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iled juic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8초

고등학생(高等學生)의 영양섭취실태(營養攝取實態)와 성장발육(成長發育)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 and Growth Rate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이현옥;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27-36
    • /
    • 1973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nutrition intake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Further, it made an attempt to find and define nutritional problems and assist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proper nutritional management. One hundred students in both sexes, first year grade in senior high school were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For six days the respon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They were asked to keep record of what they ate each meal. Their nutritional intake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what they ate. Findings, conducted on percentage, CR test, t test, and F test, were as follows: 1. For the living circumstance a) Average numbers of brother and sister in sampled family were four. b) Seventy to eighty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brought up by mother's milk at their infants and approximately 40% of students were weaned at the age of 7 to 18 months. c) Fif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vealed irregulity in their meal time. d) Monthly average expenditure for daily food reached $20{\sim}40%$ out of total income. e) The most favorite foods reflect as follows: The most favorite main dish is boiled rice and side dish beaf. Fruits. juice, milk, ice cream are more popular snack among whole students. 2. Nutrition survey a) Calory sad nutrients were found to b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especially in calcium, vitamins A, $B_2$ and C. b) The total calory intake were composed of 73% from carbohydrate, 14% from protein and 13% from fat in the case of boys. The girls were 65%, 14%, 21% respectively. c) Both boys and girls in their animal protein intake averaged about 33% out of total protein intake. d) Meat consumption of the majority respondents were proportionate in $10{\sim}20%$ in their total food consumption. 3.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ory intak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p<0.05. b)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in intak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p<0.05. c)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tim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0.02<0.05. 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calory, protein intake and school records as well as intelligence were found.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and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whereas There seems to be an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and intelligence.

  • PDF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찬물류(饌物類)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정낙원;조신호;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1-748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 kinds and names of side dishes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side dishes were classified 79 kinds of Guk, 23 kinds of Jjim and Seon, 15 kinds of Gui, 3 kinds of Jeon, 7 kinds of Nureumi, 3 kinds of Bokkeum, 30 kinds of Chae, 11 kinds of Hoe, 7 kinds of Jwaban, 6 kinds of Mareunchan, 12 kinds of Pyeonyuk and 5 kinds of Jeonyak, Jokpyeon and Sundae. The earliest records were found on Guk, Jjim, Jwaban, Po and Pyeonyuk Gui, Namul and Hoe were recorded after the 1500's and Nureumi, Jeon, Jeonyak, Jokpyeon and Sundae were developed relatively late in the late 17th century. As to the kinds of side dishes, Guk was the most common. Guks cooked before the 17th century used different recipes and more types of ingredients than today, including some that are not used today. For Jjim, various seasonings were added to main ingredients such as poultry, meat, seafood and vegetable. Most of the records found for Jjim used chicken as the main ingredient. Gui was recorded as Jeok or Gui and there weren't many ingredients for Gui before the 17th century. Gui was usually seasoned with salt or soy bean sauce and broiled after applying oil. Vegetables were broiled after a applying flour-based sauce. The Jeon cooked at that time wa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is cooked today in that cow organs or sparrows were soaked in oily soy bean sauce before being stewed. Nureumi, which was popular in the 17th century, but rarely made today, was a recipe consisting of adding a flour or starch-based sauce to stewed or broiled main ingredients. Chae was a side dish prepared with edible plants, tree sprouts or leaves. Chaes like Donga and Doraji were colored with Mandrami or Muroo. Hoe was a boiled Hoe and served after boiling seafood. Jwaban was cooked by applying oil to and then broiling sparrows, dudeok, and mushrooms that had been seasoned and dried. For dried Chans, beef or fish was thin-sliced, seasoned and dried or sea tangle was broiled with pine nuts juice. There are some recipes from the 17th century whose names are gone or the recipes or ingredients have changed. Thus we must to try to rebuild three recipes and develop recipes using our own foods of today.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inseng Tea using Spor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 김영만;한영희;백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61-665
    • /
    • 2002
  • 유포자성 유산균인 Lactobacillus sporogenes를 함유한 인삼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jar fermentor 에서의 최적배양결과 spore는 $20{\times}10^8\;CFU/mL$ 이였고, 포자형성율은 97%이였다. 이 배양액을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포집된 균체는 증류수로 1회 세척한 후 다시 acetone 소량으로 재차 세척하고, $55^{\circ}C$에서 2시간 건조하여 생균수 $5200{\times}10^8\;CFU/g$의 균체원말 10g 정도를 얻었다. 다음에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과립시제품을 만들었다.(생균수 $2.3{\times}10^8\;CFU/g$. 이같이 조제한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과립제품을 뜨거운 물에 타서 음용시 끓인물에 대한 내열성을 시험한 결과 식힌후에 생존율이 77.6%였다. 다음에 음용후, 인공 위액에 대한 내산성과 소화 담즙액에 대한 내담즙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pH 3의 인공위액에서 4시간 처리한 경우 생존율이 55.4%이고 인공 소화담즙액(oxgal 0.1%)에서 8시간 처리 후에도 생존율이 90%이상으로 위액과 소화담즙액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보존성 시험에서는 인삼차 과립제품을 병에 보관하여 실온에서 1년간 보존 후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생존율이 75% 정도로 경시변화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포자성 유산균 원료를 인삼차는 물론 다양한 차류에 이용하여 기능성 차류로 개발, 제품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철결핍빈혈 영유아의 식이력 조사 및 이유지식의 평가 (Weaning food practice in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 장주희;정우식;전용훈;김순기;김흥식;박상규;유경하;유은선;유철주;이건수;이광철;임재영;최두영;최병규;최은진;최봉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59-166
    • /
    • 2009
  • 목 적 : IDA는 이유기 영유아에게서 흔한 영양장애이다. 본 연구는 이유기 영유아의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 등에 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6년 3월부터 2007년 7월까지 10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6-36개월의 영유아 가운데, IDA로 진단된 129명 및 IDA가 없는 166명을 비교군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아의 부모에게서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을 묻는 문제가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 IDA군의 혈역학적 지표는 IDA가 없는 비교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경우는 각각 85%, 3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유식 시작시기는 각각 6.3개월, 6.4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처음으로 시작한 음식은 두 군 모두 미음, 죽, 과즙이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P>0.05). IDA군에서 첫 1개월 내에 여러 가지 이유식을 골고루 잘 먹게 된 경우는 40 %였고, 비교군에서는 38%였다. 두 군 모두 모유 영양아에서 철분강화 음식의 필요성을 묻는 문제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IDA로 진단된 환아에서 ferritin이 10 ng/mL 미만인 경우는 42%였고, mean corpuscular volume (MCV)이 72 fL 미만인 경우는 92%이었다. 결 론 : IDA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이유기 영유아에 있어 철저한 식이력 조사와, 고위험군에 대한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 또 철분이 함유된 이유식을 골고루 섭취하기까지의 적응 기간을 고려하여, 4-5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이유식 지도에 있어 모유 영양아에서 철분 강화 식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국내 유통 가공식품과 단체급식 메뉴의 당 함량 실태조사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 Foods)

  • 최미희;권광일;김지영;이지선;김종욱;박혜경;김명철;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42
    • /
    • 2008
  • '06년-'7년 시중 유통되는 가공식품과 단체급식의 메뉴를 대상으로 과잉 섭취 시 위해 가능한 영양성분의 하나인 당 함량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사탕류, 캐러멜류 및 젤리류에서 31.7-71.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히 학교주변 문방구등에서 판매되는 저가의 어린이 기호식품의 경우 대부분 당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체급식에서 제공되는 반찬 중 찜류 및 볶음류, 조림류에서 물엿이나 설탕을 첨가하는 경우 29.6-49.2%로 어린이 기호식품과 유사한 수준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가공식품 및 단체급식 메뉴를 통한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체나 단체급식 시설에서의 설탕이나 물엿과 같은 단맛 성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급식에 대한 영양표시제 활성화가 필요하며, 소비자들은 제품을 선택할 때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하여 당 함량이 적은제품을 선택하고, 섭취 시에도 가급적 1회 제공량 범위를 넘지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하여 가공식품 및 음식의 당 함량 데이터베이스 및 원료성 식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당 저감화를 추진하는 등 어린이 먹거리의 영양 안전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Terrine 제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Proper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rrine)

  • 윤문주;이재동;박시영;권순재;박진효;강경훈;최종덕;주종찬;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84-1091
    • /
    • 2015
  • 5겹 편뜨기한 넙치 육 50 g을 chopper로 마쇄한 후 계란 흰자, 생크림, 레몬즙, 브랜디, 소금 및 후추를 첨가하여 반죽하였다. 랩 위에 평평하게 편 반죽(25 g) 위에 치즈(4 g)를 올리고 다시 반죽(25 g)을 덮은 후 랩으로 돌돌 말고 호일로 감싸서 끓는 물에 5분간 익혀 폴리에틸렌 필름($20{\times}30{\times}0.05mm$)에 진공 포장한 제품을 Terrine-1, 끓는 물에 익히지 않고 바로 진공 포장한 제품을 Terrine-2로 하였다. 동결 상태의 Terrine-1을 전자레인지로 해동하고 데운(2분간) Sample-1과 동결상태의 Terrine-2를 해동한 후 끓는 물에 5분간 익힌 Sample-2의 이화학적 성질과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ample-1과 Sample-2 모두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함량은 각각 31.0 및 30.4%, 조단백질은 각각 17.7 및 18.6%, 조지방은 두 시료 모두 8.3%, 조회분은 각각 1.4 및 1.5%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pH는 각각 6.48 및 6.37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의 경우 Sample-1이 $16.67g/cm^2$, Sample-2가 $23.00g/cm^2$으로 Sample-2가 더 높은 값이었다. Sample-1과 Sample-2의 TBA 값은 큰 차이가 없었다. Sample-1과 Sample-2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050.5 및 2065.2 mg/100 g으로 비슷하였으며, 두 시료 모두에서 glutamic acid가 16.6%로 가장 많은 함량이었으며, 다음으로 lysine, leucine 및 aspartic acid 순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Sample-2의 관능적 기호도가 Sample-1보다 조금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