a fashion museum would encourage tourists to spend more money in the city, which causes a ripple effect on the city's economy such as creating more jobs within the fashion.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Research on Place Branding Evaluation based on Place Value)

  • 어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9-209
    • /
    • 2013
  •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가치라는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새로운 평가체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장소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새롭게 정의하여 플레이스 브랜딩 시스템의 정확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작게는 역동적인 플레이스 브랜딩 활동에 일익하고, 크게는 도시디자인 관련 평가 모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 제휴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소재 브랜딩을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the Alliance between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Focused on Ingredient Branding-)

  • 조성도;정강옥;박진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2호
    • /
    • pp.3-22
    • /
    • 2004
  •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는 경쟁관계로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유통업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품질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조업자 브랜드와 제품의 일치 정도가 중간일 때 소비자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에서 기능적 위험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능적 위험이 높을 때는 소비자들이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의 높은 일치성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능적 위험이 낮을 때는 중간정도 일치할 때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다.

  • PDF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상품에 대한 착의경험 정보제공이 트래픽과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ial-Experience Information on the Traffic and Sales Performance of Apparel Product Websites)

  • 김태연;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369-1380
    • /
    • 2005
  •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y of providing apparel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earers' perspective on Internet shopping malls, as a way of compensating for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try on the actual product. On an actual Internet shopping mall that sells apparel product, the 'trial-experience information' (the experient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t models who tried on the products) was provided for 83 different items from four women's wear brands. The traffic and sales performances (number of visitors, page view, gross sales of goods, conversion rate, and the numbers of customer transactions) of the apparel product websites that contain trial-experience information were compared to the performances of the brand's websites before this information was implemented. The changes in percent contribution of these brands in women's wear category were also noted.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four performance measures as well as the percent contribution of the experiment products in women's wear category increased noticeably throughout the experiment period (11 to $103\%$). Second, when the percent contribution of these brands in women's wear category in terms of traffic and sales performance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se measures increased between $497\%\;and\;2851\%$. Third, the amount of customer transactions also increased after the trial-information was provided, yet to a relatively smaller extent $(29.04\%\;to\;55.25\%)$. The findings showed that trial-experienc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may reduce customers' risk perception and lead to increased sales of apparel product and improve the site use ratio.

광고모델의 미소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The Negative Effect of the Advertising Endorser's Smile and Consumer's Self-construal Level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Brand in the Expensive Product Category)

  • 김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78-686
    • /
    • 2021
  • 미소 짓는 얼굴은 친근하고 따뜻한 인상을 전달하여 대인 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 그러나 고정관념내용모델과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의 보상효과에 따르면 미소를 짓는 표정은 타인에게 따뜻한 인상을 전해주지만, 반대 차원의 인상인 유능함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평가의 상호 보상효과를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광고에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소를 띠는 광고모델로 인해 브랜드의 따뜻함 인상이 증가하고 이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소를 띠는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노출될 때, 독립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준 반면, 미소를 띠지 않은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대해서는 의존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가 독립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에 기용된 모델의 미소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조절변수로 작용함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의 효과적인 광고모델 전략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