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Ca Metabolis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폴리칸이 중년 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연구 (Effects of Polycan on bone Metabolism in healthy Perimenopausal Women: a 12-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김민걸;하기찬;백향임;김선영;김주완;김기영;조형래;채한정;채수완;김달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7-304
    • /
    • 2011
  • 배경: 골다공증은 골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많아져 골밀도가 감소함으로서 발생한다. 골다공증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골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소실을 방지하여 골량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발생되는 골소실을 에방하는 것이 골다공증의 원칙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흑효모 중 $Aureobasidium$ $pullulans$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칸(베타-글루칸)이 중년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골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60명(폴리칸 투여군30명, 플라세보 투여군 30명)의 중년 여성 피험자가 등록되어 이 중 총 58명의 피험자가 최종적으로 12주간의 임상연구를 종료하였다. 결 과: 폴리칸(150 mg/d) 투여 12주 후, 폴리칸 투여군은 요 중 Deoxypyridinoline (DPD)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14). 혈청 중 Osteocalcin(OSC) 농도는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one-specific alkaline posphatase (bALP) 와 collagen type 1 cross-linked C-telopeptide (CTx)는 유의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폴리칸은 골밀도(BMD)와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iPTH)에 대해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 요 중 Ca 배설량은 폴리칸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28). 또한 폴리칸 투여군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 경향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유의적인 감소가 보였다. 임상연구 기간 중에 발생한 이상반응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폴리칸이 골대사 및 지질에 대해 일부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골다공증 예방 측면에서 보다 장기적인 임상연구와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골대사 및 지질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예방적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난소 적출 마우스 모델에서 Oryza sativa L.의 뿌리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Osteoporosis Improvement Effect of Compounds Isolated from Oryza sativa L. root Extract in the Ovariectomized Mouse Model)

  • 김선희;최은용;양희진;배준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5
    • /
    • 2023
  • Bisphosphonates, estrogen, and calcium supplements are commonly used medications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ut they are associated with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vaginal bleeding, deep vein thromembolism, and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s of Oryza sativa L. to improve osteoporosis using an ovariectomized mouse model. We isolated and identified oryzativol A, a lignan compound, through chemical analysis of an ethanol extract using 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protocol. We also examined the metabolism, clearance, and CYP enzyme activity of oryzativol A, and found that it showed plasma stability of over 80% at all analysis times, and indicating a low likelihood of inactivation or excretion by the CYP3A4 enzyme. Our results showed that the high-dose group of oryzativol A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ALP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high-dose group of oryzativol A. Furthermore, the abnormal ratio of serum Ca/P, caused by osteoporosis, was improved to a level close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as the dosage of oryzativol A increas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ryzativol A is stable in vivo and ha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osteoporosis, particularly when administered in high doses.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이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Extracted from Salt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 김향숙;최은옥;김만도;최영현;김병우;김수연;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2-187
    • /
    • 2013
  • 멸치젓으로부터 추출한 칼슘이 체내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칼슘급원을 달리하여 섭취시킨 후 체내의 골격대사에 관련된 지표를 비교 평가하였다. 식이구성은 탄산칼슘군(calcium carbonate, CC), 젖산칼슘군(calcium lactate, CL), 해조칼슘군(seaweed calcium, SC), 멸치칼슘(anchovy calcium, AC), 저칼슘(low calcium, LC)군으로 총 5군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종료까지의 체중은 탄산칼슘을 섭취한 CC군과 AC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LC군에서 체중 증가가 낮았고 식이섭취량도 LC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정상칼슘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칼슘 섭취량은 LC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정상칼슘군들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칼슘 흡수율은 L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식이 칼슘수준이 적을수록 흡수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칼슘 보유량은 저칼슘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CC군, CL군, AC군은 S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ALP 수준은 LC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정상칼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CC군과 AC군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칼시토닌 농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p<0.05) 요중 DPD수치는 LC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CC군과 A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대퇴골의 체중 100 g당 습윤무게는 실험군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건조무게는 정상칼슘군보다 L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대퇴골의 골밀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동일한 정상수준의 칼슘이 공급된 실험군 사이에서는 CL군에서 AC, CC, SC보다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감소경향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칼슘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나 대퇴골의 골밀도 결과로 보아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은 기존에 사용해오던 탄산칼슘 수준으로 칼슘대사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멸치 부산물을 활용한 칼슘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자혈양근탕 및 양혈장근건보환이 인체 소장 상피세포주 (Caco-2) 모델에서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riental Medicinal Prescriptions, Jahyulyangeuntang and Yanghyuljangeunkeonbohwan, on Calcium Absorption in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Caco-2 Cells))

  • 박태선;임현정;황귀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46-45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혈양근탕 (滋血養筋湯, JH) 및 양혈장 근건보환 (養血壯筋健步丸, YH) 처방제가 장내 칼슘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인체 소장상피세포주 모델인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칼슘 uptake와 net transport를 각기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aco-2 세포를 분주 후 4, 8, 16. 그리고 24일간 배양하면서 칼슘 uptake 활성을 측정 한 결과 분화가 진행될수록 uptake 활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Caco-2 세포에 한약처방제를 50 $\mu\textrm{g}$/ml 농도로 일정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칼슘 uptake 활성을 측정한 결과, YH 처방제는 24시간 전처리 시 (29.9% 증가), 그리고 JH처방제는 6시간 전처리 시 (23.9%증가) 한약처방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대조세포에 비해 칼슘 uptake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한약처방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6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칼슘 Uptake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세포에 비해 YH 또는 JH 처방제는 100 $\mu\textrm{g}$/ml (23% 증가) 및 50 $\mu\textrm{g}$/ml 농도 (28.3% 증가)에서 칼슘 uptake 활성을 각기 최대로 증가시켰다. 넷째, YH 또는 JH 처방제가 Caco-2 세포에 의한 칼슘 net transpor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5, 50, 100 $\mu\textrm{g}$/ml농도의 한약처방제로 6시간동안 Caco-2세포에 전처리한 결과, 두가지 한약처방제 모두 칼슘 net transport에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이상의 in vitro연구결과는 양혈 및 양근작용에 관여하는 자혈양근탕 및 양혈장근건보환 처방제가 소장상피세포를 통한 칼슘 uptake 활성은 증가시킨 한편 칼슘 net transport 활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장내 칼슘 흡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제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