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 LED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1초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Phosphor Conversion Efficiency in White Light-Emitting Diodes

  • Ryu, Guen-Hwan;Ryu, Han-Youl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3호
    • /
    • pp.311-316
    • /
    • 2015
  • We investigate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phospho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the phosphor material used in a white light-emitting diode (LED) consisting of a blue LED chip and yellow phosphor.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wall-plug efficiency (WPE) of the blue LED chip and the PCE of phosphor are separately determined by analyzing the measured spectrum of the white LED sample. As the ambient temperature increases from 20 to $80^{\circ}C$, WPE and PCE decrease by about 4.5% and 6%,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phosphor to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white LEDs can be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blue LED chip. When PCE is decomposed into the Stokes-shift efficiency and the phosphor quantum efficiency (QE), it is found that the Stokes-shift efficiency is only weakly dependent on temperature, while the QE decreases rapidly with temperature. From 20 to $80^{\circ}C$ the phosphor QE decreases by about 7% while the Stokes-shift efficiency changes by less than 1%.

RGB LED 광원이 느타리류의 자실체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GB LED lights on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fruit-body characteristics)

  • 류재산;나경숙;김정한;이정우;권희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139
    • /
    • 2023
  • 생육 시 사용하는 LED 조명색이 느타리류의 갓색과 수량,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실체의 전체적인 형태는 LED 조명색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청색과 자색이 일반적으로 생산하는 버섯 형태와 유사하였고 녹색은 조명이 없거나 약한 곳에서 자란 버섯형태를 보였다. 전체 품종의 청색, 녹색, 자색 LED에서 키운 버섯의 갓명도의 평균은 각각 57.0, 57.4, 59.4였다. 원형1호와 황금산타리를 제외하고는 세가지 LED 색에 따라 갓 명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갓의 적색도는 LED 조명과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관찰되었다. 청색, 녹색, 자색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색이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낸 품종은 곤지7호의 갓색돌연변이인 곤지7호M이 유일하였다. 곤지7호를 제외한 8개 품종에서 청색에서 갓의 적색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 품종의 LED 조명색별 평균 수확량은 자색이 68.0 g, 청색 58.3 g, 녹색 50.1 g 이었다. 청색에서 가장 수확량이 많은 품종은 곤지7호로 92.8 g이었고 같은 품종의 녹색 처리구에서는, 77.1 g, 자색에서는 98.6 g이 수확되었다. 발이소요일수는 자색에서 생육한 버섯의 평균값이 5.3일로 가장 짧고, 청색에서 5.8일, 자색에서 5.8일 순이었다. 자색에서 가장 짧은 발이소요일수를 보인 품종은 6개, 녹색에서는 3개, 청색에서는 2개였다. 자실체의 길이는 생육 시 조사한 LED 조명색에 따라 녹색(66.4 mm) > 자색(51.8 mm) > 청색 (46.8 mm)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시장에서 요구하는 형질을 갖춘 버섯을 생산하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한다.

도라지 배양묘의 생장 및 형태형성에 미치는 발광다이오우드의 효과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s on Growth and Morphogenesis of in vitro Seedlings in Platycodon grandiflorum)

  • 은종선;김영선;김용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75
    • /
    • 2000
  • 발광다이오우드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적색, 녹색 및 청색광에서 식물생산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라지 유묘의 생장과 형태형성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와 광질에 따른 엽록소함량을 형광등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초장은 형광등에서 3.8 cm로 가장 짧았고 LEDs 에서 생장한 것은 적색광에서 13.4cm로 가장 길었다. 반면에 적색/청색의 혼합광은 5.6cm로 적색 단색광에서 식물체가 도장된 것에 비해 정상적인 식물체의 생장양상을 보여 적색과 청색의 혼합광이 식물체의 생장에 적당하였다. 엽면적은 녹색광에서 24.1 $\textrm{cm}^2$로서 적색광에서 10.1 $\textrm{cm}^2$인 것에 비하여 약 2.4 배가 더 넓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양호하였다. 건물률은 적색/청색의 혼합광에서 15.3%를 나타내어 다른 광질처리보다 함수율이 적었다. 엽록소함량은 청색 단색광과 적색/청색의 혼합광에서 형광등보다 각각 20%, 10% 적었으나 적색과 녹색의 경우 각각 2%, 7% 적었는데 적색 단색광에서 형광등과 비슷한 엽록소 함량을 보였다.

  • PDF

압출떡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LED 조사의 Bacillus cereus 억제 효과 및 LED의 배열에 따른 빛의 조사 패턴 시뮬레이션 (Effect of LED light on the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for extending shelf-life of extruded rice cake and simulation of the patterns of LED irradiation by various arrays of LEDs)

  • 정화빈;육현균;윤원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81-18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460 nm 파장의 청색 가시광선을 압출 떡의 표면에 조사하기 위하여 장치의 최적 디자인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 청색광이 압출 떡의 표면에서 식품 위해균인 B. cereus group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LED 장치에서 광원모듈의 세 가지 배열(centered, cross, evenly spaced) 및 광원과 샘플 표면 사이의 거리(22, 32, 42 mm)에 따른 조사 면적에서 빛의 세기 패턴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하고, Petri factor를 통하여 균일도를 확인하였다. LED 배열의 균일도는 evenly spaced 배열에서 가장 균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광원과의 거리가 32 및 42 mm일 경우 Petri factor가 0.9 이상으로 높은 균일도를 나타내었다. 떡볶이 떡에 LED 청색광을 조사한 경우 24 h 후 균 수가 초기 균 수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LED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초기 균 수가 증가하여 1.21 log CFU/g의 차이를 보였다. LED 조사 시 광원과 샘플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Petri factor는 증가하나 감균 효과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etri factor가 0.9 이상임을 만족하는 evenly spaced 배열의 32 mm 거리가 떡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LED 장치의 디자인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LED 광질과 보광시간이 임파첸스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Quality and Supplemental Time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Impatiens)

  • 김소희;허유;이한철;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4-219
    • /
    • 2013
  • 본 실험은 임파첸스 분화식물의 생장과 개화에 LED 광질과 효과 적정 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임파첸스의 초장은 2.50cm로 청색광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대조구에 비해 0.6cm의 차이를 보였다. 절간수, 뿌리길이, 분지수, 직경은 보광시간이나 광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엽면적은 412.81$cm^2$의 대조구에 비해 광질처리 시 626.64~784.53$cm^2$로 증가하였다. 광질처리에 의해 화아수와 개화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개화소요일수는 광질처리에 의해 단축되어 개화를 촉진하였으며 적색광에서 좋았다. 엽록소 함량은 광질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안토시아닌 함량은 전반적으로 일몰 후 4시간의 청색광에서 증가하였다. 광질처리는 청색광 처리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향상되었다.

LED광원이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발생, 생육, 에르고스테롤 함량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on Primordium Formation, Morphological Properties, Ergoster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Body in Pleurotus eryngii)

  • 장명준;이윤혜;김정한;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5-179
    • /
    • 2011
  • LED광원에 대한 큰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에르고스테롤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기형성기에 LED광원을 조사한 결과 청색광 및 적색광에서 원기가 형성되지 않았다. 초발이 이후 LED광원을 조사시 형광등과 청색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갓의 크기는 커지며, 갓의 굵기가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의 길이는 형광등과 청색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짧았다. 생육특성 중 상품수량은 청색광 및 녹색광에서 형광등과 대등하였다. DPPH는 청색광, 녹색광 및 주황색광에서 가장 높았고, 총폴리페놀함량은 LED 처리구 모두 형광등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르고스테롤은 녹색광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 큰 느타리버섯의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녹색광이 적합하였다.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Ca1-xSrxS:Eu Red-emitting Phosphors for a White LED

  • Sung, Hye-Jin;Cho, Young-Sik;Huh, Young-Duk;Do, Young-Ra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8호
    • /
    • pp.1280-1284
    • /
    • 2007
  • A series of Ca1-xSrxS:Eu (x = 0.0, 0.2, 0.4, 0.6, 0.8, 1.0) 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solid-state reactions. The Ca1-xSrxS:Eu phosphors have a strong absorption at 455 nm, which corresponds to the emission wavelength of a blue LED. The emission peak of Ca1-xSrxS:Eu is blue shifted from 655 to 618 nm with increasing Sr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Ca1-xSrxS:Eu phosphors make them suitable for use as wavelengthtunable red-emitting phosphors for three-band white LEDs pumped by a blue LED. In support of this, we fabricated a three-band white LED by coating SrGa2S4:Eu and Ca0.6Sr0.4S:Eu phosphors onto a blue LED chip, and characterized its optical properties.

수확 전 LED, 형광등, UV-C 조사가 로켓 샐러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 Harvest Light Treatments (LEDs, Fluorescent Lamp, UV-C)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Rocket Salad (Eruca sativa))

  • 이혜진;천진혁;김선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78-187
    • /
    • 2017
  • 인공 광원에 따른 rocketsalad(Eruca sativa L.)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광원의 종류는 자연광(Control-1 또는 2), Red LED, Blue LED, Mix(R+B) LED(Red LED+Blue LED), White LED, Fluorescent Lamp(FL), Fluorescent Lamp+UV-C(FL+UV-C). 실험은 식물 생장기 대수 제한 때문에 [실험 I;Control-1, Red LED, Blue LED, Mix(R+B) LED]과 [실험 II;Control-2, White LED, FL, FL+UV-C]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Red LED와 FL에서 rocket salad의 잎의 길이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Red LED와 FL이 rocketsalad의 성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Rocketsalad로부터 총 7종류의 GSLs(glucoraphanin, diglucothiobein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dimeric 4-mercaptobutyl GSL, 4-methoxy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실험 I]에서 총 GSL 함량은 Red LED(4.30)에서 가장 높고 Blue LED($0.17{\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실험 II]에서 총 GSL 함량은 FL(13.45)에서 가장 높고 FL+UV-C($0.39{\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Rocket salad의 강한 향과 매운 맛을 돋아주는 dimeric 4-mercaptobutyl 함량은 [실험 II]에서 Control-2에 비해 FL과 White LED가 각각 14.9, 3.2배 증가했다. 따라서 Red LED, White LED, FL은 rocket salad의 GSL 축적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The effects of light colour on female rabbit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expression of key genes in follicular development

  • Xiaoqing, Pan;Xinglong, Wang;Le, Shao;Jie, Yang;Feng, Qin;Jian, Li;Xia, Zhang;Pin, Zha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432-44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light colour on rabbit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expression of key follicular development genes. Rabbits (n = 1,068, 5 months old, 3.6-4.4 kg live body weight) were divided randomly into four groups, housed individually in wire mesh cages and exposed to red, green, blue, and white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control). The lighting schedule was 16 L : 8 D-15 d / 150 lx / 6:00 am-22:00 pm (3 d preartificial insemination to 12 d postartificial insemination). Red light and white light affected the conception rate and kindling rate and increased the total litter size at birth (p < 0.05). The effects of red light on litter size at weaning, litter weight at weaning, and individual weight at weaning increased compared with the green and blue groups. The effects of red light on live litter size at birth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blue group (p < 0.05). Compared to white light, green and blue light reduced the number of secondary follicles (p < 0.05). Compared to red light, green and blue light reduced the number of tertiary follicles (p < 0.05). Compared with white light, red LED light resulted in greater ovari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mRNA expression (p < 0.05). Compared with green and blue LED light, red LED light resulted in greater B-cell lymphom-2 mRNA expression (p < 0.05). Compared with green LED light, red LED light inhibited FOXO1 mRNA expression in rabbit ovaries (p < 0.05). Red light can affect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emale rabbits and the expression of key genes for follicular development.

LED 파장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성장특성 (A Study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in Accordance with the LED Wavelength)

  • 장준철;허인성;이세일;유영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495-500
    • /
    • 2015
  • 우리나라 주요 양식어종은 넙치, 조피볼락, 참돔이 전체 양식어종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 어종의 다양화와 그에 따른 새로운 양식기법 도입을 위하여 LED파장을 이용하여 강도다리의 성장률을 계측하여 성장에 최적한 LED 파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LED 파장의 조건은 Red 645nm, Green 525nm, Blue 465nm, 3차 혼합색인 White LED를 사용하였고, 전압의 차이에 따라 각 파장별 Package 배열에 차이를 두었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조명은 적분구 측정을 통해 동일한 양의 방사속을 조사하도록 조절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자어의 평균 체중은 $17.1{\pm}3.3g$, 체장은 $101.5{\pm}12.6mm$이였다. 자어는 사각형($60{\times}45{\times}45cm$) 순환 여과식 수조에 각각 10미씩 수용하여 12주간 사육하였고 매 1주에 체중 및 체장을 계측하여 성장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Green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체중 증가율이 54.0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White 실험구에서 38.47%, Red 실험구에서 36.98% Blue 실험구에서 34.72%로 나타났으며, 체장의 증가도 또한 Green 실험구에서 14.36% 가장 높았으며, White, Red, Blue 순서로 체장의 증가율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강도다리는 사육환경에서 조명에 대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서 양식현장에의 적용 가능한 양식용 특수조명 개발과 공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수산-LED 융합기술의 발전방향을 선도하는 중요한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