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Attitude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8초

제품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한 사회혁신기업과 일반기업의 브랜드 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rand Attitudes of Social Innovative Companies and General Enterprises by Product Blind Testing)

  • 김진경;장석인;김문준;이남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3호
    • /
    • pp.245-257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혁신기업이 일반기업과 경쟁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비자들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브랜드 태도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혁신기업의 제품과 일반기업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의 차이를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사전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는 제품속성이나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제품의 정보를 공개한 후에는 실험물로 사용된 비누 제품이 천연 수제 비누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회혁신기업과 일반기업 제품 모두에서 사후 브랜드 태도가 향상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사회혁신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설명을 해 준 후에는 일반기업에 비하여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사회혁신기업 제품에 대한 브랜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제품 포장에 명확하고 과장되지 않은 정보표시는 브랜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혁신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교육과 홍보 정책이 제고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사회혁신기업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내용을 제품 포장에 광고카피로 표현함으로써 스스로를 홍보하는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도 브랜드 태도 향상을 꾀하고 판매증가를 위한 또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모델의 위치와 시선 방향이소비자의 시각적 주의, 태도 및재인에 미치는 효과: 안구운동추적기법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Endorser's Gaze Direction on Consumer's Visual Atten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Focused on the Eye Movement)

  • 정혜녕;이지연;남윤주
    • 광고학연구
    • /
    • 제29권7호
    • /
    • pp.29-5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광고효과 및 소비자 반응 측정 연구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안구운동추적기법(Eye-movement tracking)을 이용하여, 광고 모델의 위치 및 시선 방향(정면/측면_그림정보/측면_언어정보)이 광고 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 브랜드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면 광고들 중 모델의 비중이 비교적 높으며, 간접적 설득 경로의 중요성이 비교적 크게 평가되는 화장품 지면 광고를 이용하여 20대 성인 남녀 36명에게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모델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광고 내 특정 요소(제품사진, 브랜드 등)에 대한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이 길어지고 해당 영역에의 진입 시간(Entry time)이 빨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모델의 시선에 의한 주의 유도 효과가 광고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에 바로 반영되지는 않았다. 모델이 좌측에 있는 경우에는 시선의 방향이정면일 때 제품 구매 욕구가 가장 높았으며, 모델이 우측에 있을 때는 측면_그림정보(제품사진) 에 시선이 향할 때 광고 태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안구운동 추적실험 이후 추가적으로 진행한 브랜드 재인 실험 결과에서는 모델의 시선이 제품 사진을 향하고 있을 때 브랜드재인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모델이 왼쪽에 있을 때 유효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모델의 시선이고객의 주의를 특정한 영역으로 이끄는 주의 유도자(attentional guidanc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모델의 위치 및 시선이 머무는 대상에 따라서 그 효과의 방향성과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고객의 광고 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델의 시선 방향 이외에도 모델의 위치 및 추가 구성 요인들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기업의 공공성이 사회적 책임 인식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Publicity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Brand Attitude)

  • 강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79-391
    • /
    • 2020
  • 한국사회를 주도해온 성장주의 패러다임이 이제 임계점에 도달하였다. 기업에게 개별적인 경쟁을 통한 성과 창출에 열중하기 보다는 공공성의 가치를 둔 상생과 연대적인 성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업 공공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들의 호감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인과관계를 검증을 통해서 공공성이 기업운영에 실체적인 경쟁력이자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핵심 경영 활동으로 인식될 가능성의 탐색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 공공성은 진정성, 능동성, 공익성, 화합성, 공동체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평가 전반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브랜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의 공공성 강화와 그에 따른 실천적 행위를 강조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를 활용한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융합전략이 태도와 판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ew Product Preannouncing Convergence Strategy on Attitude and Judgement Using Facebook Brand Fan Page)

  • 한광석;조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3-168
    • /
    • 2017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통한 기업들의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전략에 있어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고지식/저지식)X시간적 거리(가까운 미래/ 먼 미래)에 따라 태도와 기억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은 페이스북의 실제 브랜드 팬 페이지를 이용하여 실험물을 가상의 웹 브라우져에 삽입 후 실험물 배너 사이트를 누르면 실험물 접속하도록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프리어나운싱이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GRM) 판단이 속성정보(ARM) 판단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구매 판단을 하였으나 프리어나운싱이 먼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고지식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속성정보(ARM) 판단이 종합적인 정보(GRM) 판단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프리어나운싱이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과 고지식 소비자들 간에 제품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없이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먼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과 고지식 소비자들 모두 제품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패션사이클 가속화에 따른 의류소비 행태 연구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ion of Fashion Cycle)

  • 최주영;임성민;김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37-1148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mong female consumer groups in their twenties and to understand the type of consumer group pursuing fast fash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30 female consumers residing in Seoul and Kyung Gi area from June 18 to 29 in 2007, and 178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2 program on the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actors analyses were employed for the attitude toward fashion and shopping, and shopping motives.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for the attitude toward fashion: interest in fashion, fashion-orientation, fashion leadership and fashion conformity. Six factors for the attitude toward shopping were found: information searching, shopping enjoyment, store patronage, impulse buying, brand-orientation and convenience. Buying motives for fashion goods were classified into 3 factors: for matching & occasion, to-be-in-fashion and for necessity.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fashion: the fashion-interested, the fashion-indifferent, fashion leaders and the individuality-oriented. Among th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formation searching, shopping enjoyment and store patronage. Fashion leaders tended to spend more for expensive and up-to-dated fashion items, and for higher quantity than other groups. Consequently fashion leaders showed attractive customer characteristics for the fast fashion companies.

제품 관여수준과 인터넷 구전메시지 유형이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FCB 모델에 따른 제품과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 댓글을 중심으로- (Effect That Type Gets in Consumer Communication : Product Participation Level and Internet Word-of-mouth -Laying stress on purchase review of product and Internet shopping mall by FCB Model-)

  • 진홍근;이은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2권
    • /
    • pp.85-115
    • /
    • 2007
  • Following is discovered in this study by some. First, attribute(product/non- product) of that truth that get through experiment of this study is WOM deduced result that have statistical meaning in dependent variable which is public trust only in this study. Specially,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type received High positive response more with non-produc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ttribute than the product attribute in all experiment products that is parted according to involvement. Consumer's response by involvement level of product can affect for site attitude, public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by second. For example, consumer's site attitude has induc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and can confirm positive response of High consumer most in that involvement sensitivity product in that participation reason type product and could confirm response that is the most positive in that involvement reason product even if there is for intention to purchase. Result of this study is grasped that have High mean value relatively in site attitude, product attitude,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effect, public trust,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etc. generally that product involvement and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ttribute are interrelation by third. This can change fairly dat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consumer's Involvement Level, behavior deterministic process, consumer's action with attitude formation process, and involvement for products. High occasion than is low incline more efforts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is discreet result such as study finding of produce.

  • PDF

피쉬바인 모델을 이용한 커피전문점의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 Attitude to a Coffee Shop Using the Fishbein Attitude Model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Busan -)

  • 김유정;김광지;박기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0-41
    • /
    • 2011
  • 본 연구는 피쉬바인 모델과 IPA를 이용하여 커피전문점의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2010년 12월 6일부터 12월 20일 까지 배포하였으며 200부중에서 175부를 회수하였다. 이후 불성실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14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IPA 결과 매력적인 건물외형, 화장실 청결, 커피 신선도, 커피 맛은 좋은 성과유지 부분이며 커피 가격은 노력집중 영역에 있으며 커피 전문점 관리자는 이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피쉬바인 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커피 맛, 매력적인 건물외형, 화장실 청결, 커피 신선도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스타벅스, 엔젤리너스, 커피빈, 파스쿠찌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관리자에게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으며 자기기입법에 대한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 PDF

남성동성애자의 성 역할에 따른 의복태도 및 선호 (The Clothing Attitude and Preference of the Gay Men According to Gender Role)

  • 이정욱;신혜원;김희라;하오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6-704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ay men's clothing attitud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role, for reviewing their clothing cultu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1) investigating gay men's clothing attitude(brand orientation, conformity, fashion leadership, sexual attractiveness), 2) identifying their clothing preference, 3) comparing the difference of lifestyle, and 4)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ir preference color and wearing the accessary, according to their gender role. Futhermore, this study compares those factors between gay men and heterosexual me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68 persons(76 gay men and 92 heterosexual men) in LGHRF(Lesbian & Gay Human Rights Federation), Korea Gaymen's Coalition and adult men living in Seoul. To analyze data,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is study is frequenc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sexual attractiveness was significant factor for the gay men's clothing attitude and not concern about conformity.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bottom, who have much of the woman in composition, was more higher for the fashion leadership than top, who have a propensity for masculine. Second, gay men prefer to masculine, simple and casual style.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top' was more likely to masculine, simple and formal style rather than 'Bottom'. Third, Gay men were much more concern about a cultural life style. Furthermore, a preference color for both group was blue. Especially, gay men tended to prefer a chromatic color. The implication getting from conclusion in this study was to study Gay men's taste for a fashion, clothing attitude and their preference to purchase, etc., in considering their buying power for clothing in a fashion market.

진품과 복제품 구매의도 - 패션 명품을 중심으로 - (Purchasing Intentions toward Originals and Counterfeits - Foreign Fashion Luxury Brands -)

  • 박혜정;전경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30-53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lusters based on two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originals and counterfeits of foreign fashion luxury brand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s. This study included attitude toward counterfeit, consumer ethnocentrism, materialism, and need for uniqueness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de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ocket money as demographics.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320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analyzing data, cluster analysis, x-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wo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originals and counterfeit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counterfeit and materialism according to the purchasing intention clusters. x-tests also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subjects in each of the four clusters. Females are significantly more represented than females in all four clusters.

인쇄 광고에서 광고모델 적합도의 효과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rser Fi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Print Advertising)

  • 황인석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5-90
    • /
    • 2011
  • Suggesting that endorser fit in print advertising can be subdivided into 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un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and observable endorser-background fi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ir effect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evaluated three real advertisements on the items of the fits,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so on. The advertisements were for a watch, perfume, and women's clothing. Results showed that each of fits had an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respectively and the 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uch an effectiveness than the un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and the observable endorser-background fit in the majority of cases. It was also found that each of the fits had a tendency to exert relatively greater effects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especially on the purchase intention, compared to the endorser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