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et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23초

위상 최적 설계를 통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제동장치 브래킷의 경량화 연구 (Lightweight Design of Brake Bracket for Composite Bogie Using Topology Optimization)

  • 이우근;김정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3호
    • /
    • pp.283-28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위상 최적 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동장치 브래킷 경량 설계를 수행하였다. 제동장치 브래킷은 12t 와 9t 로 각각 두 가지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상최적화시 설계영역은 단면적이 가장 넓은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설정하였다. 제한조건은 제동장치 브래킷의 Z 축의 변위 값을 초기 변위 값보다 2.5% 증가이고, 목적함수는 제동장치 브래킷의 질량 최소화로 하였다. 또한 최적화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차프레임을 생략하고 대차프레임 대신 1D beam 요소를 적용하여 Z 축 변위를 기준으로 전체모델과 동일하게 등가시켜 두 모델간의 상관성을 확보 하였다. 그 결과 12t 모델은 60kg, 9t 모델은 31kg 감소하였고, 최적화 모델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CAE 프로그램을 이용한 브래킷 경량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ght reduction of bracket using CAE program)

  • 강형석;한봉석;한유진;최두선;김태민;신봉철;송기혁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2권3호
    • /
    • pp.25-30
    • /
    • 2018
  • Recently The automotive industry is trying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car body and engine components as a way to achieve high energy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reduction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through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body has the advantage that the fuel consumption and the output can be improved.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ength becomes weak due to the reduction of the material thicknes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materials with high strength according to the unit thicknes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nd researches for applying them have also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cold rolled steel sheet, which is a lightweight material, to a horn bracket that secures a installed in an automobile engine room. The horn bracket secures the horn on the car engine and is bolted to the outer wall of the engine. The momentum is acted on the bracket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lt fastening part and the car horn installed on the bracket end side. Therefore, the body part of the bracket is more likely to be destroyed by the influence of the continuous stress. In this paper, design optimization for weight reduction and strength enhancement was performed to solve this problem, and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olled steel sheet material as lightweight material by tensile test and fabrication was confirmed.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 (Evaluation of frictional forces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archwires)

  • 정태종;최목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3-623
    • /
    • 2000
  •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에 관련된 요소들에는 브라켓의 종류, 교정선의 재질과 형태, 결찰방법의 차이, 건조환경과 타액환경의 차이, 브라켓간 offset의 차이, 브라켓간 거리, 이동속도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8종류의 0.018"x0.025"상악 견치와 상악 제2 소구치용 브라켓을 슬라이드 위에 부착시키고 0.016 및 0.016"x0.022"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같은 크기의 NiTi 교정선 및 Cu-NiTi 교정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조건에서 마찰력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는 Polycrystalline세라믹 브라켓인 Allure의 평균 마찰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라믹과 합성된 플라스틱 브라켓인 Vogue, 금속 브라켓인 Mini-Twin, 금속 슬롯을 갖는 플라스틱 브라켓인 Elan, monocrystalline 세라믹 브라켓인 Starfire, single 브라켓인 Lewis/Lang, 자가결찰 브라켓인 SPEED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frictionless 브라켓인 Shoulder의 평균 마찰력이 가장 낮았다. 자가결찰 브라켓은 원형 교정선에서는 낮은 마찰력을 나타냈고, 사각형 교정선에서는 높은 마찰력을 나타냈다. 2. 교정선 재질에 따른 평균마찰력은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이 다른 교정선들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NiTi 교정선, Cu-NiTi 교정선 순으로 평균 마찰력이 높았다. 교정선의 형태에 따른 마찰력은 원형 교정선의 평균마찰력이 각형 교정선보다 낮았다. 3. 본 연구에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결찰했을 때의 평균마찰력이 탄성모듈로 결찰했을 때에 비해 모든 조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건조환경에서의 금속 브라켓에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 NiTi 교정선 및 Cu-NiTi교정선의 평균마찰력은 타액환경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5. 브라켓간 offset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마찰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 브라켓간 거리의 변화에 대한 마찰력의 차이는 교정선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나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은 브라켓간 거리가 감소할 때 마찰력이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NiTi 교정선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브라켓내의 교정선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력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 치료동안 적정 교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결찰브라켓,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탄성모듈결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치료시기에 따라서 요구하는 마찰력이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정용 브라켓과 강선 사이의 운동마찰저항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dynamic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 이재환;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67-477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호선으로 유도되는 치아이동을 실험실에서 실험하는 동안 브라켓과 선재의 운동 마찰저항에 대한 브라켓 수, 브라켓 폭경, 선재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상악 제 1, 2소구치, 제 1대구치와 유사한 크기의 레진 치아를 사용하였으며, 치주인대와 탄성계수가 비슷한 폴리 에테르 인상재를 사용하였다. 스테인레스 스틸 트윈 에지와이즈 브라켓으로 좁은 폭경 (2.4 mm), 중간 폭경 (3.0 mm), 넓은 폭경 (4.3 mm)을 사용하였으며, 강선으로는 0.016, 0.018, $0.016\;{\times}\;0.022,\;0.019\;{\times}\;0.025$인치의 굵기를 사용하였고, 결찰은 합성고무링을 이용하고, 제1소구치에 부착된 좁은 폭경 브라켓 1개, 제 1, 2소구치에 부착된 2개의 중간 폭경 브라켓 및 제 1, 2소구치와 제 1대구치에 부착된 3개의 중간 폭경 브라켓과 각 강선 사이의 운동 마찰저항력을 계측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좁은 폭경, 중간 폭경, 넓은 폭경 세 종류의 브라켓 모두에서 교정용 선재의 단면 크기가 증가할수록 마찰저항력도 증가하였다. 2. 0.016, 0.018인치 원형 강선은 브라켓 폭경이 증가하면 운동마찰저항력은 감소하며, $0.016\;{\times}\;0.022,\;0.019\;{\times}\;0.025$인치 각형 강선은 브라켓 폭경이 증가하면 운동마찰저항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0.016인치 원형 강선과 폭경이 다른 브라켓과의 운동마찰저항력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3. 중간 폭경 브라켓의 수가 증가할수록 마찰저항력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증가율은 브라켓의 수에 비례하였으나 정수배로 증가하지는 않았고 강선의 굵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

자가결찰 브라켓과 골신장술을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험례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treatment using self-ligating bracket and distraction osteogenesis: A case report)

  • 문철현;박선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0호
    • /
    • pp.656-668
    • /
    • 2009
  • It is difficult to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for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Although there are many orthodontic appliances to expand narrowed maxillary arch, results are rarely successful and the possibility of relapse is increased due to severe scars. Self-ligating bracket, recently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suggests solution of crowding by expansion of dental arches. Light and continuous force could apply for orthodontic movement due to characteristic low friction of self ligating bracket, which gives expansion force until dentition reaches its new equilibrium position and it can be expressed as spontaneous lateral expansion with heavy labial tension. This kind of expansion force is thought to be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nstricted maxillary arch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by Le Fort I osteotomy in case of severe maxillary deficienc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relapse because of limitation in anterior movement and adaptation of soft tissue. In these cases, distraction osteogenesis(DO) can be applied for stable result. We report a case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with narrowed maxillary arch and maxillary deficiency using self ligating bracket and DO.

  • PDF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Engine Mounting Bracket)

  • 한문식;조재웅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5-531
    • /
    • 2012
  • This study aims at the structural analysis of vibration and fatigu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engine mount. Maximum equivalent stress or deformation is shown at bracket or case respectively. As harmonic vibration analysis, the maximum displacement amplitude is happened at 4,000Hz. Among the cases of nonuniform fatigue loads, 'SAE bracket history' with the severest change of load becomes most unstable but 'Sample history' or 'Saw tooth' becomes most stable. In case of 'Sample history' or 'Saw tooth' with the average stress of 4,200MPa or 0MPa and the amplitude stress of -3,000MPa or 7MPa, the possibility of maximum damage becomes 70%. This stress state can be shown with 7 times more than the damage possibility of 'SAE bracket history' or 'SAE transmission'. The structural result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with the design on engine mount by investigating prevention and durability against its damage.

위성안테나 브레켓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Bracket for Satellite Antenna)

  • 황태경;임오강;이진식;이종옥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1-455
    • /
    • 2003
  • Major concern in modern industry is how to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product efficient production. Among many mechanical parts of a satellite, bracket plays an important role to support the load when the satellite is launched to space. so enough strength and stiffness. A designer could add unnecessary material and strength it so as not to fail when it used. But if mechanical part of satellite is over-designed, cost will rise and it also goes against to the aim of lightness. To achieve lightness and enough strength and stiffness, optimization algorithm should be introduced in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conceptual design of bracket i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atellite. Some parameter which could change the weight of this part are selected as design variables. Total weight of bracket is to be minimized while displacement and stress should not exceed limit. Size optimization is done with 3D solid element and PLBA, the RQP algorithm. The weight of 0.262kg of initial model is reduced to 0.241kg after optimization process, so 9.8% of weight reduction is obtained.

  • PDF

시간경과에 따른 교정용 bracket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CES OF FRICTIONAL FORCE BETWEEN BRACKET AND ORTHODONTIC WIRE WITH TIME IN ARTIFICIAL SALIVA)

  • 곽춘;김진범;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3-294
    • /
    • 1993
  • The friction of orthodontic appliances is recogonized to be detrimental to tooth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frictional force changes between bracket$(018'\times025'\;solt)$ and orthodontic wires(stainless steel, cobalt-chromium, and $\beta-titanium$, $017'\times0.25'$ rectangular) with time. The wire was secured in the bracket slot with a elastomeric ligature. Frictional force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frictional forces under dry condition were greater than those in saliva. 2. The frictional forces produced by cobalt-chromium wire were less than those generated by stainless steel and $\beta-titanium$ wire. 3. The frictional forces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time, and the amount of increase on first two weeks was greater than on last two weeks. 4. The change of frictional force under dry condition was greater than in artificial saliv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