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es

검색결과 2,207건 처리시간 0.03초

Reexamination of the genus Pterocladiella (Gelidiaceae, Rhodophyta)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rbcL sequences

  • Boo, Sung-Min;Kim, Su-Yeon;Hong, In-Sun;Hwang, Il-Ki
    • ALGAE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0
  • Although Pterocladiella is a well-known agar-producing red algal genus, its taxonomy in Korea appears to be confused.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 the occurrence of Pterocladiella nana and P. tenuis, as well as P. capillacea in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plastid rbcL sequence comparisons. P. capillacea commonly occurs along the coasts of Korea and has regular pinnate branches with abundant second-order branches, growing up to 10 cm in length. P. nana occurs in the intertidal zone of Jeju and is distinguished by the small size of its thalli (up to 5 cm) and regular branches with up to third-order branches. P. tenuis is distributed mostly subtidally on the southern coast of Jeju and has irregular branches with rarely second-order branches, growing up to 19 cm in length. We determined rbcL sequences from 19 specimens (15 from Korea and four from France) and downloaded 28 sequences from GenBank. Analyses of all 47 rbcL sequences revealed that each of three species was consistently resolved. P. capillacea and P. tenuis always formed a sister clade with P. nana at the base. Given that 12 rbcL haplotypes from 28 specimens of P. capillacea have been found to date, analysis of a fast-evolving gene from across the range of the species should highlight its genetic diversity.

화학적심제 dikegulac의 처리시기와 농도가 Rhododendron simsii 'California Sunset' 삽목묘의 분지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Time and Concentration of Dikegulac on Lateral Branching and Growth of Rooted Cuttings in Rhododendron simsii 'California Sunset')

  • 정보영;이성춘;이승연;구진희;이정식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05
    • /
    • 2009
  • 본 연구는 화학적심제 dikegulac의 처리시기와 농도가 Rhododendron simsii 'California Sunset'의 분지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6월에 dikegulac의 처리는 8월에 처리한것 보다 식물의 정아 발달을 지연시켰으나, 잎의 크기와 엽록소의 함량 및 분지수를 증가 시켰다. 특히, $1,500mg{\cdot}L^{-1}$의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Population density and internal distribution range of Erwinia amylovora in apple tree branches

  • Mi-Hyun Lee;Yong Hwan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881-892
    • /
    • 2022
  • Fire blight in apple and pear orchards,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global problem. Ongoing outbreaks have occurred since 2015. In 2020, 744 orchards were infected compared with 43 orchards in 2015 in Korea. When are insufficient. In Korea, all host plants in infected orchards are buried deeply with lime to eradicate the E. amylovora outbreak within a few days. Apple trees with infected trunks and branches and twigs with infected leaves and infected blooms were collected from an apple orchard in Chungju, Chungbuk province, where fire blight occurred in 2020. We used these samples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density and internal distribution of E. amylovora on infected branches and twigs during early season infections. Infected branches and twigs were cut at 10 cm intervals from the infected site, and E. amylovora was isolated from tissue lysates to measure population density (colony-forming unit [CFU]·mL-1).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on genomic DNA using E. amylovora specific primers.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to detect E. amylovora in asymptomatic tissue. The objective of these assays was to collect data relevant to the removal of branches from infected trees during early season infection. In infected branches, high densities of greater than 106 CFU·mL-1 E. amylovora were detected within 20 cm of the infected sites. Low densities ranging from 102 to 106 CFU·mL-1 E. amylovora were found in asymptomatic tissues at distances of 40 - 75 cm from an infection site.

상수지조의 벌채정도와 신초의 발육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mulberry shoots and various sizes of cut down mulberry branch in Spring)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27-31
    • /
    • 1965
  • 춘기발아전에 지조를 각각 선단벌채, 조장의 1/3, $\frac{1}{2}$, 2/3 벌채하여 발아 생장하는 신아의 발육상황을 조사하였다. (1)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비율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여 무처리구의 반이하로 되는 것인데 1/3 벌채구가 가장 그 비율이 적어진다. 그리고 또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는 지조의 하반부에 집중한다. (2) 지조를 벌채하여도 발아를 촉진시키는 일은 없고 도리어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지마는 발아후의 개엽속도는 매우 빨라져서 탈순에서부터 제 5개엽기까지의 소요일수는 무처리구의 16일에 비하여 벌채 각구는 7~9일이며 그 중 가장 빠른 것은 2/3벌채구의 7일이다. (3) 지조를 벌채하면 신아의 발육을 촉진시켜서 5월 5일부터 6월 10일까지 45일간의 생장량이 무처리구의 34cm에 비하여 벌채각구는 그 1.6~2.5배나 생장하여 가장 생장량이 큰 것이 2/3벌채구의 83cm이다. 그리고 벌채각구는 생장속도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빠르다. (4) 엽수의 증가비율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약간 많기는 하지만 그 차는 그리 크지 않다. (5) 신아의 총생장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현저하게 많으며 2/3벌채구는 생장계적아수가 벌채각구중에서 가장 적지만은 1아의 평균아장이 가장 길다. (6) 신소삽목의 삽수를 되도록 빨리 채취하기 위해서는 조장의 2/3정도를 벌채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

  • PDF

한국산 홍조 Centroceras속 이종 (Two Korean Species of Centroceras Kutzing (Ceramiaceae, Rhodophyta))

  • 부성민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297-304
    • /
    • 1985
  • Two Korean species of Centroceras K tzing, Ceramiaceae was investigated taxonomically. C. clavulatum (Ag.) Montagne collected at several sited along the coast of Korea was characterized by regular dischotomous branches with whorl spines at every node, whereas, C. distichum Okamura collected at Soando in the southern coast was by alternate branches with gland cells around nodes. Biogeographic data show that Korea is almost northern limit in distribution of the former species.

  • PDF

기후(氣候) 및 간지(干支)와 중풍(中風) 發病日(발병일)에 관(關)한 상관성(相關性) 연구(硏究)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roke Incidence by Climate of Day and Stems and Branches)

  • 최효재;황민영;백윤선;주대환;한창호;신길조;이원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7-326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by the climate of the day and the Stems and Branches(干支) of stroke patients. Methods : From January in 2000 to March in 2008, we studied 37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at Dongguk University Bundang Hospital. Each participant was investigated for the day's average temperature, the day's average air humidity, the day's average wind speed, and the day's Stems and Branches (干支) in oriental medical theory. Results: Concerning the day's average temperature, the group at a temperature under 18 $^{\circ}C$ had the highest risk. For the day's average air humidity, the group at over 60 % humidity showed a higher ratio of stroke. In respect of the day's average wind speed, the group at speeds under 2.26 $^m/s^2$ (the last 5 years average wind speed in Gyeonggi-do) had a higher risk. In the aspect of Stems and Branches (干支), stroke occurred more in Yin day(陰日) than in Yang day(陽日). In the view of the Five Circuits (五運), the Wood (木) was most common followed by Fire(火). Using the relation between Stems and Branches (干支), the mutuality cooperate pattern was more common than the mutuality control group and same characteristic group. Using the Theory of Five Circuits (五運) and Six Qi (六氣), the Fire group (火) showed the highest risk. The Wood group (木) came next. Conclusions : We could suggest that stroke attack might hav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limate, stems, and branches in oriental medical theory.

  • PDF

장기적(長期的) 산업성장(産業成長) 및 구조변화요인(構造變化要因)의 분석(分析) (1955~85) (Sources of Long-term Industrial Growth and Structural Change in Korea, 1955-85)

  • 김광석;홍성덕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2권1호
    • /
    • pp.3-29
    • /
    • 1990
  • 60년대 전반 이후의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공업화(工業化)을 통한 고도성장(高度成長)은 국내산업(國內産業) 또는 업종간(業種間) 성장율(成長率)의 차이로 인해서 상당한 산업구조변화(産業構造變化)를 수반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표체계(産業聯關表體系)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장기적(長期的)인 산업성장(産業成長) 및 구조변화(構造變化)의 요인(要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과거(過去)의 장기적(長期的)인 성장과정(成長過程)에서 국내수요(國內需要), 수출(輸出), 수입대체(輸入代替)와 기술변화(技術變化)는 산업별 생산성장(生産成長)에 각각 얼마만큼 기여(寄與)했나 하는 것을 측정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측정은 총량적(總量的) 경제수준(經濟水準)뿐만 아니라 세부산업별(細部産業別)로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국경제(韓國經濟) 전반(全般) 및 공업부문(工業部門)의 세부적(細部的) 변화과정(變化過程)에 관한 풍부한 분석자료(分析資料)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연구 IV. 3요소와 규산시용량이 생육 및 엽신. 지경, 영의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Related to Source and Sink by Cool Water Temperature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V. Influence of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of Leaf Blade, Rachis Branches and Chaff by Nitrogen, Phosphate, Potassium and Silicate)

  • 최수일;황창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6-335
    • /
    • 1986
  • 본 시험을 생식생장기 냉수관개가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시비반응을 구명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의 과용은 생육 및 수량을 감퇴시켰으나 인산, 가리, 규산의 증비로 생육량의 증대, 영화착생량과 등숙비율 향상에 유리하였다. 2. 영화의 착생수, 기경과 영화의 퇴화율, 불임율은 인산, 가리, 규산의 증비로 그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규산의 증비효과가 현저하였고 지경당 개화는 1차 지경보다 2차 지경에 착생한 영화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3. 미립 및 등미의 발생량과 수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산, 가리, 규산의 증비는 추액및 서미의 발생억제와 수량증가에 효과적이었다. 4. 질소의 증비는 엽신. 지경, 영곡의 전질소함량을 높이고 인산, 가리, 규산의 흡수를 저해시켰으나 인산, 가리, 규산의 증비는 질소의 과잉흡수억제 및 인산, 가리, 규산의 흡수를 증가시켰고 지경의 무기성분함양은 엽신보다는 적었다. 5. 엽신. 지경, 영곡의 무기성분함량의 상호관련성은 지경의 무기성분은 엽신의 무기성분함양에 영향을 받고 지경은 다시 영곡의 무기성분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Source 와 Sink 관련형질에 미치는 엽신, 지경, 영곡의 무기성분반응을 보면 지경과 영화의 퇴화율, 불임율, 등숙비율, 수량 모두 엽신, 영곡보다 지경의 무기성분함양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로 보아 지경은 단순한 양분이동의 통로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종실의 물질집적에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기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수리나무 가지의 분해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변화 (Decay Rate and Nutrients Dynamics during Decomposition of Oak Branches)

  • 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93-98
    • /
    • 2004
  • 상수리나무 가지의 분해율과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변화를 33개월 동안 조사하였다. 33개월 경과 후 가지 의 잔존률은 B₁(직경<1㎝), B₂(1㎝≤직경<2㎝), B₃(3㎝≤직경<4㎝)가 각각 44.5%, 58.5%, 55.3% 이었다. B₁, B₂, B₃의 분해 상수는 각각 0.294/yr, 0.195 /yr, 0.215/yr 이었다. 분해 과정에 따른 질소 함량은 모든 직경급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3개월 경과 후 질소 잔존률은 B₁, B₂, B₃가 각각 101.2%, 91.9%, 104.4% 이었다. 인 함량은 B₁과 B₂에서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함량보다 증가하였고, 분해 과정중 인의 부동화 기간은 없었으며, 33개월 경과 후 인 잔존률은 B₁, B₂, B₃가 각각 57.2%, 74.4%, 53.9%이었다. 칼륨 함량은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값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33 개월 경과 후 잔존률은 B₁, B₂, B₃가 각각 7.7%, 17.1%, 17.2%로 다른 영양염류에 비해 낮았다. 칼슘 함량은 B₁을 제외하고 분해 기간동안 그 값이 증가하였으며, 33개월 경과 후 잔존률은 B₁, B₂, B₃가 각각 58.5%, 47.8%, 75.2%이었다. 마그네슘은 가지의 직경이 작을수록 초기 함량이 높았으며, 33 개월 경과 후 잔존률은 B₁, B₂, B₃에서 각각 44.3%, 57.9%, 47.7%이었다.

수도의 수당구성요소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ix Panicle Characters in Rice)

  • 김주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8-214
    • /
    • 1987
  • 수도의 수당립수의 다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수상형질의 유전양식을 추정하고자 래경, 영남조생, 농백, 유신, 농년조생의 5품종을 사용하여 half-diallel set를 만들고 경로분석과 2면교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당입수와 수상구성요소( 1차지경수. 2차지경수. 1차지경당 착입수, 2차지경당 착입수, 총 3지경상 착입수,)의 6개 형질들 중 1 차 지경당 착입수를 제외한 전형질들이 상호간에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수당입수에 대한 직ㆍ간접효과는 2차 지경수가 가장 컸고 다음이 1 차 지경수였다. 3. 비대립유전자작용이 관여되고 있을 때 우성정도는 2차지경당 청입수만이 부분우성으로 상가적작용이 컸 고 나머지 5개 형질들은 모두 우성효과가 큰 초우성이었다. 비대립인자작용이 소법되었을 경우는 수당입수, 2차지경수, 2차지경당 착입수는 부분우성으로 상가적 효과가 컸다. 4. 유효유전자수는 수당입수는 1개의 주동유전자와 polygene, 2차지경수에는 4개. 2차지경당 착립수에는 10개정도의 다수 gene들이 관여하였다. 5. 유전력은 대부분의 형질이 광의의 유전력은 높거나 중정도 이상이었다. 협의의 유전력은 수당립수, 2차지경수는 상당히 높았으나 기타 형질들에서는 낮았다. 6. 2차지경상 착립수의 SCA를 제외한 전형질들은 GCA와 SCA가 모두 고도로 유의하였고. 통일형인 내경. 유신과 자포니카형인 농백은 높은 정의 GCA를 나타내었으며, 통일형$\times$능백조합에서 SCA가 높게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