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metabolism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Cholera Toxin Administered Supraspinally or Spinally on the Blood Glucose Level in Pain and D-Glucose Fed Animal Models

  • Sim, Yun-Beom;Park, Soo-Hyun;Kang, Yu-Jung;Kim, Sung-Su;Kim, Chea-Ha;Kim, Su-Jin;Jung, Jun-Sub;Ryu, Ohk-Hyun;Choi, Moon-Gi;Choi, Seong-Soo;Suh, H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2호
    • /
    • pp.163-167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intrathecal (i.t.) or intracerebroventricular (i.c.v.) administration with cholera toxin (CTX) on the blood glucose level was examined in ICR mice. The i.t. treatment with CTX alone for 24 h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However, i.c.v. treatment with CTX for 24 h did not affect the blood glucose level. When mice were orally fed with D-glucose (2 g/kg), the blood glucose level reached to a maximum level at 30 min and almost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at 120 min after D-glucose feeding. I.c.v. pretreatment with CTX in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a potentiative manner, whereas i.t. pretreatment with CTX in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an additive manner in a D-glucose fed group. In addition, the blood glucose level was increased in formalin-induced pain animal model. I.c.v. pretreatment with CTX enhanc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a potentiative manner in formalin-induced pain animal model. On the other hand, i.t. pretreatment with CTX in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an additive manner in formalin-induced pain animal model. Our results suggest that CTX administered supraspinally or spinally differentially modulates the regulation of the blood glucose level in D-glucose fed model as well as in formalin-induced pain model.

흰쥐 태 뇌간의 세포배양에서 HPLC-전기화학검출을 이용한 Tyrosine Hydroxylase 활성 및 Dopamine의 정량 (Application of HPLC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to Assaying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and Dopamine Content in Dissociated Cultures of Fetal Rat Brainstem)

  • 송동근;위명복;박찬웅;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2
    • /
    • 1991
  • 쥐(태령 14일) 뇌간 세포배양에서 발달과정에 따른 Tyrosine hydroxylase(TH) 활성 및 dopamine의 양적 증가를 전기화학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 활성 및 dopamine의 양은 배양 7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배양 7일째에 여러 약물들의 dopamine 대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TH 억제제인 ${\alpha}-methyl-p-tyrosine$ 및 aromatic amiono acid decarboxylase 억제제인 NSD-1015는 효과적으로 dopamine을 고갈시켰다. Dopamine은 reserpine에 의해 고갈되었고, parglyine에 의해 증가되었다. 일주일 배양한 세포의 배양액에 tetrodotoxin$(0.1\;{\mu}M$)을 7일간 투여하였을 때 TH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배양세포의 dopamine 대사가 뇌 dopamine 대사를 충실히 반영함을 나타낸다. 뇌간 세포의 배양에서 HPLC-전기화학검출을 이용한 TH 활성 및 dopamine의 측정은 중추 dopamine계의 약리 및 독성 연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의 역학적 특성 (Kinetic Properties of Lactate Dehydrogenase in Tissues from Rana catesbeiana)

  • 염정주;하은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8-127
    • /
    • 2014
  •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I (2월)과 II (8월)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의 발현 및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I의 골격근에서 LDH 활성, $A_4$ 동위효소 및 LDH/CS (EC 4.1.3.7, citrate synthase)가 높게 측정되었고, II의 여러 조직에서 LDH $B_4$ 동위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심장과 뇌조직에서 LDH 활성이 크게 확인되었다. 면역침강반응 후 native-PAGE에 의해 눈조직에서 LDH eye-specific C 동위효소가 확인되었고, LDH C가 LDH B에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DH $A_4$ 동위효소를 oxamate-linked affinity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고, 하부단위체 A의 분자량은 32.0 kDa이었다. II의 LDH는 $Km^{PYU}$이 높았고, 심장과 뇌조직의 $Vmax^{PYU}$이 높았으며, 조직들의 $Vmax^{LAC}$도 높고, 젖산에 대한 내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제한 $B_4$ 동위효소와 눈조직 LDH가 젖산에 대한 내성이 가장 크게 확인되었다. $Km^{LAC}$$Km^{PYU}$보다 컸다. 피루브산 10 mM에 의해 I, II 조직 LDH의 하부단위체 B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LDH 활성의 억제정도가 높았다. 실험 결과, 황소개구리에서 LDH eye-specific C가 확인된 것이 특징적이었고, 황소개구리 I의 골격근 LDH의 활성이 높아 혐기적 대사가 우세하였으며, 황소개구리 II의 경우 LDH B가 증가되고 젖산에 대한 내성이 커져 잘 적응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총순환정지후 혈중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즈 BB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Plasma Creatinine Kinase-BB after Total Circulatory Arrest)

  • 이석재;김용진;김오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45-951
    • /
    • 1998
  • 개심술시 총순환정지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뇌손상등 부작용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뇌손상의 분석에 유용한 지표로서 뇌 허혈성 손상의 특이한 효소인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즈 BB(CK-BB)의 유용성을 재고하고 뇌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순환정지를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다시 비청색증형 심기 형군과 청색증형 심기형군으로 나누어 각각 6명과 12명으로 하였다. 각 환자에서 총순환정지전 및 후 15, 30, 60, 120, 240, 480, 720분에 동맥혈을 채취하여 CK-BB분획을 측정하였고 이와 동시에 혈색소농도, 이 온화 칼슘농도, 혈당량 등을 측정하였다. 총순환정지시간과 CK-BB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채혈시간은 찾을 수 없었다. 또 총순환 정지전의 문제로 인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측정치에서 총순환정지전의 측정치를 뺀 값을 구하 여 각기 CKBBD15, CKBBD30....등으로 표시하고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나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 지 않았다. CKBB30과 CKBBD30값은 비청색증형 군과 청색증형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CK-BB농도와 혈색소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일 채혈에 의한 CK-BB농도의 지표는 순환정지시간과 유의한 관계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청색 증형 심질환군이 총순환정지에 의한 뇌손상에 비청색증형 심질환군에 비해 더 취약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and Its Binding Site in Mouse Testis and Epididymis

  • Kim, Jin-Hee;Kim, Hyun-Sook;Kim, Su-Min;Yang, Hye-Jin;Cho, Hyun-Hae;Hwang, Sup-Yong;Moon, Chan-Il;Yang, Hyun-W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3호
    • /
    • pp.249-256
    • /
    • 2011
  • Nesfatin-1/NUCB2, which is secreted from the brain, is known to control appetite and energy metabolism. Recent studies have been shown that nesfatin-1/NUCB2 was expressed not only in the brain, but it was also expressed in the gastric organs and adipose tissu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i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Therefore, we examined whether the nesfatin-1/NUCB2 and its binding site exists in the male reproductive organs. Nesfatin-1/NUCB2 mRNA and protein were detected in the mouse testis and epididymis by 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the nesfatin-1 protein was localized at the interstitial cells and Leydig cells in the testis. Nesfatin-1 binding sites were also displayed at boundary cells in the tunica albuginea. Furthermore, in order to examine if the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mRNA in the testis and epididymis were affected by gonadotropin, its mRNA expression was analyzed after PMSG administration into mice. NUCB2 mRNA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ed in both of the testis and epididymis after PMSG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nesfatin-1 and its binding site were expressed in the mouse testis and epididymis. In addition, nesfatin-1/NUCB2 mRNA expression was controlled by gonadotropin, suggesting a possible role of nesfatin-1 in the male reproductive organs as a local regulator. Due to thi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ucidate the functions of nesfatin-1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Tat-indoleamine 2,3-dioxygenase 1 elicits neuroprotective effects on ischemic injury

  • Park, Jung Hwan;Kim, Dae Won;Shin, Min Jea;Park, Jinseu;Han, Kyu Hyung;Lee, Keun Wook;Park, Jong Kook;Choi, Yeon Joo;Yeo, Hyeon Ji;Yeo, Eun Ji;Sohn, Eun Jeong;Kim, Hyoung-Chun;Shin, Eun-Joo;Cho, Sung-Woo;Kim, Duk-Soo;Cho, Yong-Jun;Eum, Won Sik;Choi, Soo Young
    • BMB Reports
    • /
    • 제53권11호
    • /
    • pp.582-587
    • /
    • 2020
  • It is well known that oxidative stress participates in neuronal cell death cau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increased ROS is a major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ischemic injury. Indoleamine 2,3-dioxygenase 1 (IDO-1) is involved in the kynurenine pathway in tryptophan metabolism and plays a role as an anti-oxidant. However, whether IDO-1 would inhibit hippocampal cell death is poorly known. Therefore, we explored the effects of cell permeable Tat-IDO-1 protein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HT-22 cells and in a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Transduced Tat-IDO-1 reduced cell death, ROS production, and DNA fragmentation and inhibi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ctivation in H2O2 exposed HT-22 cells. In the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Tat-IDO-1 transduced into the brain and passing by means of the blood-brain barrier (BBB) significantly prevented hippocampal neuronal cell de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t-IDO-1 may present an alternative strategy to improve from the ischemic injury.

Which One Is Better to Reduce the Infection Rate, Early or Late Cranioplasty?

  • Oh, Jae-Sang;Lee, Kyeong-Seok;Shim, Jai-Joon;Yoon, Seok-Mann;Doh, Jae-Won;Bae, Hack-G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5호
    • /
    • pp.492-497
    • /
    • 2016
  • Objective : Decompressive craniectomy is an effective therapy to relieve high intracranial pressure after acute brain damage. However, the optimal timing for cranioplasty after decompression is still controversial. Many authors reported that early cranioplasty may contribute to improve the cerebral blood flow and brain metabolism. However, despite all the advantages, there always remains a concern that early cranioplasty may increase the chance of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arly cranioplasty increase the infection rate. We also evaluated the risk factors of infection following cranioplast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results of 131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plasty in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June 2015. We divided them into early (${\leq}90days$) and late (>90 days after craniectomy) groups. We examined the risk factors of infection after cranioplasty. We analyzed the infection rate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re were more male patients (62%) than female (38%). The mean age was 49 years. Infection occurred in 17 patients (13%) after cranioplasty. The infection rate of early cranioplasty was lower than that of late cranioplasty (7% vs. 20%; p=0.02). Early cranioplasty, non-metal allograft materials, re-operation before cranioplasty and younger age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the infection rate after cranioplasty (p<0.05). Especially allograft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infection (odds ratio, 12.4; 95% confidence interval, 3.24-47.33; p<0.01). Younger age was also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infection after cranioplasty by multivariable analysis (odds ratio, 0.96; 95% confidence interval, 0.96-0.99; p=0.02). Conclusion : Early cranioplasty did not increase the infection rate in this study. The use of non-metal allograft materials influenced a more important role in infection in cranioplasty. Actually, timing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in multivariate analysis. So the early cranioplasty may bring better outcomes in cognitive functions or wound without raising the infection rate.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Fatty Acid Metabolism of Brain, Heart and Spleen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정효숙;강정옥;김희숙;이수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2-70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 고지질식이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게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고, 뇌 지질중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phosphatidylethanolamine에서는 DHA의 함유 비율이 월등히 높았고, cardioliipin에서는 arachidonic acid의 함유 비율이 높았다. 심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의 함유 비율은 5군(4% 정어리유|4% 홍화유)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DHA 함유 비율은 4군(6% 정어리유+2% 홍화유), 5군에서 높았으며, 비장 지질의 조성 지방산중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은 3군(8% 정어리유)에서 높았다.

  • PDF

글루코코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뇌해마의 CA와 Dentate Gyrus 부분의 유전자 발현 변화 (Glucocorticoi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Hippocampal CA3 and Dentate Gyrus)

  • 김동섭;안순철;김영진;박병권;안용태;김지연;;허송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305-311
    • /
    • 2007
  •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해마 조직에서 대사, 스냅신 형성, apoptosis, 신경세포 생성과 세포에 있어서 수지상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해마조직의 생리학적 조절을 이해하기 위하여, CA3와 DG (dentate gyrus)에서 유전자 발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Lewis 쥐에 9.5mg의 코르티코스테론 알약 또는 플라시보 알약을 20일 동안 처리한 후에 올리고머 유전자 칩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사 하였다 (Rat Neurobiology U34 Arrays, Affymetrix). 플라시보 알약을 처리한 쥐에서 32 유전자들이 DG보다 CA3에서 발현이 높았으며, 3개 유전자는 CA3보다 DG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코르티코스테론 호르몬 처리에 의한 해마조직의 유전자 발현 형태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CA3에서 6개의 유전자와 DG에서 41 개의 유전자가 호르몬에 의하여 조절 받았으며, 이중 43개의 유전자가 상승 발현하였으며, 4개의 유전자가 하강 발현 하였다. 이들 유전자를 기능에 의해 분류하면, 13개의 신경전달물질관련 유전자, 5개의 이온채널,4개의 전사인자, 3개의 neurotrophic인자, 1개의 각 사이토카인과 apoptosis관련 유전자, 그리고 5개의 스냅신형성관련 유전자가 해마조직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하여 CA3에서 BDNF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르몬에 의하여 해마구조의 생리학적인 다양성을 내포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