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ax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붕사 및 유리분말을 첨가한 석탄회로부터 저밀도 세라믹 담체의 제조 (Preparation of Low Density Ceramic Supporter from Fly Ash with Borax and Glass Powder)

  • 황연;이효숙;이우철;배광현;정용대;이원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2호
    • /
    • pp.40-45
    • /
    • 2000
  • 석탄회를 출발물질로 사용하고 봉사 및 유리를 첨가하여 저밀도 세라믹 담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성형체의 초기 기공율을 높이기 위하여 밀가루를 30wt% 첨가하였다. 봉사를 첨가함에 따라 겉보기 밀도 및 벌크 밀도가 낮아졌고, 석탄회에 대하여 15wt%의 붕사를 첨가한 결과 $1160^{\circ}C$에서 15분 소결하여 벌크 밀도 $0.79g/\textrm{cm}^3$, 겉보기 밀도 $1.10g/\textrm{cm}^3$인 담체를 얻을 수 있었다. 판유리를 분쇄한 후 212 이하로 체가름한 유리 분말을 첨가하면 붕사와 마찬가지로 밀도가 낮아졌으며, 12wt% 첨가하여 $1280^{\circ}C$에서 10분간 소결한 결과 벌크 밀도 $0.90g/\textrm{cm}^3$, 겉보기 밀도 $1.00g/\textrm{cm}^3$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용융염 침적법에 의한 VC Coating 금형강의 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ughness of Die Steel Coated with VC (vanadium carbide) by Immersing in Molten Borax Bath)

  • 이병권;남태운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9-69
    • /
    • 1993
  • Bending fracture strength test and impact strength test were made for VC coated die steels treated by immersing in molten borax bath and for hardened steels which were quenched and tempered,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VC coating at $1000^{\circ}C$. The material used in this investigation was representative cold and hot work die steels STD11, STD61.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bending fracture strength of VC coated die steel (STD11, STD61) was lessened with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VC coated layer. 2) With increasing the immersing time (im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VC coated layer) the maximum hardness was obtained at 480 minutes holding, after that holding time hardness was decreased. 3) The impact strength of the VC coated die steel was not decreased. In the casse of STD11, i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quenched condition especially at low tempering temperature, and vice versa at high tempering temperature. However in the case of STD61 shows the result to the contrary.

  • PDF

흡착벗김 전압전류법적 지르코늄의 정량 (Adsorptive Stripping Voltammetrical Determination of Zirconium)

  • 최원형;이진식;김도훈;김종철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25-433
    • /
    • 1993
  • oxine을 리간드로 이용하여 흡착벗김 전압전류법으로 극미량의 지르코늄을 정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때 지지전해질은 $2.5{\times}10^{-3}M$ borax 완충용액을 사용하였고, oxine의 농도가 $4{\times}10^{-8}M$로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accumulation potential을 -0.2V, accumulation time을 400sec로 하고 scan rate를 4mV/sec로 하여 실험한 결과 지르코늄의 농도가 $1{\sim}100{\mu}g/L$ 범위에서 얻은 검정곡선은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고효율 축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hase Chang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 장진택;유영선;윤진하;김영중;장유섭;강금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77-82
    • /
    • 1998
  • 현재 온실 난방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난방기는 대부분이 화석에너지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비의 가중이 불가피하며, 또한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로 인하여 환경 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태양에너지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태양에너지를 시설 농업에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간에 밀도가 낮은 태양에너지를 고밀도로 축열하여 기온이 급강하하는 야간의 보온에 활용하여야 한다. 주간의 온실내 잉여 태양에너지를 축열할수 있는 상변화 온도 3$0^{\circ}C$ 수준의 잠열축열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CD에 Borax를 0.0~5.0wt% 첨가하여 과냉도를 25.$0^{\circ}C$에서 $1.5^{\circ}C$ 이하로 조절하였으며, Borax의 적정 함량은 3.0wt%였다. 2. SCD에 Carbopol을 0.0~3.0wt% 첨가하여 상분리량을 70.0%에서 0.0%로 조절하였으며, Carbopol의 적정 함량은 1.5wt%였다.3. 축열재 내구성 검증을 위하여 0~1,500회의 상변화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변화 온도의 변화량이 $\pm$1.$0^{\circ}C$ 이하, 잠열량 변화가 $\pm$2.0 kacl/kg 이하로서 안정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축열재의 수명을 10년까지는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용융 붕사욕 침지법에 의해 금형용 강에 형성된 VC coating층의 밀착성과 내마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hesion and Wear Resistance of Vanadium Carbide Coating on Die Steels by Immersing in Molten Borax Bath)

  • 이병권;남태운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1-84
    • /
    • 2000
  • A study on adhesion and wear resistance of VC(vanadium carbide) coating on die steels, STD11 and STD61, has been carried out. The VC coating on the die steels was made by immersing them in molten borax bath, a kind of TRD(thermo-reactive deposition and diffusion). Adhesion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using scratch test, indentation test and plate-disc test(Ogoshi type)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sliding distance on the amount of wear has been determined and dominant wear mechanisms has been characterized using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DS spectroscopy. The critical adhesion strength($L_c$) between VC coating layer and substrate(STD11) was increased to 60N($L_c$) in the scratch test. In the case of STD61, the strength increased to 24N. The wear resistance of VC coated die steels was excellent because the diffusion layer formed just below the coating layer. The dominant wear mechanism was identified as adhesive wear for VC coating die steels which were worn by combination of cracking and plucking of VC fragments and disc.

  • PDF

Nonlinear response of complex fluids under LAOS(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flow

  • Ahn, Kyung-Hyun;Kyu Hyun;Nam, Jung-Gun;Manfred Wilhelm;Lee, Seung-Jong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97-105
    • /
    • 2003
  • In the previous paper (Hyun et al.,2002), we have investigated the shape of storage modulus (G') and loss modulus (G") of complex fluids under 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LAOS) flow. As the strain amplitude increases, owever, the stress curve becomes distorted and some important information may be smothered during data processing. Thus we ne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ata more precisely and systematically. In this work, we have obtained the stress data using high performance ADC (analog digital converting) card, and investigated the nonlinear response of complex fluids, 4wt% xanthan gum (XG), 2 wt% PVA/ 1 wt% Borax, and 1 wt% hyaluronic acid (HA) solutions,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FT) rheology. Comparing the strain signals in time domain with FT parameters in frequency domain, we could illustrate the sensitivity and importance of FT rheology. Diverse and unique stress pattern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aterial system as well as flow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y are no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deficiency like wall slip but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ystem. When nonlinear response of complex fluids is analyzed, the intensity and phase angle of higher harmonic contribution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and the shape of the stress signal was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upon phase angle.ngle.

Reliability of the Impregnated Boron Compounds, Citric Acid- and Heat-Treated Samama (Anthocephalus macrophyllus) Wood against the Fungal and Termite Attacks

  • Trisna PRIADI;Guruh Sukarno PUTRA;Tekat Dwi CAHYON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49-57
    • /
    • 2023
  •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Samama (Anthocephalus macrophyllus) wood treated with boron preservatives, citric acid (CA), and heating against termites. Wood samples were impregnated firstly with 5% boron solutions, such as boric acid, borax and boric acid + borax combination at 1:1 (w/w). The second impregnation used 5% CA. The impregnations were conducted in a pressure tank at 7 kg/cm2 for 4 hours. After impregnation, the samples were heat treated at 80℃ or 160℃. All the treated and control samples were exposed to decay fungi, drywood termites and subterranean termites based on SNI 7207:2014 standard. The results showed that boron preservatives reduced fungal attacks on Samama wood.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boric acid, CA and heat treatment at 160℃ was also effective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Samama wood against white- and brown rot fungi, and drywood termites. Heat treatment consistently improved the resistance of Samama wood from decay fungi.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 방부제의 사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Wood Preservatives Formulated with Okara)

  • 김호용;최인규;안세희;오세창;홍창영;민병철;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10-123
    • /
    • 2008
  • 환경 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목재 방부제인 CCA를 대체하고 최근 CCA 대체방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구리 아졸화합물계(CUAZ)과 구리 알킬암모늄계(ACQ)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 폐기물인 두부비지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목재방부제를 제조하였다. 목재 내로 유효성분의 용이한 주입을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황산으로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하였으며, 가수분해된 비지를 $CuSO_4$, $CuCl_2$, Borax 등의 금속염과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목재 방부제를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방부액은 감가압방법을 통해 목재내로 주입하였고 주입된 시편에 대한 용탈 실험을 실시하여 각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비교하였다. 비지의 산가수분해물의 이용과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일시적인 해리를 통해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주입되었으나 비지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된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탈량이 증가되었다. Borax의 첨가는 주입능과 용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주입능과 용탈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지의 1% 산가수분해물에 금속염으로 $CuCl_2$를 사용하였을 경우 생산 비용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제조조건으로 생각되며 두부비지로 조제된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CuAz에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친화적인 목재 방부제로서 사용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붕사, 붕산 및 인산암모늄을 가압 함침한 편백 루버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inoki Cypress Louver after Pressure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Borax and Ammonium Phosphate)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5
    • /
    • 2015
  • 본 논문은 편백 루버에 붕산, 붕사 및 인산암모늄 수용액을 가압함침 후 외부 복사열원(25, 30 및 $50kW/m^2$)에 따른 점화시간, 임계 열유속 및 질량감소속도 등의 연소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의 크기는 $100{\times}100{\times}10mm$이며, 각 외부 복사열원에서 5분간 변화를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5kW/m^2$의 외부 복사열원에 있어서 착화시간은 Type C-H를 제외하고는 17.4~21.3%의 지연효과를 나타낸 반면 35 및 $50kW/m^2$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질량감소속도는 Type A-H와 Type D-H에서 Type N-H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외부 복사열원에 따른 착화시간으로부터 임계 열유속은 $14.79{\sim}17.17kW/m^2$$10.7kW/m^2$인 Type N-H보다 38.22~60.46% 높게 예측됨에 따라 초기 화재시 화재확대에 대한 지연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소성골재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y of the sintering aggregate using fly ash)

  • 박대영;김도수;박종현;임채영;노재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II)
    • /
    • pp.239-244
    • /
    • 1998
  • Fusion temperature of fly ash was determined with wasted glass wool and borax using ash fusion determinator, 0.5wt% of bentonite and water glass used as binder, 50wt% of wasted glass wool added to fly ash, fusion temperature of fly ash was 1, 156$^{\circ}C$. Pellet was prepared, and then sintered at 1, 00$0^{\circ}C$ and 1, 10$0^{\circ}C$. Water-absorption rate, specific gravity, porosity and pore structure of sintering aggregate was determ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