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hytherapy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43초

Ralstron 선원대체형 Iridium-192 선원의 선량모델링과 응용 (Dose modeling and its Application of Ir-192 for substitution of Ralstron Brachytherapy source)

  • 김옥배;최태진;김진희;이호준;박정호;김성규;조운갑;한현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2호
    • /
    • pp.131-139
    • /
    • 2000
  • 국내도입 원격제어 근접조사장치인 Ralstron(Shimatsu, Japan) 의 코발트-60선원을 이리디움 192 선원으로 대체하고자 선원을 설계하고, 선원주위의 선량분포를 유도하였다. 이리디움 선원의 물리적크기는 직경1.5mm, 높이 1.5mm 로 370MBq(loci)를 목표로 설계하였으며, 외경은 3mm 이고, 크기는 13m이며, 캡슐의 재질은 SUS316L 이다. 선원 선원자체흡수와 스테인리스 스틸 캡슐에 의한 선량감쇠는 61.2%로 나타났으며, 단위방사능당 감마상수는 4.69R$cm^2$/mCi-hr였다. 조직선량은 공기중흡수선량 변환과 조직산란보정을 통해 구하였으며, 조직흡수선량변환계수는 이리디움의 에너지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공기에 대한 조직의 질량에너지흡수계수비 ($\mu$$_{en}$ )$^{tissue}$ air= 1.112 를 얻었다. 고안 선원에 대한 선량분포는 선원을 2,338개의 선원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선원에서 주위에 도달되는 선량을 이산적으로 누적 평가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선량도표를 제공하였다.

  • PDF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Ir-192 선원의 감마메드 치료기 호환성 연구 (Study on the Compatibility for an Ir-192 Source Manufactur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n GammaMed Brachytherapy Machine)

  • 정동혁;이강규;김수곤;문성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78-8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제작한 Ir-192 밀봉선원(IRRS20, KAERI, Korea)을 감마메드 근접치료기에 장착하고 치료기와의 호환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적 호환성의 평가로서 선원의 이동간격, 채널별 이동간격, 와이어의 최소 곡률 반경, 비상시 작동을 검사하였다. 약 45일 동안 수회에 걸쳐 기준 거리에서 공기커마세기를 측정하였으며, 필름을 사용하여 기존의 선원과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KAERI 선원의 감마메드 장비와의 기계적호환성은 양호하였다. 시간에 따른 방사능 특성도 계산과 잘 일치하였으며, 선원주변의 선량분포에 있어서 기존 선원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궁주위 방사선 근접치료시 MIRD 팬텀을 이용한 주변장기의 피폭환경평가 (Assessment of Dose Distribution using the MIRD Phantom at Uterine Cervix and Surrounding Organs in High Doserate Brachytheraphy)

  • 이윤종;노영창;이재기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87-391
    • /
    • 2006
  • Manchester system 타입의 장착기중 상, 하부에 차폐체가 장착되어 있는 Henschke 장착기를 이용하여 자궁암 근접치료시 자궁 및 주변장기의 선량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계획수립에 사용되는 실용프로그램 결과와 몬테칼로 모의계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자궁 및 주변 정상조직이 받은 선량을 계산하기 위해 ORNL(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서 수립한 여성의 MIRD (Medical Internal Radiation Dose)형 모의피폭체를 이용 하여 주변장기가 받는 선량을 MCNP로 계산하였다. 몬테칼로 모사에는 MCNP 4B코드를 사용하였으며, 실용계산프로그램에는 GAMMADOT를 이용하였다 MCNP계산에는 $^{192}Ir$ 선원과 장착기의 기하학적 모양을 정밀하게 모사하여 계산 오차를 줄이도록 하였으며, 치료계획용 실용계산프로그램의 계산 조건과 동일하게 치료선원의 강내 체류시간과 체류위치를 적용하여 선량을 계산하였다. 주요 선량 비교 평가점은 Manchester system에서 사용되는 4곳과 ICRU 38에서 Manchester system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한 방광표면 및 직장이였다. 실용계산 결과는 MCNP모의계산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 위치에서 상대오차 4% 이내의 결과를 보였고, 난형체의 차폐체 장착효과로 인한 방광과 직장에서의 선량감쇠효과는 각각 19%, 20%였다.

Defini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Cervical Cancer - a University of Malaya Medical Centre Experience

  • Zamaniah, W.I. Wan;Mastura, M.Y.;Phua, C.E.;Adlinda, A.;Marniza, S.;Rozita, 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987-8992
    • /
    • 2014
  • Background: The efficac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is well establishe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icacy of defini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cervical cancer in the University of Malaya Medical Centre. Materials and Methods: A cohort of 60 patients with FIGO stage IB2-IVA cervic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cisplatin followed by intracavitary brachytherapy or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boost between November 2001 and May 2008 were analysed. Patients were initially treated with weekly intravenous cisplatin ($40mg/m^2$) concurrent with daily EBRT to pelvis of 45-50Gy followed by low dose rate brachytherapy or EBRT boost to tumour. Local control rate, progression free survival, overall survival and treatment related toxicities graded by the RTOG criteria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was 56. At the median follow-up of 72 months, the estimated 5-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median PFS 39 months) and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median OS 51 months) were 48% and 50% respectively. The 5-year local control rate was 67.3%. Grade 3-4 late gastrointestinal and genitourinary toxicity occurred in 9.3% of patients. Conclusions: The 5-year PFS and the 5-year OS in this cohort were lower than in other institutions. More advanced stage at presentation, longer overall treatment time (OTT) of more than fifty-six days and lower total dose to point A were the pot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a lower survival.

Survival Rate of Early Stage Endometrioid Adenocarcinoma of Endometrium Treated at Srinagarind Hospital

  • Krusun, Srichai;Pesee, Montien;Rasio, Withee;Tangvoraphonkchai, Vorachai;Supaadirek, Chunsri;Thamronganatasakul, Komsan;Supakalin, Narudom;Padoongcharoen, Praw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217-2220
    • /
    • 2014
  • Purpose: To evaluate the survival outcome of early stage endometrioid adenocarcinoma of the endometrium with risk factor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treated with combined pelvic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vaginal brachytherapy (VBT) after comprehensiv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Post-operative radiotherapy by pelvic EBRT and VBT for early stage endometrioid endometrial carcinoma resulted in excellent pelvic control with acceptable complications.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ge, stage, histologic grade and LVSI and overall survival rate.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OS) of early stage endometrioid type of endometrial carcinoma was 85.7%. Acute toxicity occurred in 38.1% of the patients, all of whom were grade 1 or 2. Total late toxicity developed in 42.9% of study group, in which 36.99% of them were grade 1-2 and 4.76% were grade 3-4. Conclusions: Post-operative radiotherapy by pelvic EBRT and VBT is acceptable for early stage endometrioid endometrial carcinoma, independent of age, stage, histologic grade and LVSI.

시험선원을 이용한 기준 전리함의 감도변화와 임상필드전리함의 성능 안정성 비교 (Comparison the reference ion chamber in using the radioactive check source and field ion chamber for output dose for Co-60 source of remote afterloading system)

  • 최태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2권2호
    • /
    • pp.141-146
    • /
    • 2001
  • 치료효과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조사선량의 5% 이내의 선량오차가 방사선생물학적 의미가 높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양치료를 위한 강내조사 선원이나 선형가속기의 고선량율의 선량 평가는 정확하고 안정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된다. 선량을 평가 교정하기 위해 전리함의 교정 인정기관의 교정상수를 유지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기하학적으로 고정된 표준선원과 전리함의 사용을 오래 전부터 권고해 왔다. 본 연구는 전리함의 감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Sr-90 시험선원을 이용한 임의의 기준 전리함의장기간 안정성이 1.00$\pm$0.01 의 오차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고선량률 원격강내조사선원인 Co-60 선원에 대한 기준전리함의 출력선량에 대한 임상측정용 전리함의 출력선량은 평균 0.997 $\pm$ 0.01의 오차범위에서 평가될 수 있었으며, 최대오차는 예상선량에 -2.5% 였다. 이 실험을 통해 반감기가 긴 시험선원을 이용하여 임상 측정용 공기전리함의 안정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원격조정 고선량 기관지내 근접 치료 (Remote Afterloading Hish Dose Rate (HDR) Endobronchia1 Brachytherapy)

  • 장혜숙;최은경;이병용;김원동;김우성;고윤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27-232
    • /
    • 1991
  • 기관지 폐색으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기관지내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 치료방법으로 고선량 기관지내 근접치료법이 본원에서 시행되었다. 기관지 내시경 시술을 이용하여 근접치료용 관을 기관지 내로 삽입하며 microSelectron HDR Ir-192를 이용하여 고선량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 이 새로운 근접치료 시술이 효과적이면서도 외래 환자로 통근 치료도 가능할 정도로 용이하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자세한 기술적 인 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자궁경부암 근접치료 시 선량 검증 프로그램을 통한 임상적 위험성 평가 (Clinical Risk Evaluation Using Dose Verification Program of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ncer)

  • 강동진;신영주;강진규;정재용;이우진;백태성;이보람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6호
    • /
    • pp.553-56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isk according to the applicator heterogeneity, mislocation, and tissue heterogeneity correction through a dose verification program during brachytherapy of cervical cancer. We performed image processing with MATLAB on images acquired with CT simulator. The source was modeled and stochiometric calibration and Monte-Carlo algorithm were applied based on dwell time and location to calculate the dose, and the secondary cancer risk was evaluated in the dose verification program. The result calculated by correcting for applicator and tissue heterogeneity showed a maximum dose of about 25% higher. In the bladder, the difference in excess absolute risk according to the heterogeneity correc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ctum, the difference in excess absolute risk was lower than that calculated by correcting applicator and tissue heterogeneity compared to the water-based calculation. In the femur, the water-based calculation result was the lowest, and the result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applicator and tissue heterogeneity was 10% higher. A maximum of 14% dose difference occurred when the applicator mislocation was 20 mm in the Z-axis. In a future study, it is expected that a system that can independently verify the treatment plan can be developed by automat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and the dose verification program.

고선량률(HDR) 근접치료의 동위원소 Ir-192에 대한 측정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alibration Procedures for Ir-192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Sources)

  • 백태성;이승욱;나수경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6
    • /
    • 2007
  • 목 적: Ir-192 고선량율 근접치료(HDR Brachytherapy)선원에 대한 다양한 측정절차의 효율을 서로 비교할 것이며, 측정 장비의 추가 구입 없이 대안으로 새롭게 만든 PMMA (polymethylmethacrylateplastics: $C_5H_8O_2$) plate phantom에 대한임상에서의 적합성과 유용성을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세 가지 형태(Well type chamber, Source calibration jig, PMMA plate phantom)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Source calibration jig와 PMMA plate phantom을 사용 했을 때에는 Farmer type chamb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 5회씩 측정하여 제조업체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또한 새로운 선원을 교환 할 때마다 제조업체로부터 선원과 함께 제공되는 제조업체의 측정치를 본 연구의 측정치와 비교하여 방사능의 정확도를 평가 하였다. 결 과: Well type chamber, Source calibration jig, PMMA plate phantom를 사용한 Ir-192 선원의 측정결과 제조업체 측정치와의 상대오차에 대한 RMS (Root Mean Square)값은 Well type chamber에서 0.6%, Source calibration jig에서 1.57%, PMMA plate phantom에서는 2.1%를 나타내었다. 또한 평균 오차에 대한 편차는 Well type chamber에서 $-0.2{\pm}0.5%$, Source calibration jig에서 $0.97{\pm}1.23%$, PMMA plate phantom에서는 $-0.89{\pm}1.87%$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실험한 세 가지 형태(Well type chamber, Source calibration jig, PMMA plate phantom)의 측정 시스템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Well type chamber를 이용한 측정결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대안으로 새롭게 만든 PMMA plate phantom의 결과 권고안 ${\pm}5%$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