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tooth

검색결과 1,538건 처리시간 0.032초

노드 형태에 따른 블루투스 스캐터넷 재형성 알고리즘 (A Bluetooth Scatternet Reformation Algorithm based on Node Types)

  • 이한욱;고상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1호
    • /
    • pp.110-122
    • /
    • 2005
  •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기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가능성을 인정받아 왔다. 특히 블루투스에서 지원되는 스캐터넷(Scattemet)이라는 네트워크의 형태는 PAN(Personal Area Network)과 같은 동적인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블루투스가 지원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기존의 블루투스 스캐터넷 관련 연구들은 노드들이 수시로 추가 혹은 이탈하는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스캐터넷 내부에서 노드가 이탈하였을 경우 이를 재형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다양한 스캐터넷 형태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는 범용 알고리즘이며, Inquiry 과정이 생략된 채 Page 과정만으로 빠르게 네트워크가 복구되는 특성을 지닌다. 또 노드의 형태에 따라 복구 마스터/슬레이브를 지정하여 작성되는 복구 노드 벡터(Recovery Node Vector)에 따라 동작한다. 또 본 논문에 제시한 알고리즘은 상용 하드웨어에 적용이 가능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으로, 실제 상용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하고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재형성 지연 시간은 Inquiry 과정이 포함된 경우의 23~60% 정도로 단축된 결과를 얻었고, 97% 이상의 복구 성공률을 보였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의료정보 신호의 전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Medical Information using Bluetooth Technology)

  • 엄정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97-30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용 심전계로부터 취득한 심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블루투스란 2.4GHz 대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매우 적은 전력 소모특성과 고속의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른 높은 신뢰성 및 자체 에러 정정 기술을 갖추고 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간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현된 시스템과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전화, 노트북 및 개인 휴대용 단말기 등간의 연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취득한 의료정보신호를 각종 무선 통신 기기를 통하여 병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블루투스 모듈과 호스트 부로 구성한 하드웨어 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성한 소프트웨어 부로 구성된다 호스트 부에서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적합한 패킷으로 바꾸어 모듈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에러 정정 코드를 추가하고 블루투스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한다.

  • PDF

이기종 IoT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로 인한 데이터 손실 방지 기법 (The prevent method of data loss due to differences in bit rate between heterogeneous IoT devices)

  • 서형윤;박정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29-836
    • /
    • 2019
  • IoT 장치들은 네트워크 구성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이기종의 IoT 장치를 통하여 전송된다.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5를 이용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LoRa(Long Range)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Bluetooth 5가 LoRa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비해 빠르므로 LoRa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손실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송 데이터 손실 방지 기법은 Bluetooth 5와 LoRa 뿐 아니라 이기종의 IoT 장치의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데이터 손실 방지 기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다. 2가지 방법으로 시뮬레이션 했을 때 전송 성능과 저장에 필요한 메모리 양 을 보인다.

Simultaneous monitoring of motion ECG of two subjects using Bluetooth Piconet and baseline drift

  • Dave, Tejal;Pandya, Utpal
    •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 /
    • 제8권4호
    • /
    • pp.365-371
    • /
    • 2018
  • Uninterrupted monitoring of multiple subjects is required for mass causality events, in hospital environment or for sports by medical technicians or physicians. Movement of subjects under monitoring requires such system to be wireless, sometimes demands multiple transmitters and a receiver as a base station and monitored parameter must not be corrupted by any noise before further diagnosis. A Bluetooth Piconet network is visualized, where each subject carries a Bluetooth transmitter module that acquires vital sign continuously and relays to Bluetooth enabled device where, further signal processing is done. In this paper, a wireless network is realized to capture ECG of two subjects performing different activities like cycling, jogging, staircase climbing at 100 Hz frequency using prototyped Bluetooth module. The paper demonstrates removal of baseline drift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and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and removal of high frequency noise using moving average and S-Golay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highlight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work to monitor any vital sign parameters of multiple subjects simultaneously. The importance of removing baseline drift before high frequency noise removal is shown using experimental results. It is possible to use Bluetooth Piconet frame work to capture ECG simultaneously for more than two subjects. For the applications where there will be larger body movement, baseline drift removal is a major concern and hence along with wireless transmission issues, baseline drift removal before high frequency noise removal is necessary for further feature extraction.

블루투스 기반 LED 알람 무드등 (Bluetooth based LED Alarm Lamp)

  • 진태석;백지헌;김청솔;김지태;이현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02-60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실내의 조명, LED 그리고 알람시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제안된 블루투스 기반 LED 알람 무드등(Bluetooth based LED Alarm Lamp)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ON/OFF를 할 수 있으며, 조도센서 및 전압을 변압시켜 ON/OFF 및 빛 밝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7-segment를 이용하여 시계를 표시하였고 피에조 부조를 이용하여 시간에 맞춰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전압을 낮춰 빛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본 작품(블루투스 기반 LED 알람 무드등)은 환경이 어두울 때 전압이 유지되고 있다면 자동으로 ON되는 시스템으로 거주자의 방에 안락한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약한 불빛으로 인한 수면 시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 설계 및 구현 (The Android-based Bluetooth Device Appl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 조효성;이혁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2-85
    • /
    • 2012
  • 현재, 차량 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블루투스 핸즈프리 디바이스는 음성 통화, 발신자 식별번호 표시 및 SMS 메시지 표시 등의 전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인터넷 기반의 텍스트 데이터 디스플레이 기능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차량에서도 SNS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핸즈프리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기반의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은 SNS 메시지 및 이메일 도착 알림 표시 등의 향상된 기능을 포함하며, 구현 플랫폼으로는 대부분의 SNS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이 가능하고 소형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탑재가 용이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역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단말기이며, 단말 탑재 기능 모듈인 오디오-텍스트 게이트웨이는 안드로이드 앱 형태로 설계된다. 오디오-텍스트 게이트웨이 앱은 SNS 텍스트 데이터 수신시, 메시지 헤더 정보에서 제목, 발신자 정보 등을 추출하여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ACL(A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탑재된 블루투스 핸즈프리 또는 헤드셋 프로파일은 오디오 게이트웨이의 기능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기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은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통한 음성 데이터 전송 방식 대신에 ACL 링크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한다.

블루투스 기반 점 대 다중점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Point-to-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Bluetooth)

  • 배진섭;강석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921-192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형 선박에의 적용을 위하여 블루투스 기술사양에 기반한 점 대 다중점 무선 통신시스템을 구현하고 분석한다. 여기서는 임무컴퓨터에 연결된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과 센서 가 탑재된 다수의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로 센서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간의 점 대 다중점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대형 선박의 다수 부위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을 인식 및 제어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이 구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차세대 디지털선박 건조를 위한 기초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블루투스 4.0 기술을 이용한 음식점 광고/주문 시스템 설계 (Design of Restaurant Advertisement and Order System using Bluetooth 4.0 Technology)

  • 조병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9-76
    • /
    • 2015
  • 블루투스 4.0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 3.0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아지고 전파도달 거리도 70m 까지 길어짐에 따라 활용범위가 커지고 있어 전력소모가 적어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콘 기술 현황을 조사하고 비콘 기술을 이용한 음식점 광고/주문 시스템 설계원리를 기술한다. 또한 블루투스 4.0 기술에 기반한 발신장치인 비콘의 설계와 블루투스 4.0 수신 장치의 설계를 보여주고 이와 연동하는 스마트폰 앱 설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본 설계 방법이 음식점 광고/주문 상용시스템에 제작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UHF-RF 및 블루투스 이중 접속 무선 센서 네트워크 노드개발 (Development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Node with Dual Interfaces of UHF Radio and Bluetooth)

  • 김호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905-1913
    • /
    • 2006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블루투스 접속 방식을 사용하면서 RF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이중 접속 방식의 무선 센서 노드를 개발하는 내용이다. 이 센서 노드는 Atmega32 마이크로콘트롤러, 블루투스 모듈, UHF RF 송수신 모듈, 그리고 온습도 및 광도 센싱 IC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 할 F/W를 GCC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C 언어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센서 노드는 블루투스 접속이 15m까지, RF 접속이 60m 까지 가능하였다. 공급 전압 5V 이상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하였으며 소비 전류는 대기 시 평균 21mA, 동작 시 평균 63mA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