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x-plot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1초

A Clinical Trial to Assess the Efficacy of Acupuncture on Hot Flashes in Postmenopausal Women;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acupuncture (TKMA) and Minimal Acupuncture (MA)

  • Kim, Dong-Il;Roh, Jin-Ju;Choi, Min-Sun;Lee, Seung-Deok;Roh, Ju-Won;Yoon, Sang-Ho;Ahn, Hong-Yup;Oh, Dal-Seok;Choi, Sun-Mi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4-85
    • /
    • 2007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nfirm if proper stimulation and de-Qi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acupuncture could increase hot flash relief efficacy. Design :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 blind study. We used two modalities of acupuncture, one with optimal stimulation [Study group; Korean medical acupuncture (TKMA)] and one with minimal stimulation [Control group; Minimal acupuncture (MA)]. Same acupoints [PC6(內關), HT8(少府), HT7(神門), LI4(合谷), ST36(足三里), SP6(三陰交), Ren4(關元)] were used in both groups. Fifty-two patients were trea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llow up was done after 4 weeks from the last treatment. Patients were checked hot flash VAS (visual analog scale), frequency and duration every time they visited. Results : Hot flash relief efficacy by 100mm hot flash VAS was obvious in both groups. Hot flash VAS scores of study group were smaller than the scores of control group at the early stage (3rd, $4^{th}$ and $8^{th}$ visit), but there wasn't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at the end of the trial. Besides, diminution of hot flash VAS was faster and more even in the study group than control group by visualization using 'Box plot'. We compared frequency and duration of hot flash, 100mm sweating, palpitation, sleep disturbance VAS, and Kupperman Index, MENQOL, Patient's global assessment score. Both groups showed definite decrease from the baselin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n't any adverse event. Hot flash relief efficacy was kept in most patients after 4 weeks' follow-up. Conclusion : Acupoint combination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ory is effective on hot flashes and hot flash relief efficacy was faster and more even in optimal stimulation than minimal stimulation.

  • PDF

결체조직질병(結締組織疾病)에 병발(倂發)된 간질성폐병변(間質性肺病變)에 대(對)한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의 치료효과(治燎效果) 연구(硏究)

  • 장항홍
    • 혜화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97-497
    • /
    • 1997
  • 간질성폐질변(間質性肺疾變)은 결체조직질병(結締組織疾病)의 상견(常見)되는 병발증(倂發證)이지만, 지금까지는 이상적(理想的)인 치료법(治療法)이 없었다. 본(本) 연구(硏究)는 본병(本病)의 병리기전(病理機轉)이 중의(中醫)에서의 "어혈(瘀血)"증(證) 상호(相互) 유사(類似)한 것으로부터 시작(始作)하여, 중의(中醫)의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과 결합(結合)하여 치료(治療)하면서 환자(患者)의 폐기능(肺氣能) 검사결과(檢査結果)의 변화(變化)를 추적(追跡)해, 그 치료효과(治療效果)에 대(對)한 평가(評價)를 내리는 작업(作業)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풍습과(風濕科)에 의뢰(依賴)하여 결체조직질병(結締組織疾病)에 간질성폐병(間質性肺病)이 병발(倂發)한 환자(患者)를 선별(選別)한 후(後)에, 서의치료(西醫治療) 통(通)해서 그 원발성(原發性) 질병(疾病)이 은정(隱靜)한 상태(狀態)에까지 이르도록 한 후(後), 필요(必要)한 최저량(最低量)의 서의약(西醫藥)만을 유지(維持)케 하였다. 환자(患者)의 의사(意舍)에 따라서 두 개의 조(組)로 나누어, 실험군(實驗群)은 중의(中醫)에서 회진(會診)하고, Raynaud 증후군(症候群)의 유무(有無)에 따라서,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혹(或)은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을 농축분제(濃縮粉劑)로 투여(投與)하며 연속(連續)하여 6개월간(個月間) 치료(治療)하였다. 대조군(對照群)의 경우(境遇)에는 중의(中醫)가 회진(會診)하지 않았다. 14개월(個月)동안 모두 실험군(實驗群) 23례(例)와 대조군(對照群) 16례(例)를 대상(對象)으로 연구(硏究)를 하였는데, 모두 여성환자(女性患者)였다. 압축성폐용량(壓軸性肺用量)(FVC), 폐총용량(肺總用量)(TCL), carbon monoxide에 대(對)한 폐(肺)의 확산능력(擴散能力)(DLCO), 그리고 폐포공기량(肺泡空氣量)(VA)에 대(對) DCLO의 비(比)를 지표(指標)로 삼아, 폐기능(肺氣能)의 손상정도(損傷程度)에 따라서 box plot으로 분석(分析)하고, 폐기능(肺氣能)의 손상(損傷)을 측정(測定)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실험결과(實驗結果), 실험군(實驗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해서 치료(治療) 전(前)보다 명현(明顯)한 개선(改善)이 있었다. 폐기능(肺氣能)을 검사(檢査)한 수치(數値)들을 일반적(一般的)으로 통계처리(統計處理)한 것을 응용(應用)하고, TCL과 FVC의 모형식(模型式)을 만든 결과(結果), 실험군(實驗群)에서 FVC가 치료과정(治療過程)의 기간(其間)과 정비례(正比例)하여 향상(向上)되고, 또한 치료효과(治療效果)가 명현(明顯)하게 나타나기 시작(始作)하는 시기(時期)가 중의(中醫) 치료과정(治療過程)을 거친 실험군(實驗群)의 제(第)12개(個)에서 DLCO와 DLCO/VA의 향상(向上)이 나타나는 시기(時期)와 거의 일치(一致)하는 것을 발견(發見)하였다.

  • PDF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과 영상의 재현 - 르네상스시대의 공연예술과 초기자본주의 사회상을 중심으로 (The Historical Backdrop and Reproduction of the Image in the Film )

  • 오세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30권
    • /
    • pp.7-29
    • /
    • 2013
  • A movie which brought its material from a historical character or incidents in the past was produced by a story suggestion through a historical fact. It is because Shakespeare created a story based on a mythical element related with his life in the plot which was written from the script of the play and was on the show in the cinemas of London. It is an obvious fact that the historical drama of this movie was intentionally modified and the fictional story was added to episodes in order to create a dramatic effect. However, reflecting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aspects accurately through a historical study would also be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e backgrounds and aspects presented in this movie are a kind of storytelling which was reconstructed as if a historian added his opinion to historical facts like a discourse. A historical background in was a story about Shakespeare who worked at the theater in London as a writer in 1593 the period of England Reneissance. The movie included the working and playwriting of Shakespeare who is a main character. This indicated not only the environment of the theater and literature during the reign of Queen Elizabeth I but also historical aspect in the early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England. This movie, that is, described that time as a recreation such as a cultural acceptance and an achievement of an initial capitalism in Renaissance in the life of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factor of theaters flourishing during the Renaissance was because a newly emerging class, bourgeoisie, who held the capital emerging from a policy for middle class led to a box office hit through founding theaters and drama company and selling tickets and performing plays by themselves. Like this, the movie depicted the time led by plays to a industrialization. Moreover, Social aspects in the late 1500s were revealed in this movie through a depiction of the cinemas and the city of London. The depiction of the city of London reflected a social situation of an initial capitalism rapidly developed in trade and commerce. The social aspects such as conflicts between social classes based on getting richer and poorer, mammonism, a corrupted lov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a immortality with growing brothels, religious and political conflicts with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in England were closely linked with characters' daily routine at that time in London and were reflected in this work overall. The reason why we highlight characters' job and custom like this in the movie is that these are ideationally inherent in a critical mind from people at that momen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production of the image depicted in the movie were focused on characters' daily routine and indicated the problem mentally and independently exposed in the form of initial capitalism.

중국 대형정경체험극 '우견평요'의 성공요인 분석 (Success Factors Analysis of Chinese Large Scenario Experience Drama:'You Jian Ping-yao')

  • 왕이룬;장혜원
    • 지역과문화
    • /
    • 제8권3호
    • /
    • pp.27-48
    • /
    • 2021
  • 近年来, 中国的旅游演艺进行了一系列新项目的落成, 使旅游演艺产业的票房增加, 经济收入增高, 同时带动了旅游演艺的品牌形成, 而且拥有了一定的良好口碑, 对地域的文化传播, 经济发展都有一定的推动作用, 其中大型情景体验剧就是重点项目之一。大型情景体验剧是一种以模拟真实环境空间设计为空间, 使观众在视觉, 听觉, 嗅觉, 味觉和触觉等多位感官上进行主动式体验, 互动性极强的新戏剧形式。大型情景体验剧根据中国的传统文化, 地域文化, 流传已久的故事进行了改编, 又结合了灯光, 音效, 特效, 3D效果等高科技, 使观众的体验更加真实。《又见平遥》作为中国第一部大型室内情景体验剧, 以新的表现形式和创作手段来体现山西文化的博大精深。以情景体验剧的形式, 使观众更加直观地感受到了"山西人"的"山西情"和"山西德", 推动山西旅游业的发展, 带动山西地区的经济, 逐渐形成了完整的产业链。但也有剧情连接不顺及游客管理不当等局限, 可以通过更多的观众互动及指引完善演出效果。因此可以看出, 大型情景体验剧对地域在传统文化, 价值观的传播上, 旅游产业的发展上, 地域的品牌特色形成以及经济发展上都有很大的推动作用。通过这些, 可以看出大型情景体验剧对实景演出的发展具有创新思维内容, 逐渐形成产业链闭环以及拓宽宣传渠道等启示作用。

한발기에 있어서 용수관리 방법이 수도생육과 그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Control Methods of Irrigation Water on the Growth and Yield of Paddy Rice.)

  • 김시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77-2190
    • /
    • 1971
  • 본 시험은 한발시기를 이앙적기연한발구와 적기이앙직후한발구 그리고 유수형성기한발구별로 처리하고 한천일수를 10일, 20일, 30일간 단수했을 때의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가. 기상상항은 평년에 비해 일반적으로 성화에 비가 많았고 일조시간은 적었으며 온도는 비슷한 편으로 벼 작항에는 별차이가 없었다. 나. 관개수질은 중성으로 양호하였다. 다. 본 시험포의 토질은 비옥토가 양호한 편으로 일반 답토양과 비슷한 성질의 것이었다. 라. 분얼기의 생육상항은 하발 유형별로 보면 이앙적기지연한발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초장은 가장 부량하였으나 분얼수는 가장 많았고 이앙직후한발구에서 분얼수가 가장 적었다. 한천일수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한천일수가 길수록 초장 분얼수가 현저히 부량하였다. 마. 출수상항은 이앙지연한발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1{\sim}2$일정도 늦은 경향이었다. 하천일수별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바. 성숙기의 생육 및 수량상항에서 한발시기별을 보면 이앙직후 한발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였고 유수형성기한발구가 가장 부량하였다. 한천일수별에 있어서는 한천일수가 길수록 생육 및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매미과 울음 시작 및 종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 참매미, 말매미를 대상으로 -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tart and End of Cicadae Calling - The Case Study of Hyalessa fuscata and Cryptotympana atrata -)

  • 김윤재;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2-350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중부 도심지에서 우점하는 참매미와 말매미를 대상으로 울음 시작 및 종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반포아파트였고. 연구기간은 2015년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2개월이었다. 매미 울음의 시작 및 종료시각 분석 결과 참매미는 평균 5시 21분에, 말매미는 7시 40분에 울음을 시작하였다. 울음 종료는 참매미는 평균 18시 31분, 말매미는 평균 19시 51분에 울음을 종료하였다. 산점도와 상자도표 작성 결과, 참매미는 05시에 규칙적으로 울음을 시작하였고, 말매미는 20시에 참매미와 비교해서 규칙적으로 울음을 그치는 패턴을 보였다. 매미 울음 시작 및 종료시각과 환경요인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참매미 울음 시작은 일출시각만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택되었다. 참매미 울음 종료시각은 일몰시각과 전운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매미 울음 시작 시각은 주로 기온과 일출시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기온요인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말매미 울음 종료 시각은 일몰시각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이외에 최고기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참매미의 울음 시작 및 종료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일출과 일몰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일출과 동시에 울음을 시작하고, 종료 시각 또한 일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말매미는 울음 시작 원인요인은 기온이고, 울음 종료 요인은 일몰로 판단되었다. 이로 인해 말매미 울음 시작은 당일 기온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지만, 울음 종료 요인은 일몰과 동시에 일제히 울음을 종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ethylene film포장(包裝)에 의(依)한 단감의 CA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A Storage of Sweet Persimmon in Polyethylene Film Pack)

  • 민병용;오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8-134
    • /
    • 1975
  • polyethylene필립포장(包裝)에 의(依)한 단감의 장기냉장법(長期冷藏法) 개발(開發)을 위하여 1973년도(年度)에는 30상자(箱子)의 단감을 공시(共試)하여 기초연구시험(基礎硏究試驗)을 실시(實施)하고 하여 1974년도(年度)에는 진영(進永)단감협동조합(協同組合)의 50평(平)짜리 냉장고(冷藏庫)에 2,500상자(箱子)의 경제규모(經濟規模)의 실용화(實用化)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저장기간별(貯藏期間別)로 품질변화(品質變化) 상태(狀態)를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 단계적(段階的)으로 저장(貯藏)단감을 출하(出荷)하여 시판(市販)하므로서 소비자(消費者)의 반응(反應)과 단감저장(貯藏)의 기업성(企業性)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김해진영산(金海進永産) 단감 부유(富有)는 $2^{\circ}C{\pm}1^{\circ}C$에서 냉장(冷臧)하면 1개월간(個月間)을 저장(貯藏)이 가능(可能)하였고 PE필림으로 밀봉포장(密封包裝)했을때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을 크게 연장(延長)할 수 있었으며 이때 포장(包裝) PE필림의 두께가 0.08mm와 0.1mm일때는 다음해 2월말일(月末日)까지 약(約) 4개월간(個月間)을 안전(安全)하게 저장(貯藏)할 수 있었다. (2) PE필림 밀봉포장(密封包裝)으로 단감의 저장중(貯藏中) 증산(蒸散)에 의(依)한 중량감소(重量減少)를 크게 억제(抑制)할 수 있었으며 필림두께가 0.04mm이상(以上)일때 그 효과(效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과실(果實)을 필림대(袋)속에 $3{\sim}5$개씩 넣어 소포장(小包裝)는 것이 한상자분(箱子分)(15kg)을 큰 필림포대(包袋)에 넣어 밀봉포장(密封包裝)한 것에 비(比)하여 저장성(貯藏性)이 다소(多少)좋았다. (4) 필림포장내(包裝內)의 $CO_2$축적량(畜積量)은 필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증가(增加)하나 저장(貯藏) 1개월후(個月後)부터는 극(極)히 완만(緩慢)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0.06mm와 0.08mm포장구(包裝區)에서는 대체(大體)로 $5{\sim}6%$선(線)을 유지(維持)하였다. (5) 단감은 저장중(貯藏中) 전당(全糖), 총산(總酸) 및 Vitamin C는 다같이 감소(減少)하였으며 그중(中) 특(特)히 무포장구(無包裝區)의 과실(果實)에서 현저(顯著)하였다. (6) PE필림 밀봉포장(密封包裝) 냉장(冷藏)단감은 출고후(出庫後) 필림포장(包裝)한 그대로 유통(流通)시키는 것이 포장(包裝)을 제거(除去)한 것보다 품위유지(品位維持)에 유리(有利)하였으며 외기상온(外氣常溫)에서 10일간(日間)은 무난(無難)하게 상품적(商品的) 가치(價値)를 보지(保持)할 수 있었다. (7) 단감의 필림포장냉장(包裝冷藏)은 시장성(市場性)이 좋고 경제적규모(經濟的規模)로 냉장(冷藏)했을때 제반경비(諸般經費)를 공제(控除)하고도 기업성(企業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남한에서 낙뢰발생시 근접 고층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안정도 지수 분석 (Analysis of Stability Indexes for Lightning by Using Upper Air Observation Data over South Korea)

  • 엄효식;서명석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67-482
    • /
    • 2010
  • 수치모델 및 자료동화 기법이 급격히 발달하고 여러 가지 물리 역학적 과정이 개선되며, 이를 운영하는 컴퓨팅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수치예보 기술 및 성능이 개선되었지만, 낙뢰와 같이 주로 중규모 시스템에 동반되어 발생하거나, 수십 km 이내의 국지적인 악기상에 동반된 경우 아직까지는 수치모델의 예측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낮은 낙뢰 탐지 및 예측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상 및 고층, 원격 탐사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낙뢰 탐지 및 예보에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한반도의 대기상태가 점차 하층에서의 온난화와 습윤화로 인하여 불안정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최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지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낙뢰현상의 탐지 가능성 및 예측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상청 신낙뢰관측 시스템에서 관측된 낙뢰 자료와 우리나라 5개 고층 관측소 (오산, 광주, 포항, 제주, 백령도)에서 관측된 고층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하여 낙뢰 발생시 안정도 지수와 환경변수의 객관적인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안정도 지수 및 대기환경변수는 CAPE, SSI, LI, KI, LCLT, MLMR, TPW 그리고 바람시어 등이다. 낙뢰와 고층기상관측 자료사이의 대응(match-up) 자료 선정기준으로는 레윈존데의 실제적인 비양 및 관측시간을 기준으로 -2hr~+1 hr 사이 그리고 고층기상관측소를 기준으로 100 km 이내에 낙뢰가 발생한 경우로 하였다.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낙뢰가 발생했을 때의 대류권 하층의 기온과 혼합비는 평시에 비해 약 1 K, $1{\sim}2gkg^{-1}$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각 안정도 지수와 환경변수를 낙뢰 발생시와 비발생시로 구분하여 지수들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변수에 따라 분리수준이 높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많은 중첩이 나타나고 있어 특정 안정도 지수만을 이용하여 낙뢰탐지가 쉽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낙뢰 발생시와 비발생시에 값들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수들를 이용하여 낙뢰탐지에 최적인 임계값을 산출하였다. 낙뢰와 같이 현상의 유무로 구분되는 이진변수의 탐지수준 분석에는 주로 분할표가 이용된다. 여기서 안정도 지수별 낙뢰탐지 최적의 임계값은 분할표로부터 도출되는 POD, FAR, ACC, CSI, HSS 등 다양한 평가측도 중에서 낙뢰와 같이 발생빈도가 적은 현상의 분석에 적합한 HSS를 최대로 하는 값으로 도출하였다.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역에서 HSS의 값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안정도 지수 및 환경변수의 개수 및 임계값이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자료를 현업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와 낙뢰-고층기상관측자료 대응(match-up) 자료 선정기준의 정교화 등이 필요하다. 또한 낙뢰,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의 현황과 발달과정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위성, 레이더 등 원격탐사자료와의 종합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니모를 찾아서>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 분석: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론에 근거하여 (An Analysis of the Inherent Fear and Desir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Enneargram Personality Types Theory)

  • 양세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9호
    • /
    • pp.1-36
    • /
    • 2012
  • 픽사(Pixar)의 2003년 작품 <니모를 찾아서>는 흥행과 비평 면에서 크게 성공함으로써 픽사를 가장 영향력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위치에 올려놓았다. 특히 캐릭터 중심의 서사전략은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의 완성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캐릭터라이징의 교과서라 할 만한 업적을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니모를 찾아서>의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에 주목했는데,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을 보다 역동적이며 입체적으로 강화하는 요소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두려움과 욕망에 의해 모든 선택과 행동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삶이 이 두 가지 요소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니모를 찾아서>의 캐릭터라이징은 크게 세 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그것은 (1) 픽사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캐릭터의 내재된 두려움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그 두려움을 회피하는 노력이 서사화 된다는 점. (2)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정립한 두려움과 욕망에 의한 성격역동과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점. (3) 중심 캐릭터(멀린, 니모)가 서로 떨어져 있는 구출과 탈출 플롯의 특성 상, 두려움이 해소되는 방식이 중심 캐릭터간의 상호 성격역동에 의한 것이 아닌, 중심 캐릭터의 결핍을 보완하는 정신적 가치를, 주변 캐릭터(도리, 길)로 성격화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선행연구 작품인 <쿵푸팬더>에서는 팬더 포의 캐릭터라이징이 너무 월등하다는 점이 역설적인 한계로 작용하지만, 중심 캐릭터(포, 시푸)의 두려움+욕망 설정과 상호 성격역동은 매우 정교하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니모를 찾아서>는 중심 캐릭터인 아빠와 아들간의 갈등이 해결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캐릭터와 서브플롯을 선보이며 신선한 재미와 견고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중심 캐릭터의 두려움과 욕망 설정의 완성도가 매우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그 해소의 과정이 다소 의존적이라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애니메이션 캐릭터라이징과 관련하여 또 다른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 설정 시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강구조물(鋼構造物)의 용접연결부(鎔接連結部)의 피로강도(疲勞强度)에 관한 연구(研究)(II) (A Study on the Fatigu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s in Steel Structures(II))

  • 박제선;정영화;장동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1
    • /
    • 1986
  • 강구조물(鋼構造物)의 girder중(中) 중요형식(重要形式)인 판항(板桁)에서 덮개판(板) 및 수직보강재(垂直補剛材)와 판항(板桁)이나 상자항(箱子桁)의 격점부(格點部)에 사용도는 연결판(連結板) 등의 용접연결부(鎔接連結部)를 포함하는 실물(實物)을 modeling하여 직접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지 않고서도 계산에 의하여 S-N 선도(線圖)를 그려서 피로강도(疲勞强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는 계산식 및 program을 정립하였다. 또, 실물시험편(實物試驗片)에 대한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계산에 의한 S-N 선도상(線圖上)에 plot하여 서로 비교 검토하였다.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계산에 의한 피로강도(疲勞强度)가 실험(實驗)에 의한 실제 피로강도(疲勞强度)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계산에 의한 방법은 초기균열(初忌龜裂) $a_i$가 발생한 다음부터 파단시(破斷時)까지의 피로수명(疲勞壽命) $N_p$에 대한 것임에 비해 실험(實驗)에 의한 것은 초기균열(初忌龜裂) $a_i$의 발생수명(發生壽命) $N_c$까지를 포함한 총(總) 피로수명(疲勞壽命) $N=N_c+N_p$에 대한 것이므로 오히려 당연한 결과라 생각된다. 그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며, 구조물(構造物)의 안전성(安全性)을 생각할 때 계산(計算)에 의한 결과가 안전측(安全側)에 해당하므로 실제 구조물(構造物)의 피로설계(疲勞設計) 시(時) 그대로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로 저강도강(低强度鋼)인 SS 41 시험편(試驗片)을 각 경우 3개씩 제작하여 같은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비교해 보았다. 덮개판(板)의 경우 시험최대응력(試驗最大應力) $14kg/mm^2$ 정도 이상(以上)에서 서서히, 수직보강재(垂直補剛材)의 경우 실험최대응력(實驗最大應力) $31kg/mm^2$ 정도 이하(以下)에서 급격(急激)히, 고강도강(高强度鋼)인 SWS 50 시험편(試驗片)의 경우보다 피로강도(疲勞强度)가 더 커진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강도강(低强度鋼)에서 피로강도(疲勞强度)가 낮을 것이라는 상식적(常識的)인 기대와는 다른 특징(特徵)이지만 시험편(試驗片) 3개씩만의 결과이므로 확정적(確定的)인 결론이라고 단언(斷言)할 수는 없겠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실험(實驗)을 행하여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