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Health

검색결과 1,381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여성의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 인자와 골밀도 관련성: 제4기(2008~2009)와 제5기(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the Fourth (2008~2009) and Fifth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 V))

  • 최순남;조광현;정남용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0권3호
    • /
    • pp.157-173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adult women ($20{\sim}80{\leq}yr$). Data on BMD, anthropometric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fat), and biochemical (total cholesterol, vitamin D, and alkaline phosphatase)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2008~2011). Overall, the BMD of subjects had decreased from year to year: the T-scores decreased from 0.657 (2008~2009) to 0.295 (2010~2011) in 40~49 yr group and from 0.076 to -0.081 in 50~59 yr group.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MD (T-scores of 0.388 in 20~29 yr group and -1.952 in ${\geq}80yr$ group for total femoral). BMD continuously increased with increased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High values of total cholesterol (T-scores of -0.005 in 201~229 mg/dL group and -0.094 in ${\geq}230mg/dL$ group for total femoral) and alkaline phosphatase (T-scores of 0.481 in ${\geq}102IU/L$ group and -0.674 in ${\geq}336IU/L$ group for total femoral) were associated with lower BMD. Overall height, weight, and BMI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D, whereas total cholesterol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MD.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bone loss may be associat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age, weight, BMI, total cholesterol, and ALP et al., and that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bone health of adult women. Therefore, practical and systematic program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BMD of adult women as well as to maintain healthy bone levels.

액상칼슘 섭취가 중년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efied Calcium Supplement on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 정용진;김주남;서지형;김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95-999
    • /
    • 2004
  • 액상칼슘을 첨가한 한방 칼슘제를 중년여성에게 칼슘제 섭취 수준에 따라 3개의 그룹(대조군, Ca500, Ca750)으로 구분하여 일정 기간 섭취시키고, 이들의 골밀도 및 골형성 지표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6개월 후 대조군의 골밀도가 감소한 반면, Ca750군의 요추 골밀도는 초기값 0.850에서 0.865로 증가하였다. 또한 혈청 칼슘과 혈청 osteocalcin의 증가 및 요중 deoxypyridinoline의 감소는 액상칼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섭취 전후 차이가 뚜렷하였다. 특히 Ca750군에서는 혈청 osteocalcin함량이 초기 5.50 ng/mL에서 칼슘제 섭취 후 7.93 ng/mL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연구 결과에서 액상칼슘 섭취에 의한 유의적인 골밀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칼슘제 섭취에 따른 위장장애나 변비등의 부작용이 없고 골형성 표지성분의 증가 및 골흡수 표지성분의 감소를 나타내어, 장기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스타틴계 고지혈증치료제의 골절치료효과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Statins for The Treatment of Bone Fracture)

  • 최병철
    • 약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06-216
    • /
    • 2009
  •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s (Statins) are potent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Cholesterol-lowering therapy using statins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Various discovery of statins as bone anabolic agents has spurred a great deal of interest among both basic and clinical bone researchers. In-vitro and some animal studies suggest that statins increase the bone mass by enhanc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2)-mediated osteoblast expression. Clinical and animal test results of statins focusing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fractures was collected. Three independent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by using from January 1, 2002 to September 2008 for clinical and animal test results. Search term included statin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pleiotropic effects, fracture, osteoporosis and clinical and animal test. No consensus has been reached whether clinical use of statins has beneficial effects on bone health, partly due to lower statin concentrations because of first-pass metabolism by the liver. Experimental use of statins as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suggests that they may have widespread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orthopaedics. With their combined effects on osteoblasts and osteoclasts, statins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resorption of synthetic materials and improve bone ingrowth. In conclusion, The use of stati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fractures requires further study. But observational studies suggest that statins for decreasing bone fractures including osteoporosis have to be considered local direct administration like transdermal or subcutaneous type over oral adminstration.

유방암 환자에서 전신 뼈 검사 후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Breast Lymphoscintigraphy after Whole Body Bone Scan)

  • 장동근;반영각;정석;박훈희;강천구;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33-137
    • /
    • 2010
  • 유방암은 다른 장기에 비하여 뼈 전이와 임파절 전이가 잘 일어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방암 수술 전, 후로 핵의학 검사인 전신 뼈 검사와 감시림프절 검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는 감시림프절에 정확 위치를 파악을 위해 시행되며, 유방암 수술 시 감시림프절을 파악 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 시 해부학적인 위치정보를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 전날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하여 기존에 Flood 선원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평가하여 영상의 유용성에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 뼈 검사와 감시 림프절 검사를 2일에 걸쳐 시행한 환자 22명(평균나이 $52{\pm}7.2$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57}Co$ flood phantom을 이용하여 감시림프절에 위치를 파악한 환자 22명(평균나이 $57{\pm}6.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량적인 분석 방법으로 전신 뼈 검사 후에 감시림프절 검사를 시행한 영상에 감시림프절과 배후방사능에 관심영역을 그려 상대적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육안적인 분석 방법으로 전신 뼈 검사 후 감시림프절 검사를 진행한 영상과 $^{57}Co$ flood phantom을 이용한 영상을 핵의학과 전문의와 5년 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방사선사가 각각 5점 척도로 하여, Blind test하였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 감시림프절에 대해 배후방사능이 미치는 영향은 전면상에서 최대 14.2:1, 평균 8:1(SD${\pm}$3.48), 측면상에서 최대 14.7:1, 평균 8.5:1(SD${\pm}$3.42)값으로 감시림프절에 대해 배후방사능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전면상과 측면상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육안적인 분석 결과 $^{57}Co$ flood phantom 영상과 뼈가 포함된 영상을 비교한 결과 $^{57}Co$ flood phantom 영상 $3.86{\pm}0.35$점, 뼈 영상이 $4.09{\pm}0.42$점으로 $^{57}Co$ flood phantom 영상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에 경우 검사 전날 전신 뼈 검사를 진행하였을 때에 뼈의 배후방사능과 감시 림프절에 비율차이가 평균 8:1 이상으로 림프절에 위치를 파악 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전신 뼈 영상을 체표윤곽도로 이용하게 되면, 다른 선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림프절에 위치정보를 나타낼 수 있어서 술자와 환자의 불필요한 피폭을 방지하며, 영상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대학생의 골밀도와 사회분위기 및 생활습관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Changing Social Atmosphere, Lifestyl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Students)

  • 이인자;고요한;김청경;김희솔;박다정;윤현민;정유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4호
    • /
    • pp.263-271
    • /
    • 2013
  • 골밀도 감소는 골다공증의 발생과 골절 위험성 증가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건강문제로 대두된다. 골다공증은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며, 골밀도가 감소되는 중년기 이후보다 골밀도가 형성되고 최고로 발달되는 시기인 청년기에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요인, 신체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최근, 사회분위기가 많이 바뀌면서 생활습관, 식습관 등이 이전과는 달라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사회 분위기 변화에 따른 젊은 층의 생활습관 변화가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 재학생 중 여자 134명, 남자 75명(총 209명)을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 측정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골밀도 측정은 이중에너지 X-ray 흡수장치(DEXA)를 사용하여 넙다리뼈 목(femoral neck)과 허리뼈(Lumbar spine, L1 ~ L4)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활습관에 대해서는 미리 작성한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골밀도와 신장, 체질량지수의 관계는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음주, 흡연, 운동 유무 집단에서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골밀도(BMD)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음주, 흡연과 골밀도(BMD)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카페인 섭취량에 따라 골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여성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여성과 남성 모두 넙다리뼈 목에서 운동량과 통게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식사습관에 따른 골밀도의 관계에서는 여성의 허리뼈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남성의 허리뼈와 여성의 넙다리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다이어트와 골밀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후 1시간 이내에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을 삼가는 게 좋다. 또한 걷거나 뛰기 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영양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dentification of a Copy Number Variation on Chromosome 20q13.12 Associated with Osteoporotic Fractures in the Korean Population

  • Park, Tae-Joon;Hwang, Mi Yeong;Moon, Sanghoon;Hwang, Joo-Yeon;Go, Min Jin;Kim, Bong-J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4호
    • /
    • pp.216-221
    • /
    • 2016
  • Osteoporotic fractures (OFs) are critical hard outcomes of osteoporosis and are characterized by decreased bone strength induced by low bone density and microarchitectural deterioration in bone tissue. Most OFs cause acute pain, hospitalization, immobilization, and slow recovery in patients and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A variety of genetic studies have suggested associations of genetic variants with the risk of OF.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ave reported various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and copy number variations (CNVs) in European and Asian populations. To identify CNV regions associated with OF risk, we conducted a genome-wide CNV study in a Korean population. W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in 1,537 Korean subjects (299 OF cases and 1,238 healthy controls) and identified a total of 8 CNV region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F (p < 0.05). Then, one CNV region located on chromosome 20q13.12 was selected for experimental validation. The selected CNV region was experimentally validat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NV region of chromosome 20q13.12 is positioned upstream of a family of long non-coding RNAs, LINC01260. Our findings could provide new information on the genet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F.

보건소 방문 간호 사업의 질보장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quality assurance of visiting nurses service of a public health center)

  • 윤순녕;이인숙;현혜진;유인자;김재남;배정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75-285
    • /
    • 199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visiting nurses service of a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d from the 36 clients who received services from a public health center. In terms of the process evaluation, the tool is composed 4 parts, 27 items such as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t was measured through the health records by 2 peer review. In terms of the outcome evaluation, the level of client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self report or interview by 2 supervisor.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30% of 36 health records showed narsing process was not and out of them, nursing care plann including spectific activities were rarely established or unclear. 2. The lack of systematic data collection' showed and nursing diagnosis was not adressed in health records review. 3. Client satisfaction score was 32, 97, out of maximum score 36. 4. The lack of sufficent objective data, care plan, record of client's health status change, and evaluation was founded therefore quality assurance for visiting nurses 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are required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record system need.

  • PDF

미니돼지에서 자가 피부유래 전구세포와 탈회골 및 피브린 스케폴드를 이용한 하악골 골결손부의 골재생에 대한 연구 (MANDIBULAR BONE REGENERATION USING AUTOGENOUS SKIN-DERIVED PRECURSOR CELLS WITH A MIXED DEMINERALIZED BONE AND FIBRIN GLUE SCAFFOLD IN MINIATURE PIGS)

  • 변준호;최문정;최영진;심경목;김욱규;김종렬;박봉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198-206
    • /
    • 2009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n vitro co-culturing pattern of isolated skin-derived precursor cells (SKPs) with a mixed demineralized bone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and to evaluate in vivo osteogenesis after transplantation of autogenous SKPs with a these mixed scaffold in the animal's mandibular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We isolated SKPs from the ears of adult 4 miniature pigs. The isolated SKPs were co-cultured with a mixed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a non-osteogenic medium for 1, 2, and 4 weeks.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 vitro co-cultured cells and scaffold were evaluated. $1{\times}10^7\;cells/100\;{\mu}l$ of autogenous porcine SKPs were grafted into the mandibular defects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the control sites, only a scaffold was grafted, without SKPs. After two animals each were euthanized at 2 and 4 weeks after grafting, the in vivo osteogenesis was evaluated with histolomorphometric and osteocalcin immunohistochemical studies. Results: Homogeneously shaped skin-derived cells were isolated from porcine ear skin after 3 or 4 weeks of primary culture. In vitro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SKPs was observed after co-culturing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in a non-osteogenic medium. Von Kossa-positive bone minerals were also noted in the co-cultured medium at 4 weeks. As the culture time progressed, the number of observable cells increased. Trabecular new bone formation and osteocalcin expression were more pronounced in the SKP-graf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utogenous SKP grafting with a DMB and fibrin glue scaffold can serve as a useful alternative to bone grafting technique.

폐경 여성의 골 건강과 L-ascorbic acid (Bone Health and L-ascorbic acid in Postmenopausal Women)

  • 김보경;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42-1148
    • /
    • 2021
  •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폐경 이후 여성의 삶의 질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인 여성에서 폐경이 나타나는 시기는 평균적으로 49.7세로 알려져 있으며, 폐경 이후의 삶이 일생의 1/3 이상을 차지하게 되어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L-ascorbic acid (AsA)는 생물의 에너지 대사과정에서 필수적인 조효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골 구성 단백질인 collagen의 합성 및 성숙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 여성에서의 AsA와 골 건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였다. AsA는 collagen 생합성에 중요한 인자이며, collagen은 골을 구성하는 단백질로써 골 기질의 석회화를 위해 필요한 물질이므로 골 건강에 대한 AsA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llagen 가교는 동물의 성장 과정에서 collagen 섬유의 안정화 및 탄력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나, 과잉의 증가는 세포 간 영양소 또는 노폐물의 이동이 억제되어 더욱 노화로 연결되기 쉽다. AsA는 collagen 미숙가교 형성에 환원제로 작용하여 미숙가교를 안정화하여, 미숙가교에서 성숙가교인 pyridinoline이 생성되는 반응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AsA는 collagen 생합성에 관여하여 골 조직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한편, collagen 가교의 지나친 성숙을 조절하여 폐경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골 관련 문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정보는 폐경 여성의 골 건강에 대한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rrelation between gray values i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 Najmeh, Anbiaee;Reihaneh, Shafieian;Farid, Shiezadeh ;Mohammadtaghi, Shakeri;Fatemeh, Naqipou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4호
    • /
    • pp.375-382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ne density measurements obtain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morphometric parameters of bone determined by histomorphometric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in vivo study, 30 samples from the maxillary bones of 7 sheep were acquired using a trephine. The bone samples we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ites, and the sheep heads were imaged using CBCT. On the CBCT images, gray values were calculated. In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total bone volume, the trabecular bone volume (referred to simply as bone volume), and the trabecular thickness were assessed. Results: Statistical test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BCT gray values and total bone volume (r =0.537, P =0.002), bone volume (r =0.672, P<0.001), and trabecular thickness (r =0.692, P<0.001), as determined via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and acceptable association between CBCT gray values and bone volume, suggesting that CBCT may be used in bone densito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