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White matter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59초

저산소성 뇌손상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유병기간 및 예후와의 연관성 (MR Findings of Hypoxic Brain Damage: Relation to Time Elapse and Prognosis of Patients)

  • 서경진;강채훈;유동수;김상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0권1호
    • /
    • pp.8-15
    • /
    • 2006
  • 목적 : 저산소성 뇌손상의 자기공명영상(MR) 소견을 유병기간 및 예후와 연관 지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상적으로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진단된 환자 18명의 19예의 M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R은 저산소증 발생 후 1일에서 20일(평균 8.6일)사이에 시행되었으며, 대상환자의 T1 및 T2 강조영상에서 비정상 고신호강도 병변의 위치, 뇌부종의 동반 유무 및 시간경과와 예후에 따른 병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19예의 MR영상에서, T2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강도 병변은 기저핵(15예, 78.9%), 뇌피질(13예, 68.4%), 뇌백질(9예, 47.4%), 시상(6예, 31.6%), 소뇌(4예, 21.1%), 뇌간(1예, 5.3%)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뇌피질의 병변은 모든 경우 심부회색질에도 이상소견을 동반 하였으며 양측성, 미만성의 병변을 보였고, 뇌피질 대부분 또는 두정 후두엽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뇌피질 및 심부회색질의 T2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는 급성기(6일이내)부터 아급성기(6일이후)에 걸쳐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다양한 정도로 있었다. 뇌간이나 소뇌의 침범은 비교적 드물었고 모두 뇌피질의 병변이 동반되어 관찰되었다. 뇌백질의 병변도 대부분 아급성기에 뇌피질과 심부회색질의 병변이 있을 때 발생했지만 양측성 분수경계역 뇌경색의 소견으로 단독 침범한 경우도 1예 있었다. T1 강조영상에서의 고신호강도 병변은 뇌피질 및 심부회색질에 주로 아급성기에 관찰되었으나, 급성기에도 일부 관찰되었다. 뇌부종은 11예에서 급성기, 아급성기에 걸쳐 관찰되었다. 의식이 회복된 환자의 MR에서 뇌피질의 침범이나 뇌부종의 빈도가 적었다. 결론 : 저산소성 뇌손상의 MR소견은 다양하지만, 거의 대부분 뇌피질과 심부 뇌회색질을 침범하는 양측성 미만성의 병변으로 나타났다. 뇌백질의 병변은 아급성기 이후에 주로 나타나나 급성기의 혹은 단독의 병변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뇌피질의 침범정도가 경미하거나 뇌부종이 미약한 경우 예후가 좋았다.

  • PDF

뇌종양 및 그 주변 신경다발의 통합적 가시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Software Development for the Integrated Visualization of Brain Tumor and its Surrounding Fiber Tracts)

  • 오정수;조익환;나동규;장기현;박광석;송인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1호
    • /
    • pp.2-8
    • /
    • 2005
  • 목적 : 뇌종양 및 확산텐서 영상으로 얻어진 그 주변 신경 다발을 동시에 가시화하는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고 그것을 통해 뇌종양이 그 주변 신경다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의 적용 가능성을 시험해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IDL을 기반으로 뇌종양과 그 주변 신경다발의 통합적 가시화를 구현하였다. 뇌종양을 가진 한 환자에 대한 T1 강조영상 및 확산텐서 영상을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이 3.0T자기공명장치에서 획득되었다. 우리는 해부학적 정보를 위해 두개골을 제거한 뇌 영상과 구획화된 뇌종양을 위한 대조강화 T1 강조 영상을 이용하여 서피스 및 볼륨렌더링을 사용하였다. 대뇌 백질 신경 다발추적을 위해 사용되는 확산텐서영상을 위해서는 25개 방향의 확산경사 자계를 이용하는 SE-EPI방법을 사용하였다. 신경 다발추적 방법으로는 streamline과 tensorline 방법을 사용하였다. T1 강조 영상 및 확산텐서 영상의 공간적 불일치를 보정하기 위해 SPM을 이용한 정합을 수행하였다. 우리의 소프트웨어는 PC 윈도우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결과 : 한 명의 뇌종양 환자에 대하여 튜브 모양의 신경다발, 대뇌 백질 서피스 렌더링 , 뇌종양의 볼륨/서피스렌더링의 통합적 가시화를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결론 : 우리의 결과는 뇌종양 및 그 주변 신경다발의 통합적 가시화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우리의 구현된 통합적 가시화는 뇌종양 부위 및 그 주변 부의의 대뇌 백질 확산 비등방성의 정량적인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반전 시간의 변화가 정상인의 뇌 체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hanges of Inversion Time Effect on Brain Volume of Normal Volunteers)

  • 김주호;김성후;신화선;김지은;나재범;박기수;최대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4호
    • /
    • pp.286-29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반전 시간 (inversion time, TI)의 차이에 의한 뇌 영상을 획득하여 체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MPRAGE (magnetization prepared rapid acquisition gradient echo) pulse sequence, 절편두께 1.5 mm, 4개의 반전 시간 (800 ms, 900 ms, 1000 ms, 1100 ms)을 이용해 뇌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뇌 영상을 이용해 백질 (white matter, WM), 회백질(gray matter, GM), 그리고 전체 뇌 체적(intracranial volume, ICV)을 측정하고 각 TI 별로 뇌 체적 및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 Freesurfer로 산출된 뇌 체적은 평균 ICV=$1278.94{\pm}154.92cm^3$를 이용하여 정규화 하였고, 평균 WM=$486.52{\pm}48.64cm^3$, 평균 GM=$646.83{\pm}57.12cm^3$ 이었다. 남자의 뇌 체적 (WM, GM, ICV)은 여자보다 컸다. 측정간 신뢰도 테스트에서 급내 상관 계수는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WM 0.992, GM 0.988, ICV 0.997).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GM과 ICV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없었지만 (GM p=0.143, ICV p=0.052) WM는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있었다 (p=0.001). 선형 구조 관계 분석에서는 피어슨 상관 계수가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 WM, GM, ICV는 높은 신뢰도와 선형 구조 관계를 나타내었고 WM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20대 건강한 성인의 뇌 체적의 자료는 환자들과의 비교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I의 변화에 따라 대조도, 잡음비 그리고 병변의 검출 능력을 조사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Comparison of Vendor-Provided Volumetry Software and NeuroQuant Using 3D T1-Weighted Images in Subjec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ow Large is the Inter-Method Discrepancy?

  • Chung, Jieun;Kim, Hayoung;Moon, Yeonsil;Moon, Won-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2호
    • /
    • pp.76-84
    • /
    • 2020
  • Background: Determination of inter-method differences between clinically available volumetry methods are essential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rain volumetry in a wider contex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method reliabil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iemens morphometry (SM) software and the NeuroQuant (NQ)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MR images of 86 subjects with subjective or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For this study, 3D T1 volume images were obtained in all subjects using a 3T MR scanner (Skyra 3T, Siemens). Volumetric analysis of the 3D T1 volume images was performed using SM and NQ. To analyze the inter-method difference, correlation, and reliability, we used the paired t-test, Bland-Altman plo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effect size (ES) using the MedCalc and SPSS software. Results: SM and NQ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for cortical gray matter, cerebral white matter, and cerebrospinal fluid; and good reliability for intracranial volume, whole brain volume, both thalami, and both hippocampi. In contrast, poor reliability was observed for both basal ganglia including the caudate nucleus, putamen, and pallidum. Paired comparison revealed that while the mean volume of the right hippocampu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oftware, the mean difference in the left hippocampus volume between the two methods was 0.17 ml (P < 0.001). The other brain reg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easured volumes between the two software. Conclusion: SM and NQ provided good-to-excellent reliability in evaluating most brain structures, except for the basal ganglia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easured volumes when using these two different software interchangeably.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Heavily T2 FLAIR와 DWI 기법의 영상비교 (Image Comparison of Heavily T2 FLAIR and DWI Method i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 구은회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7-40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rain MRI images through Heavenly T2 FLAIR and DWI techniques to find ou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image. Data were analyzed on 13 normal people and 17 brain tumor patients. Philips Ingenia 3.0TCX was used as the equipment used for the inspection, and 32 Channel Head Coil was used to acquire data. Using Image J and Infinity PACS Data, 3mm2 of gray matter, white matter, cerebellum, basal ganglia, and tumor areas were set and measured. Quantitative analysis measured SNR and CNR as an analysis method, and qualitative analysis evaluated overall image quality, lesion conspicuity, image distortion, susceptibility artifact and ghost artifact on a 5-point scal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ta analysis was tha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Paired t-test were executed, an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was SPSS ver.22.0 and the p value was less than 0.05. In quantitative analysis, the SNR of gray matter, white matter, cerebellum, basal ganglia, and tumor of Heavily T2 FLAIR is 41.45±0.13, 40.52±0.45, 41.44±0.51, 40.96±0.09, 35.28±0.46 and the CNR is 15.24±0.13, 16.75±0.23, 16.28±0.41, 15.83±0.17, 16.63±0.51. In DWI, SNR is 32.58±0.22, 36.75±0.17, 30.21±0.19, 35.83±0.11, 43.29±0.08, and CNR is 13.14±0.63, 14.21±0.31, 12.95±0.32, 11.73±0.09, 17.56±0.52. In normal tissues, Heavenly T2 FLAIR obtained high results, but in disease evaluation, high results were obtained at DWI, b=1000 (p<0.05). In addition,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verall image quality, lesion conspicuity, image distortion, susceptibility artifact and ghost artifact aspects of the Heavily T2 FLAIR were evaluated, and 3.75±0.28, 2.29±0.24, 3.86±0.23, 4.08±0.21, 3.79±0.22 values were found, respectively, and 2.53±0.39, 4.13±0.29, 1.90±0.20, 1.81±0.21, 1.52±0.45 in DWI.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verall image quality, image distortion, susceptibility artifact and ghost artifact were rated higher than DWI. However, DWI was evaluated higher in lesion conspicuity (p<0.05). In normal tissues, the level of Heavenly T2 FLAIR was higher, but the DWI technique was higher in the evaluation of the disease (tumor). The two results were necessary techniques depending on the normal site and the location of the disease. In conclu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two techniqu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two techniques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n normal and disease evaluation, the two techniques produced useful results.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educational data for clinical basic evaluation and MRI in the future.

영아 연축을 동반한 Krabbe병 1례 (A Case of Krabbe Disease with Infantile Spasm)

  • 김자경;김달현;강보영;권영세;홍영진;손병관;윤혜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95-99
    • /
    • 2003
  • 저자들은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치료중 조절되지 않은 경련을 주소로 본과로 전원되어 자기 공명영상 촬영과 효소 측정법으로 Krabbe병의 조기 발현형으로 진단 받은 환자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분할 및 대칭성을 이용한 자동적인 병변인식 (Segmentation of MR Brain Image and Automatic Lesion Detection using Symmetry)

  • 윤옥경;곽동민;김헌순;오상근;이성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9-154
    • /
    • 1999
  • 자기공명영상은 다른 의료영상에 비해서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인 진단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차원 축단면 뇌 자기총명영상을 분할하는 자동화 알고리즘과 병별에 의해서 손상된 슬라이스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영상분활 과정은 두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단계에서는 이진화와 형태학적 연산을 이용하여 대뇌영역을 추출하고, 둘째 단계에서는 FCM(Fuzzy C-means)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대뇌 내부의 각 조직을 분할하였다. FCM알고리즘은 분할하는 조직의 수가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많은 실행시간을 요구하므로 제안하는 두단계 영상분할 과정을 통하여 실행시간을 향상시켰다. 병변 인식은 해부학적지식과 패턴매칭을 이용하였다.

  • PDF

Clinical impact of cerebral microbleeds on cognition in patients with CADASIL

  • Lee, Jung Seok;Ko, Keun Hyuk;Oh, Jung-Hwan;Choi, Jay Chol;Kim, Joong-Goo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89-94
    • /
    • 2018
  • Cerebral autosomal-dominant arteriopathy with subcortical infarcts and leukoencephalopathy (CADASIL) is inherited microangiopathy caused by mutations in the Notch3 gene. Typical findings from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clude subcortical lacunes, extensive white matter change and cerebral microbleeds(CMBs). CMBs are indicative of bleeding-prone microangiopathy. Despite some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lacune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CADASIL,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ysfunction and CMBs. We sought to assess whether CMB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 in CADASIL. This study enrolled 83 consecutive patients with CADASIL between April 2012 and January 2014. Their degree of cognitive dysfunction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CERA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digit span test, and the Stroop test. A 3.0-T MRI was used to obtain T1-weight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and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grade of CMBs influenced tests of memory dysfunction (p=0.003). Three or more lacunes correlated with dysfunction in the executive domain (p=0.013) and attention domain (p=0.005). 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executive dysfunction (p=0.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addition to lacunes, CMBs and WMHs may be useful imaging markers to associ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 in CADASIL.

Mild Bradykinesia Due to an Injury of Corticofugal-Tract from Secondary Motor Area in a Patient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Lee, Han Do;Seo, Jeong Py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3권6호
    • /
    • pp.304-306
    • /
    • 2021
  • Objectives: We report on a patient who showed mild bradykinesia due to injury of the corticofugal tract (CFT) from the secondary motor area following direct head trauma, which was demonstrated on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Case summary: A 58-year-old male patient underwent conservative management for subarachnoid hemorrhages caused by direct head trauma resulting from a fall from six-meter height at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of a local hospital. His Glasgow Coma Scale score was 3. He developed mildly slow movements following the head trauma and visited the rehabilit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at ten weeks after the fall. The patient exhibited mild bradykinesia during walking and arm movements with mild weakness in all four extremities (G/G-). Results: On ten-week DTT, narrowing of the right CFT from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SMA-CFT), and partial tearing of the left SMA-CFT, left CFTs from the dorsal premotor cortex (dPMC-CFT) and both corticospinal tracts (CSTs) at the subcortical white matter were observed. Conclusion: This case demonstrated abnormalities in both CSTs (partial tearing at the subcortical white matter and narrowing), both SMA-CFTs (narrowing and partial tearing) and left dPMC-CFT. We believe our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assessment of the CFTs from the secondary motor area for patients with unexplained bradykinesia following direct head trauma.

소아에서 가역성 후두부 백질 뇌증 증후군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고찰 (Clinical and Radiological Analysis of Reversible Posterior Leukoencephalopathy Syndrome in Children)

  • 임해리;서혜은;권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901-904
    • /
    • 2007
  • 목 적 : 가역성 후두부 백질 뇌증 증후군은 두정-후두엽의 백질 혹은 회질을 침범하는 특징을 가지는 복합 증후군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증후군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 법 : 총 1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환아에서 급성기 동안의 평균 동맥압을 측정하고 신경학적 사건이 발생하기 수일에서 수주 전 안정 상태의 평균 동맥압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뇌자기 공명 영상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모든 연구는 후향적으로 이루어졌다. 결 과 : 15명의 환아(남아 : 9명, 여아 : 6명)의 연령은 2-20세(평균 연령:10세)였다. 뇌 자기공명 영상은 두정-후두엽의 백질 및 피질에 T2-weighted image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대개의 경우에서 스테로이드나 싸이클로스포린 복용 혹은 급격하게 혈압이 증가하는 사건과 관련성을 보였다. 결 론 : 가역성 후두부 백질 뇌증 증후군은 복합적인 신경학적 질환으로 이 복합 증후군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함으로써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즉각적이고 합당한 치료를 환아에게 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