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복분자를 첨가한 데미글라스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Add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이정애;안상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1-543
    • /
    • 2011
  • In this study,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as used with a Demi-glace sauce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Bokbunja (0, 10, 20, 30, and 40%)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the Demi-glace sauce. The moisture content of Demi-glace sauce increased but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43.33%, whereas Bokbunja Demi-glace sauces ranged from 83.13~86.40%.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 pH decreased, and acidity of the Demi-glace sauces increased. Sauce sweet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ample (p<0.01). Salinity decreased, but viscos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d.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sensory property results showed that the 20% and 30% Bokbunja sauc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20% Bokbunja sauce was the most preferred with regards to the balance of a steak containing this sauce with a score 5.34 points.

복분자 안토시아닌 분획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증진 효과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 정명근;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9-269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ticancer and immuno-activities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Anthocyanin fraction extracted from Bokbunja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anthocyanin components, which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cyanidin 3-O-sambubioside, cyanidin 3-O-xylosylrutinoside and cyanidin 3-O-rutinoside using RP-HPLC/DAD/MS. The anthocyanin fraction from Bokbunja always showed reducing power and high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hydroxy radical (O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O_2{^-}$) similar to general synthetic antioxidant and polyphenol compounds from plant origin. Anthocyanin fraction from Bokbunja showed high inhibition on proliferation of LNCaP and A549 cells and did not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other cancer cells. Immuno-activities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Bokbunja were investigated, it showed high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s growth about 50% and secretion of IL-6 and TNF-${\alpha}$ by treatment after 6 days. Over all,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anthocyanin fraction from Bokbunja displays antioxidant activity comparable to that general synthetic antioxidant, also, anthocyanin fraction from Bokbunja are expected to be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into source of anticaner and immuno-activator agent in food industry.

Freeze-Dried Powder of Rubus coreanus Miquel Ameliorates Isoproteren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issue Damage in Rats

  • Kim, Jin Tae;Qiu, Shuai;Zhou, Yimeng;Moon, Ji Hyun;Lee, Seung Beom;Park, Ho Jin;Lee, Hong 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9호
    • /
    • pp.1256-1261
    • /
    • 2021
  •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Korean black raspberry, is known to possess various phytochemicals that exer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However, most studies on Rubus coreanus Miquel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solvent extracts and/or a single component to demonstrate the efficacy, while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whole fructus of Rubus coreanus Miquel are limited. In this study, therefore, we employed the isoproterenol (IPN)-induced myocardial infarction model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freeze-dried powder of Rubus coreanus Miquel (RCP) on oxidative stress and prevention of organ damage. Oral administration of RCP reduced the level of toxicity markers,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without affecting body weight and diet intake. The oxidative stress marker glutathione (GSH) increased about 45% and malonaldehyde (MDA) decreased about 27% compared to the IPN group with RCP-H (3%) administration. By histological analysis, IPN induced significant myocardial damage in the heart and vascular injury in the liver, and RCP administration ameliorated the dam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RCP activated the antioxidant system leading to prevention of damage to organs by IPN in rats, making it possible to expect beneficial efficacies by consuming the whole fructus of Rubus coreanus Miquel.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Optimization Recipes of Chocolate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민아;노정옥;손희숙;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93-1197
    • /
    • 2007
  • 복분자 진액, 분말, 향(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복분자초콜릿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초콜릿의 당도는 복분자 진액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복분자 진액 30 g, 분말 10 g,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C가 가장 높았고 복분자 진액 60 g, 향 0.3 g 첨가한 시료 A가 가장 낮은 경도를 보여 복분자 진액 첨가함량이 낮을수록, 복분자 분말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는 복분자 진액 첨가량이 증가하고 복분자 분말 양이 감소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는 반면, 복분자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진한 보랏빛으로 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 D가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3.87{\pm}0.99)$, 향 관능평가에서는 복분자 농축액(향) 함유비율이 높은 시료 D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색도의 경우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색이 잘 나타나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적색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연보라색의 시료 A(복분자 진액 60 g, 분말 무첨가)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도에서는 수분함량이 높고, 낮은 경도를 보이는 시료 A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크초콜릿 530 g, 화이트초콜릿 300 g, 휘핑크림 130 g, 카카오버터 40 g,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향미와 색,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어 복분자초콜릿의 최적 레시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지은;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92-797
    • /
    • 2008
  • 복분자 젤리의 최적 레시피를 개발하고자 복분자 추출액, 복분자 향, 설탕, 물엿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texture, 색도, 관능평가 등과 같은 품질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19.0%, 조단백질이 0.8% 이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복분자 젤리의 texture는 복분자 추출액 양이 적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 양이 많은 제품보다 경도, 검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값은 복분자 추출액의 양이 적은 제품과 설탕 함량이 많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과 설탕 첨가량이 적은 제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복분자 추출액 또는 설탕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이 적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항목 중 향미, 색도, 당도, 경도(씹는 느낌), 끈적임, 전체적인 기호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최적의 레시피는 물 240 g, 설탕 120g, 물엿 110 g, 한천 4 g, 복분자 추출액 20 g, 복분자 향 0.3 g으로 제조하는 B 제품으로 사료된다.

Fermentation properties of beer produced from Korean two-row barley or malt (Gwangmaek) supplemented with Korean red ginseng extracts an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uice

  • Park, Ji-Won;Kim, Ji Hyeon;Kwon, Young-An;Kim, Wang June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96-603
    • /
    • 2019
  • This study involved the production of specialty lager beers supplemented with Korean red ginseng extracts or Bokbunja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juice. The effects of the Korean red ginseng extracts or Bokbunja juice on the specific gravity, pH, yeast viability, free amino nitrogen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color, alcohol content, turbid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The alcohol content of the beers containing the extracts or juice were within the standard alcohol amounts (3.63-4.0%, v/v). The pH values of the three samples containing Bokbunja juic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value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ddition of Bokbunja juice was superior to the ginseng extracts, and the optimal addition time was before or after the secondary fermentation.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flavor and odor of the Bokbunja juice are more persistent than that of the ginseng extracts.

일반 복분자주와 버섯 추줄물을 함유한 복분자주의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nes With and Without Mushroom Extracts)

  • 신현재;남형근;임익재;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0-413
    • /
    • 2006
  • 복분자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에서 생산되는 복분자주 (시료 A)와 버섯 추출물 첨가 복분자주 (시료 B)의 일반성분 분석과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 성분분석의 결과, 복분자주 시료 A와 복분자주 시료 B 중의 용해성 고형분은 10.5%, 7.4%로 분석되었고, 산도는 1.36%, 0.54%로 측정되었다. 수분은 83.27%, 87.62% 조회분은 0.45%, 0.31% 조 단백질은 0.05%, 0.22%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확인을 위하여 두 시료의 향기 성분을 ethylether로 추출하고 methanol에 녹여 GC/FID와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두 시료에서 모두 1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alcohol류가 6종, ketone류가 3종, ester/acid/anhydride류가 각각 1종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는 2,3-butanediol, 2,5-furanedione, phenylethyl alcohol, butanedioic acid 등이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복분자주의 전체적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약탕제찌꺼기 발효퇴비 처리에 따른 복분자과실의 생리활성 (Effect of Composts Fermented with Korean Medicinal Herb Wast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 김성조;김재영;백승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3-252
    • /
    • 2011
  • 본 연구는 한약탕제 찌꺼기를 친환경 퇴비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퇴비(MHWC: medicinal herb waste compost)와 계분퇴비(PMC: poultry manure compost) 및 이를 혼합한 퇴비(MHWC+PMC, 1:1)를 식재 2년생 복분자 포장에 무처리(0), 20, 40 Mg/ha로 처리하여 꽃이 첫 개화한 시기를 기점으로 15, 20, 25 DAF(day after flowering)를 수확시기로 하여 수확한 복분자 과실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분자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5 DAF 과실에서와는 달리 20, 25 DAF 과실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수확시기별로는 25>20>15 DAF 순이었고, 그 함량은 40 MHWC Mg/ha가 가장 높았다. Flavonoid 함량변화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변화와 유사하였다. 전자공여효과는 15, 20 DAF 과실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25 DAF 과실에서는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pH 1.2>4.2>6.0 순으로 pH 의존적인 경향이었으며 15, 20 DAF 과실보다 25 DAF 과실이 저하되었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MHWC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고 처리량에 따라 저해효과가 증가되었으며 15, 20 DAF 과실은 25 DAF 과실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25 DAF 과실의 MHW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PMC 및 MHWC+PMC처리구와 UC와의 차이는 인정하기 어려웠다. 이상의 결과에서 MHWC 처리에 따른 복분자 과실의 생리활성이 증가경향을 보여 친환경퇴비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복분자 과즙과 복분자 주를 첨가한 푸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dd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Fruit Juice and Bokbunja Wine)

  • 유옥경;백향임;차연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0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kbunja pudding, using various levels of Bokbunja fruit juice (140, 150, and 130 g), Bokbunja Wine (10, 20, and 20 g), gelatin (18, 17, and 16 g) and sugar (250, 200, and 150 g).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al added amounts, chemical composition, saccharinity,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various cases were analyzed and assessed. The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saccharinity of the Bokbunja pudd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of added sugar. Additionally, as the amount of added Gelatin was increased, the L values (lightness) of the Bokbunja pudding decreased. Converse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all decreased with decreasing levels of added gelatin and sugar. The optimal mixing condition for the Bokbunja pudding was determined via sensory evaluation.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flavor, sweetness,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the type C produ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ype C product was as follows: moisture 71.47%, carbohydrate 24.70%, crude protein 3.83%, crude fat 0.001%, and crude ash 0.001%.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optimum mixing ratio for the most satisfactory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kbunja was as follows: Bokbunja fruit juice 130 g, Bokbunja Wine 20 g, Gelatin 16 g, Sugar 150 g, Bokbunja Flavor 0.3 g, and Water 400 g.

복분자 유용 성분의 연구과 그 응용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snus Miuuel))

  • 권규혁;차월석;김동찬;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05-409
    • /
    • 2006
  •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야생 딸기로서 피로회복 및 영양보충 효과로 최근 그 응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복분자 열매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고, 활성 성분으로는 tannin을 포함한 여러 플라보노이드류, 그 외에 여러 유기산 및 알콜 및 하이드로카 본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활성 성분에 기인한 효능으로는 면역활성 증가, 황산화활성 증대, 호르몬분비 촉진, B형 간염바이러스 억제, 체중조절 효과 등이 있다. 상기한 다양한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여러 형태의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단순한 추출물에서 단일 유용성분의 분리를 통한 제품 개발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복분자 연구 분야 가운데서 그 유용 성분의 연구와 응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논문과 특허를 정리하여 최근 동향을 가늠할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