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Affect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1초

지적재산권이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llectual Propertie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 김석진;임정대;강상일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5-188
    • /
    • 2017
  • 본 연구는 1981년부터 2014년까지 128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국과 투자대상국의 지적재산권이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의 지적재산권과 이의 종류인 특허권과 상표권, 의장권 모두 해외직접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투자대상국의 지적재산권은 특허권을 제외하고 해외직접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적재산권을 투자대상국에서 활용하기 위한 해외직접투자가 투자대상국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해외직접투자보다 더 유의하였다. 넷째, 주로 개도국인 고성장 국가에 대해서는 한국의 지적재산권이, 주로 선진국인 저성장 국가에 대해서는 투자대상국의 지적재산권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 PDF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평판이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ranchise Firm's Reputation on Trust and Loyalty)

  • 김혜림;한영위;조혜덕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2호
    • /
    • pp.37-47
    • /
    • 2017
  • Purpose - Recently, the food service franchise market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and competition is intensifying. Therefore, consumer choice has expanded, and reputation management has become important as a strategy for survival of corpora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putation, trust(cognitive trust, affective trust), and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putation, trust, and loyalty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Based on comprehensive validation procedures across nine food service Franchise firm types, This study found support for a five-dimensional scale with the following dimensions: Customer Orientation, Employer Brand, Reliable and Financially Strong Company, Product and Service Quality,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urposes,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7 food service franchise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4.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orientation, reliable·financially strong company and product·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cognitive trust. And employer brand, product/service quality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affective trust. Second,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onsumer loyalty.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considers trust as two dimensions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not a single dimension, and identify what dimensions of franchise firms affect consumers' reputation perception and in turn lead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nd loyalty. This study also provides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In the franchise market where competition is intensifying,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attitudes of consumers in order to gain an advantage in competition with other competitor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a restaurant franchise company. Also, reputation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mpany because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strengthens with customer through confidence in food service franchise business, and leads loyalty and consumer consumption. Therefore, marketers shoul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various reputation factors.

라이브 스트리밍 전자 상거래에서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trust in livestreaming e-commerce)

  • 려효영;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181-199
    • /
    • 2023
  • 전자상거래는 전통적인 그래픽 및 텍스트 형식에서 짧은 동영상 및 라이브스트리밍 형식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라이브 전자상거래는 정보전달 및 상품전시의 내용과 형식을 풍부하게 하고 소비자의 쇼핑경험을 향상시키며 점차 새로운 소비패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생방송 전자상거래의 발전에는 허위선전, 위조상품, 각종 부정적인 사건 등으로 라이브스트리밍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뢰는 라이브스트리밍 전자상거래의 핵심 경쟁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라이브커머스의 "사람, 상품, 장면" 특성 요소를 결합하여 라이브커머스의 신뢰도 모형을 구축하고 가설을 세웠다. 설문조사를 통한 데이터 수집, 라이브커머스의 특성, 쇼호스트 특성, 브랜드 이미지, 제품 정보, 플랫폼 평판, 라이브 상황 및 신뢰성 경향 등의 요인이 소비자 신뢰도에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연구결과로 매장특성지표를 구축하고, 바람직한 쇼호스트의 특성을 창출하며, 제품브랜드를 구축하고 선택하고, 제품정보를 유지하며, 특성에 적합한 라이브 플랫폼을 선택하고, 라이브 상황에 적절한 컨텐츠를 창출하는 등을 제언하였다.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전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 정호선;박정민;이형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395-413
    • /
    • 2023
  • 본 연구는 가전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국 매장을 100여개 이상 보유한 가전 오프라인 유통 중에서 가전 양판점 2개(하이마트, 전자랜드), 대형마트 3개(이마트, 홈플러스, 롯데하이마트), 가전 전문점 2개(LG 베스트샵, 삼성 디지털프라자)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가전 매장을 최근 6개월 내 방문하여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20대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330부의 표본에 대해서 PLS(Partial Least Squares) 구조방정식과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전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체험특성이 소비자의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육적 경험, 일탈적 경험과 심미적 경험은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오락적 경험은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교육적 경험, 일탈적 경험과 심미적 경험은 모두 감정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능적 가치와 감각적 가치는 모두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네째, 브랜드 충성도는 기능적 가치, 감각적 가치의 재방문 의도 사이에서의 조절효과를 갖지 못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고객체험 특성과 지각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각적 가치),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결과는 온라인 채널이 오프라인 채널의 생존을 위협하는 시기에 가전 오프라인 매장들이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인터넷쇼핑몰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of Internet Shopping Mall)

  • 김광석;신종국;구동모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주요차원을 고객이 쇼핑몰에 진입한 후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를 거치는 등의 쇼핑과정을 토대로 AIDA모형 관점에서 점포, 제품, 촉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VMD의 주요차원(primary dimensions)으로는 점포디자인, 머천다이징,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점포다자인의 하위차원으로는 차별성, 간결성, 위치확인성을, 머천다이즈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구색, 명성, 정보성을,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추천 및 링크를 설정하여 VMD태도와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세 차원은 종속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대형마트의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 구매 소비자의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urchasing Private Brand Products at Large-Scale Mart)

  • 황성혁;이정희;노은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9
    • /
    • 2010
  • 최근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유통업자브랜드(PB) 상품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할 때 PB를 또 하나의 고려 상표군으로 인식하길 바라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PB상품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이다. 즉 소비자마다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B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PB상품 개발과 판매에 있어 마케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소비자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PB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결혼여부, 소득수준, 거주지역이 PB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매특성으로는 대형마트 방문 빈도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PB상품을 구입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 DM(Direct Mail)발송이나 핸드폰 SMS(Short Message Service) 발송 등 PB상품 판촉활동의 타겟팅에 있어 기혼자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득수준과 관련해서는 고소득계층보다 중산층(월소득 301~600만원) 소비자들이, 서울지역보다는 지방 거주 소비자들이 PB상품 구매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특성은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비자를 위한 추가 증정, 사은품 지급, 1+1행사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형마트 방문 빈도가 월 2회 증가할 경우, PB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5.3%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내점빈도를 높일 수 있는 재미있는 매장 만들기, 찾아오는 서비스 등 다양한 집객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PB상품이 단지 가격이 저렴한 일회성 구매 상품이라는 한계를 넘어 NB상품처럼 상품에 대한 로열티를 높이고 지속적 구매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PB상품을 다른 제조업체 브랜드처럼 카테고리 내에서 하나의 고려 상품군(consideration commodity set)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The Impact of Consumer Knowledge/Familiarity with Private Label Brands (PLBs) and Store Image on Perceptions and Preferences toward PLBs and Patronage Intentions: Case of Midscale Department Store PLBs

  • Seock, Yoo-Kyoung;McBride, Jennifer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6-630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 knowledge and familiarity with private label brands (PLBs) on perceptions and preferences toward PLBs and patronage intention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incremental effects of a department store image over consumer knowledge and familiarity with perceptions, preferences, and patronage intentions. This study focused on midscale department store PLBs of apparel products and middle ag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30 and 50 who are the main consumer group of private label brands of apparel produc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57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35 and 54, living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e dimensions of department store image constructs; in addit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examined the hypotheses. Consumer knowledge and familiarity with PLBs at department stores is recognized as a major determinant to shape consumer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the PLBs as well as patronage intention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e significant incremental effect of a store image on consumer preferences, perceptions, and patronage intentions beyond that explained by consumer knowledge and familiarity about PLBs. The study reveals that, among four store image constructs, the store atmosphere and store service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perceptions of PLBs. Store service and atmospheric aspects also affect consumer patronage intentions toward PLBs. The price factor show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ference consumers have for PLBs, but not on perceptions and patronage intention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partment store executives and managers on how to allocate resources in order to increase positive consumer perceptions toward PLBs, preferences over other brands, and patronage intentions of PLBs at a store as well as how to create effective store environments to promote PLBs.

Development of Individual Stockout Response Index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s Shopping

  • Kim, Joo-Hyun;Lee, Jin-Hwa;Kwak, Young-Sik;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1-140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 개발에 대한 연구로, 온라인 쇼핑 시 품절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반응, 감정적 반응 및 행동적 반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SRI는 선행연구인 Kim and Lee(2016/2018)의 인지, 감정 및 행동적 반응을 근거로 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기관에서 2014년 07월에 2주간 진행되었으며 754명의 설문대상자 중 전체 질문에 응답한 회수된 설문지는 총 526부였다. 이 회수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조사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Package를 이용하였다. 개인풉절반응지수(ISRI)는 정규분포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는 개인화, 맞춤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소비자의 불편한 쇼핑상황인 품절 시 대안의 마련 근거로써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Self-Leadership이 항공정비조직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전문화 매개변수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Korean Aircraft Mechan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afety culture))

  • 권병모;김기웅;이수미;박학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8-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Korean aircraft mechan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afety culture has mediating effect. The theory of leadership, which has emerged since the 1940s, has been an important and key research issue in the social sciences for the last decade and has evolved as a brand-new theory through the theory of characteristics, the theory of behavior, and the theory of situation. The new leadership theory has been extended to charismatic leadership, transformative leadership, empowerment leadership, super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a new flow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receden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and this study started with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result, safety culture has been proved to play an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Korean aircraft mechan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lf-leadership, self-goal setting, self-reward, and natural reward have been shown to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mbination with the sub-factors of the safety culture, learning culture and flexible culture.

섹스어필 패션 POP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노출유형과 할인율 메시지 사용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Effects of Sex-Appeal Fashion POP Advertising -Focused on Nudity Type and Discount Message Use-)

  • 박현희;전중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29-937
    • /
    • 2009
  • 본 논문은 성적소구의 패션 POP 광고맥락에서 노출유형과 할인율 메시지 사용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적소구유형(완전노출, 반노출, 밀착, 비노출)과 할인율 메시지(유/무)를 집단간 조건으로 상정하고, $4\times2$ 요인설계로 각 조건에 35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여 총 28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적소구 패션 POP 광고의 노출유형에 따라 광고감정,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할인율 메시지 적용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인지에서 노출유형과 할인율 메시지 사용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패션매장의 매출액 제고를 위한 성적소구 패션 POP 광고의 유형과 성적소구 패션 POP 광고에서의 할인율 메시지의 적용 여부에 대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