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circumference ratio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3초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의 복부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Visceral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s an Abdominal Obesity Index)

  • 김용균;한만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49-258
    • /
    • 2008
  • 목적 : 복부비만 특히 내장지방의 과잉축적은 대사증후군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내장지방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하며, 초음파 측정법은 간편하고, 안전하게 내장지방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복부 내장지방두께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월부터 4월까지 대전 D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검진자 중 400명(남자 200명, 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로 제대 바로 위에서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하였고, 신체계 측지표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를 측정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관련인자로 혈압,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중성지방(TG), 공복혈당(FBS)을 측정하였다. 초음파 측정지표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ROC곡선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를 산출하였다. 결과 : 내장지방두께는 허리둘레(r=0.683/남, r=0.604/여), 허리둘레/키 비(r=0.633/남, r=0.595/여) 및 체질량지수(r=0.621/남, r=0.534/여)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축기혈압(r=0.229/남, r=0.232/여), 이완기혈압(r=0.285/남, r=0.254/여), 고밀도콜레스테롤(r=-0.254/남, r=-0.326/여), 중성지방(r=0.475/남, r=0.411/여), 공복혈당(r=0.158/남, r=0.234/여)과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의 cut-off value는 남자 4.58cm (민감도 89.2%, 특이도 71.2%), 여자 3.50cm (민감도 61.2%, 특이도 80.8%)이었으며, 내장지방두께가 남자에서 6cm, 여자에서 5cm 이상부터 대사중후군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 :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은 남자 4.58cm, 여자 3.50cm 이었다.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복부비만의 유의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임상에서 복부 비만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울지역 거주 노인들의 만성질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 b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the Seoul area)

  • 박유경;이연주;이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31-540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ronic disease of the elderly at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99 elderly over the age of 60 (82 men and 217 women); they were grouped by the disease status: normal, cardiovascular disease (CVD), diabetes mellitus (DM) and arthritis patients groups. The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by a 24-hour recall and analyzed by CAN-Pro 4.0; they were then compared with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he Korean (KDRIs). In the results of anthropometric data according to chronic disease,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normal group in males and females was lower than the other groups; in particular, the normal female group showed a lower level of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arthritis group showed a higher intake of milk products than the other groups (p < 0.05); consequently, calcium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 < 0.001). Vitamin A intake in the arthriti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ake in the normal and DM groups (p < 0.01). Normal and arthritis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zinc and copper than the CVD group (p < 0.01). In general, about 80%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revealed insufficient intakes of riboflavin, vitamin C, calcium, dietary fiber, vitamin D, biotin and potassium, compared with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or adequate intake (AI). However, sodium intake of all groups was higher than the AI of KDRIs. In conclusio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chronic disea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of the micronutrients, vitamin A, Ca, Zn and Cu. Therefore, we suggest that dietary guidelines, such as reducing the intake of salty foods and sweet drinks and increasing the intake of foods with sufficient calcium, vitamin D and vitamin C, are necessary to the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for the elderly.

소아 비만증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률 (Prevalence of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 황성욱;김덕희;김호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13-20
    • /
    • 2005
  • 목 적 : 비만증은 대사성증후군과 더불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비만증으로 진단된 학생을 대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그에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초 중학교 신체검사상 체질량지수 95 백분위수 이상의 비만아 중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신체계측, 혈액검사, 복부지방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자 279명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있는 사람은 27명으로 9.7%였다. 이중 비만도 30% 이하인 경도비만아 135명 중 5명(3.7%)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나타났으며 비만도 30% 이상인 중증도 이상의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률은 144명 중 22명(15.2%)으로 비만정도가 심할수록 지방간염의 유병률은 증가하였다. 또한 대사성증후군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복부 내장지방두께와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클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잘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소아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률은 9.7%였으며 비만정도가 심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률은 증가하였다. 또한 대사성 증후군의 구성인자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는 치료효과 판정 및 통합적인 위험인자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일부 농촌지역 고혈압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s Intakes of Hypertensive Female Farmers)

  • 이성현;황보영숙;이한기;정금주;이연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49-157
    • /
    • 2002
  • 농촌지역 여성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충주지역의 고혈압환자 및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2001년 5월 11일-15일(5일 동안)에 걸쳐 일반적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체중, 허리둘레,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 허리와 허벅지 둘레 및 혈청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은 고혈압군에서 많았으나 칼슘과 비타민 $B_2$ 섭취량은 권장량의 70% 수준이었다. 뇨중 나트륨 배설량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으로 추정된 나트륨 섭취량은 고혈압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배추김치의 Na(mg/g) 함량과 Na/K이 고혈압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실태 조사에는 짠맛에 대한 기호도, 염장식품의 염도 및 뇨중 나트륨 배설량 등의 분석도 필요하며, 농촌 고혈압 여성의 혈압 및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한 식염 섭취의 감소뿐 아니라 싱겁게 먹으려는 개인의 노력과 캄슘, 칼륨 및 비타민 $B_2$ 섭취수준의 적정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사상체질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특성의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서은희;최애련;하진호;채한;김판준;구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62
    • /
    • 2009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asang type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by Sasang medicine specialist. 2. Methods: The subjects were 115 (85.2% of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26.8\pm5.4$ yrs. of age and $12.9\pm1.7$ yrs. of education. We can get 30 of Soyang type, 39 of Taeeum type, 46 of Soeum type after the Sasang type classificati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body 720, Biospace, Seou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Maumsarang, Seoul). The general linear model (SPSS 12.0, SPSS Inc, Chicago)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gender and age as covariance. 3. Results and Conclusions: Taeeum type group ($75.64\pm13.01$, $26.12\pm4.16$, $15.74\pm2.42$, $11.30\pm1.80$, $3.93\pm0.62$, $18.43\pm7.70$) showed significantly bigger weight, intra-cellular water, extra-cellular water, protein, mineral, body fat mass than Soeum type group ($61.32\pm8.56$, $22.54\pm3.87$, $13.70\pm2.15$, $9.74\pm1.68$, $3.35\pm0.51$, $10.79\pm3.97$). In obesity degree such as Body Mass Index and Waist-hip ratio, and circumference measures in chest, waist and hip,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aeeum>Soyang>Soeum. As a psychological perspectives Soyang type group ($41.90\pm13.32$) has higher NS (Novelty-Seeking) score than Soeum type group ($35.22\pm11.22$) with marginal significance (p=0.052). In sub-scale measurements Soeum type group ($10.61\pm3.69$) has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other two groups in P3 (Ambit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howed that Taeeum type by specialist has same physical characteristics as previously reported QSCC II based studies. Temperament profile of each Sasang type group will serve as an important evidence for further study showing that the Sasang typology has biological basis.

  • PDF

객관적인 생리심리 지표를 사용한 사상체질 진단 연구 (Study on the Sasang Type Diagnosis Using Objective Biopsychological Measures)

  • 채한;황요순;김민성;백영화;정경식;이정윤;이시우;이수진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3
    • /
    • 2021
  • Introduction The previous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and physical Body Mass Index (BMI) were clinically useful for predicting Sasang types diagnosed with certified clinical specialist and QSCCII.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its clinical usefulness using large sized clinical sample. Methods The age, sex, height, weight, circumference of waist and hip,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and Sasang type of 2,049 participants listed on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were acquired. The anthropometrics of BMI, Ponderal Index (PI), Waist-Hip Ratio (WHR), and Basal Metabolic Rate (BMR) were calculated. The discriminant analysis using SPQ subscales, BMI, age and sex were performed to predict Sasang types. And, the ANCOVA with age and sex as covariate was also used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diagnosed and predicted Sasang type groups in biopsychological features. Results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82.0% of percentage correctly predicted. And, the b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dicted Sasang type groups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diagnosed Sasang type groups. In both predicted and diagnosed Sasang type groups, the anthropometric measures were in increasing order of So-Eum, So-Yang, and Tae-Eum type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s were in increasing order of So-Eum, Tae-Eum, and So-Yang types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ell validated biopsychological variables of SPQ and BMI showed theoretical and clinical usefulness, and were found to be useful for diagnosing Sasang types in clinical setting. The current study might be useful for the East-West integrative medicine and evidence-based teaching.

한국 노인여성의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ccording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Elderly Korean Wo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4-311
    • /
    • 2016
  • 이 연구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만 유형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서 제시한 비만 기준을 따랐으며, 대사증후군은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의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 591명 중 정상군 272명, 단순비만군 124명, 복부비만군 19명, 비만-복부비만군 176명 이었다.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유병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09), 고중성지방혈증(p=0.025), 복부비만(p<0.001), 대사증후군 진단 유병률(p<0.001)은 집단간 차이를 보였으며, 비만-복부비만군에서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비만유형과 대사증후군 각각의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진단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단순비만군에서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생이 1.6배 높았으며(odds ratio, OR: 1.576,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006~2.469), 비만-복부비만군에서는 1.9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882, 95% CI: 1.266~2.799). 고중성 지방혈증은 정상군보다 비만-복부비만군에서 1.9배 높았다(OR: 1.904, 95% CI: 1.246~2.910). 또한 정상군보다 복부비만군에서 대사증후군 발생이 6.6배 높았으며(OR: 6.579, 95% CI: 2.233~19.385), 비만-복부비만군의 경우 10.6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0.638, 95% CI: 6.053~18.697).

대한민국 성인에서 비만에 대한 수은과 ALT의 관련성 : 11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KNHANES 2005, 2008~2017) (The Association of Mercury and ALT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1 Years (KNHANES 2005, 2008~2017))

  • 표상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2-200
    • /
    • 2022
  • 혈액 중금속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에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관되지 않은 연구 결과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 연구는 2005년과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1년간 119,18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혈액 중금속 검사, 건강면접 자료, 건강검진 자료가 누락된 피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모집단에 포함될 자격이 있는 1,844명(남성 972명, 여성 872명)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과 복부 비만은 혈중 수은 증가(P<0.001)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증가(P<0.001)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란요인들을 보정한 결과, 높은 ALT 수치와 가장 높은 삼분위수의 수은 수치에 동시에 해당되는 사람은 비만(오즈비 4.46, 95%, 신뢰구간 2.23~8.90, P<0.001) 및 복부 비만(오즈비 5.36, 95%, 신뢰구간 2.57~11.17, P<0.001)의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은과 ALT의 상호 관계는 체질량지수(P for interaction=0.009)와 허리둘레(P for interaction=0.012)에 대해 각각 유의하게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상호 관계가 비만과 복부 비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서울 거주 성인 여성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Intake of Soy Isoflavone among Adult Women in Seoul)

  • 이민준;손춘영;박옥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8-230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9.97세이며, 폐경 전 대상자는 45.14세, 폐경 후 대상자는 55.99세였다. 폐경 전 대상자에 비해 폐경 후 대상자는 평균 체질량지수(p<0.0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p<0.001), 체지방율(p<0.001), 수축기 혈압(p<0.001), 혈당 및 혈중 지질 수준(p<0.05)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았고, 골반 및 척추의 골밀도는 유의적언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대상자의 경우 폐경 전 대상자와 비교할 때 빈혈 위험 집단으로 분류된 비율은 낮았으나,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 위험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 전 후 조사 대상자의 각 대두식품/음식의 섭취 빈도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폐경 전 대상자는 47.1%, 폐경 후 대상자는 42.7%가 매일 조림 볶음 콩밥 등의 형태로 콩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와 된장의 경우 1주일에 1회, 2회, 3~4회 섭취 빈도가 모두 20% 이상으로 나타나 콩, 두부, 된장이 이소플라본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3. 조사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28.48 mg이었으며, 폐경 전 대상자는 25.48 mg, 폐경 후 대상자는 32.25 mg으로 폐경 후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분포는 폐경 전 대상자는 3.29~78.36 mg(중간값 24.19 mg), 폐경 후 대상자는 3.18~116.59 mg(중간값 25.94 mg)으로 개인 간의 섭취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경 전 대상자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low, middle, high 집단이 각각 8.2 mg, 24.8 mg, 47.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와 수축기 혈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헤마토크리트는 이소플라본이 가장 낮은 섭취군과 가장 높은 섭취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경 후 대상자는 low, middle, high 집단 각각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이 8.6 mg, 24.6 mg, 63.6 mg 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초경 연령은 낮고, 폐경 연령은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질량지수와 허리-엉덩이 비율은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중간 섭취 집단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체지방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중간 이상 섭취하는 집단에서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 모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관찰 연구이므로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을 나타내는 건강지표들과 태두 이소플라본의 섭취 간에 인과관계를 밝힐 수는 없었으나,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 후 여성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 건강문제와의 관련 가능성을 미약하게나마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만으로 대두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기준을 제시할 수 없으나 조사대상자의 이소플라본 섭취 분포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군에 속하는 하루 15 mg 이하를 섭취하는 경우 그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여러 질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한 이소플라본 하루 평균 섭취 수준은 20~35 mg 수준으로 나타난 바 있으므로, 다양한 대두식품을 통해 하루 15~35 mg 이상의 이소플라본 섭취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종단적 영양 역학 연구와 설험 연구를 통해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만성질환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위해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수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관절염 유병율과 건강습관 관련 위험요인 분석 (Prevalence of Arthritis and Health Behavior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 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87-1194
    • /
    • 2009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관절염 유병율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비만도,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관절염 발생의 관련성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 1,462명 중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았거나 또는 개인의 증상을 토대로 자가 진단한 경우를 관절염군(총 322명, 남자 72명, 여자 250명), 관절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를 정상군(총 1140명, 남자 472명, 여자 668명)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여자의 관절염 유병율이 남자에 비해 14% 높았고, 남녀 모두 관절염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신체 계측과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남자는 신장,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에 있어서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관절염군에서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생활습관을 조사한 결과, 흡연, 음주 및 운동 습관에 있어서 남녀 모두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농사활동 정도에 있어서도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절염발생 위험 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 위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1.98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45$\sim$64세보다 65세 이상에서 위험도가 높았다.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자는 이들이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관절염 발생 위험도도 증가하였다. 혈액의 지질, 총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치는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남자에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관절염 발생 위험성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흡연, 음주 및 운동여부가 관절염 발생의 위험인자라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남녀 각각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중위수 미만 섭취자와 중위수 이상 섭취자로 이등분하여 관절염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과 관련이 있는 영양소는 남자의 경우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로 나타났으나 남자는 비타민A와 리보플라빈의 섭취가 적은 경우에 여자는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의 섭취가 많은 경우에 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심한 관절염환자가 포함되지 못한 점, 횡단 연구로 식생활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없었던 점, 대상자가 안동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등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 관절염과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 연구는 비만도 및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소 섭취상태가 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관절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