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Adipocyt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한우 ADSF/resistin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과 육질관련형질 상관 분석 (Analysis of the ADSF/resistin Gene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Carcass Traits in Hanwoo)

  • 박지애;강혜경;채은진;서강석;김상훈;윤철희;문양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77-584
    • /
    • 2007
  • 본 연구는 후대검정 한우 295두의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 방법에 의한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ADSF/resistin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을 발굴하고 이들과 한우 육질관련형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확보된 DNA로부터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promoter와 4개의 exon영역에서는 SNP를 찾지 못하였으나 intron 영역에서 7개의 SNP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SNP의 출현 빈도는 0.027에서 0.16까지 그 차이가 많았다. 육질형질과의 상관분석에서 이들 SNP 중 intron 2에서 발굴된 764A ins 만이 근내지방도와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P<0.05). 근내지방도는 유전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번에 발굴된 ADSF/resistin 유전자의 SNP 764A ins와 같이 유전표지인자를 이용하는 것이 근내 지방도의 개량을 위해 우수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축의 경제형질의 경우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한 개의 유전자를 이용한 가축의 선발 또는 개량에 이용한다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관련 유전자를 이용한 다형현상과 경제형질과의 연관성 연구가 동반될 때 육질개선 및 가축개량에 실질적인 증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분화시 PPARγ에 의한 microRNA-17의 발현 조절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MicroRNA-17 by PPARγ in Adipogenesis)

  • 배인선;김현지;정기용;최인호;김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3-328
    • /
    • 2014
  • MicroRNA는 21~2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단일 염기가닥의 RNA로 지방분화를 포함한 세포내 여러 생리학적 기전에 영향을 미친다. MicroRNA-17 (miR-17)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를 촉진하고, 세포 내 지방을 축적시킨다. 그렇지만, 지방분화시 miR-17 전사조절 기전은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PPAR{\gamma}$ 전사인자가 miR-17의 전사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먼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다음 $PPAR{\gamma}$와 miR-17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분화 이후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miR-17 프로모터 부위에는 $PPAR{\gamma}$ 반응하는 부위(PPRE)가 세 군데 발견되었다.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과 luciferase assay을 실시한 결과, miR-17 프로모터의 PPRE3 (-677/-655) 부위가 $PPAR{\gamma}$와 직접 결합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3T3-L1 세포주에서 $PPAR{\gamma}$가 miR-17의 전사를 활성화 시키고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PPAR{\gamma}$에 의한 표적 microRNA을 대량 발굴한다면 비만과 관련한 $PPAR{\gamma}$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roteomic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Bovine Stromal Vascular Cells from Omental,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Adipose Depots

  • Rajesh, Ramanna Valmiki;Kim, Seong-Kon;Park, Mi-Rim;Nam, Jin-Seon;Kim, Nam-Kuk;Kwon, Seulemina;Yoon, Du-Hak;Kim, Tae-Hun;Lee, Hyun-Je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110-124
    • /
    • 2011
  • Anatomically separate fat depots differ in size, function, and contribution to pathological states such as the metabolic syndrome. We isolated pre-adipocytes from different adipose depots, omental,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of beef cattle, and cultured in vitro to determine the basis for the variations and attribute these variations to the inherent properties of adipocyte progenitors. The proliferating cells from all depots before the confluence were harvested and the proteome was analyzed by a functional proteomic approach, involving 2-DE and MALDI-TOF/TOF. More than 252 protein spots were identified, selected and analyzed by Image Master (ver 7.0) and MALDI-TOF/TOF. Further, ou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pecific differences in proteome expression patterns among proliferating precursor cells from the three depots. Sixteen proteins were found to b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these were identified as proteins involved in cellular processes, heat shock/chaperones, redox proteins, cytoskeletal proteins and metabolic enzymes. The results also enabled us to understand the basic roles of these proteins in different inherent properties exhibited by adipose tissue depots.

Transdifferentiation of bovine epithelial cells towards adipocytes in the presence of myoepithelium

  • Sugathan, Subi;Lee, Sung-Jin;Shiwani, Supriya;Singh, Naresh Kuma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349-359
    • /
    • 2020
  • Objective: Orchastric changes in the mammary glands are vital, especially during lactation. The secretary epithelial cells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myoepithelial and stromal cells function cordially to secrete milk. Increase in the number of luminal epithelial cells and a decrease in adipocytes are visible during lactation, whereas the reverse happens in the involution. However, an early involution occurs if the epithelial cells transdifferentiate towards adipocytes during the lactation period. We aimed to inhibit the adipocyte transdifferentiation of luminal cells by restraining the peroxiso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pathway. Methods: Linolenic acid (LA) and thiazolidinediones (TZDs) induced adipogenesis in mammary epithelial cells were conducted in monolayer, mixed culture as well as in transwell plate co-culture with mammary myoepithelial cells. Results: Co-culture with myoepithelial cells showed higher adipogenic gene expression in epithelial cells under LA+TZDs treatment. Increase in the expressions of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nd vimentin in both mRNA as well as protein levels were observed. Whereas,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treatment blocked LA+TZDs induced adipogenesis, as it could not show a significant rise in adipose related markers. Although comparative results were found in both mixed culture and monolayer conditions, co-culture technic was found to work better than the others. Conclusion: Antagonizing PPARγ pathway in the presence of myoepithelial cell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dipogenisis in epithelial cells, suggesting therapeutic inhibition of PPARγ can be considered to counter early involution or excessive adipogenesis in mammary epithelium in animals.

Identification of a Novel SNP Associated with Meat Quality in C/EBP${\alpha}$ Gene of Korean Cattle

  • Shin, S.C.;Kang, M.J.;Chung, E.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466-470
    • /
    • 2007
  •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C/EBP{\alpha}$)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pid deposi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rder to find genetic markers to improve the meat quality of Korean cattle, the bovine $C/EBP{\alpha}$ gene was chosen as a candidate gene to investigate its association wi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cattle.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as identified at position 271 (A/C substitution) of coding region in the $C/EBP{\alpha}$ gene. A PCR-RFLP procedure with restriction enzyme SmaI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the marker genotypes. The frequencies of alleles C and A and were 0.374 and 0.626, respectively. The genotype frequencies for CC, AC and AA were 12.9, 49.0 and 38.1%, respectively, in Korean cattle population. The frequencies of genotype were in agreement with Hardy-Weinberg equilibrium. Assoc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ene-specific SNP marker of $C/EBP{\alpha}$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marbling score (p<0.05). The animals with AA genotype had higher marbling score than those with the AC or CC genotype.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our results, the $C/EBP{\alpha}$ gene could be useful as a genetic marker for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cattle.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서 멜라토닌의 영향 (Effect of Melatonin on Differentiating 3T3-L1 Preadipocytes)

  • 이정근;이영훈;김지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8-145
    • /
    • 2020
  • Adipocytes are the main constituent of adipose tissue.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adipogenesis is pivotal to finding the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ment of obesity. Melatonin i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its mechanism is currently under intensive investig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latonin on adipogenesis in differentiating preadipocytes. 3T3-L1 preadipocyte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containing 5% calf serum at 37℃ with 5% CO2 in a humidified incubator. Differentiation was induced using DMEM with 10% fetal bovine serum supplemented with MDI two days after cell confluence (day 0). Cells were treated with 0, 10 and 100 μM melatonin on either day 0 or day 5. 72 hours after each treatment, lipid accumulation was measured by oil red O staining. Proteins were resolved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transferred to membranes. As a result, lipid accumulation decreased with melatonin treatment. ERK pathway, activated when differentiation is induced, also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melatonin concentration.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key adipogenic factors, C/EBPα, C/EBPβ, and PPARγ, were reduced by melatonin treat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melatonin may inhibit the process of adipogenesis and may have a role as a new anti-obesity agent.

제주도 한우와 제주흑우실용화축군 집단에서 ADD1 유전자의 다형성이 경제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of ADD1 Gene on Economic Traits in Hanwoo and Jeju Black Cattle-derived Commercial Populations in Jeju-do)

  • 한상현;오홍식;이재봉;좌은숙;강용준;김상금;양성년;김유경;조인철;조원모;고문석;백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8
    • /
    • 2015
  • 한우와 제주흑우실용화축군(JBC-DC) 집단에서 ADD1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ADD1 유전자형은 intron 7 영역에서 84-bp 절편의 유무에 따라 결정하고, 두 집단에서 ADD1 유전자형과 경제형질의 상관관계를 시험하였다. 한우 거세우집단에서는 ADD1 D/- 도체들이 WW 개체들보다 유의적으로 더 두꺼운 등지방두께를 보여주었다(p<0.05). 하지만, JBC-DC 집단에서는 이형접합인 WD에서 가장 두꺼운 등지방두께를 나타냄을 볼 수 있었고(p<0.05), 이는 W와 D 대립인자의 상승효과에 의해 등지방 축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육질등급지수나 근내지방도으로 측정된 근육조직에서 근내지방의 축적과 ADD1 유전자형과은 상관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ADD1 유전자는 근육조직의 근내지방보다는 피하조직에서 등지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DD 유전자형에서 W/-인 동물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육색을 나타내었다(p<0.05). 흥미로운 것은 JBC-DC 집단에서만 도체중과 유전자형 사이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D/-인 동물들이 WW인 동물들에 비해 38 kg 이상 더 무거웠다(p<0.001). 연구결과는 ADD1 유전자형에 따라 빠른 성장률과 거세우의 생산성에 차이들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발견들은 ADD1 유전자형이 유전적 분자 마커로써 한우와 제주흑우-유래 축군의 개량을 위한 교배육종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Adiponectin을 암호화하는 돼지 APM1 유전자의 염색체상 위치파악과 돌연변이 탐색 (Chromosomal Localization and Mutation Detection of the Porcine APM1 Gene Encoding Adiponectin)

  • 박응우;김재환;서보영;정기철;유성란;조인철;이정규;오성종;전진태;이준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37-546
    • /
    • 2004
  • APM1(adipose most abundant gene transcript 1)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된는 단백질로서 Adiponectin을 암호화하며 GBP-28, AdipoQ, Acrp30으로 불리워졌다. 이 유전자는 쥐의 16번 염색체 및 인간의 3번 염색체 q27 부위에 존재하며 지방의 대사 및 호르몬의 여러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돼지에서 APM1과 양적형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omatic cell hybrid panel과 radiation hybrid panel을 이용하여 염색체상의 위치를 밝혀냈다. 분석결과 이 유전자는 돼지 13번 염색체의 q41이나 q46-49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H pnael의 분석 결과, 이 APM1과 가장 연관이 된 marker는 SIAT1(LOD score 20.29)로 밝혀졌으며 이미 보고된 지방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 좌위와 일치하였다. 8개의 다른 품종을 이용한 SSCP 분석으로, 한국재래돼지와 한국야생돼지에서 두 개의 특이한 SSCP 타입이 발견되었으며 sequence 분석결과 두 개의 염기가 치환(T672C and C705G)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유전자는 사람, 마우스, 소의 염기서열과 약 79-87%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포유동물에서 밝혀진 signal sequence, hypervariable region, collagenous region, globular domain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