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transfusion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3초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at the End of Life: Evidence from Korea)

  • 한은정;황라일;이정석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99-123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에서 사망한 자의 임종 관련 의료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종 관련 의료비의 효율적 관리방안과 양질의 임종관리 제공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자료이며, 2008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인정등급을 받고 같은 기간 내 사망한 자 총 271,474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성(60.6%), 75세 이상(74.7%)이 다수를 차지했고, 대부분이 2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혈압(44.3%), 치매(42.3%), 뇌졸중(29.9%) 등 비율이 높았다. 사망원인은 순환기계질환(29.8%), 암(15.3%),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14.7%) 등의 순이었고, 사망장소로는 의료기관(64.4%), 자택(22.0%), 사회복지시설(9.2%) 순이었다. 대상자의 등급인정 이후 사망까지 소요시간은 평균 516.2일이었고, 대상자 중 99.3%는 사망 전 1년간 건강보험 또는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이용하였다. 특히, 1인당 평균 총 급여비는 사망한 달에 가까워질수록 규모가 커져, 사망 전 12개월 보다 사망 전 1개월에 3배 이상 높아졌다. 또한, 사망 전 1개월간 대상자의 31.8%는 연명치료 범위에 해당하는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장기요양 인정자의 임종 관련 불필요한 의료이용 감소 및 효율적 의료관리를 위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통합적 임종관리 전달체계 확립과 호스피스 등 임종케어의 적극적 도입을 제안한다.

XN-9000장비에서 Low Level QC물질에서의 혈소판 수 관리와 용혈에 따른 P-LCR의 변화 (Maintenance of Platelet Counts with Low Level QC Materials and the Change in P-LCR according to Hemolysis with XN-9000)

  • 심문정;이현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9-405
    • /
    • 2018
  • 임상검사실에서의 혈소판 수 계산은 지혈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이며, 혈소판 수가 적은 경우 혈소판 수혈이 필요하고 항암치료 후 혈소판 수 경과를 모니터링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정도관리는 환자결과를 내보내기 전에 검사실에서 오류를 줄이고 교정하는 과정이며 분절된 적혈구는 혈소판과 크기가 비슷하여 혈소판 수 계산에 영향을 미친다. 검사실에서 내부정도관리low QC물질이 2SD를 벗어난 것을 경험하였고, 지금까지 용혈과 혈소판 지표들과의 관계에 대해 밝혀진 것이 충분하지 않아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XN CHECK low level QC물질을 이용해 PLT-I, PLT-O, PLT-F 방법간의 혈소판 수치를 비교하였으며, 용혈검체를 만들어 5가지 혈소판지표들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PLT-F방법에서 CV값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용혈검체에서 P-LCR 수치가 18.4%에서 31.9%로 증가함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혈소판 수치가 낮은 경우는 PLT-F방법으로 하는 것이 더 정확하며, 검체가 용혈이나 변질이 의심되는 경우 이를 평가할 때 P-LCR을 새로운 지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사람 혈액검체를 이용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비외상성 동맥류성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SAFARI 점수를 이용한 경련 발생 예측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SAFARI score for predicting convulsive seizure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백승준;홍대영;김신영;김종원;박상오;이경룡;백광제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9-454
    • /
    • 2018
  • Objective: The SAFARI score was introduced to assess the risk of convulsive seizure during admission fo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201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AFARI score derived from the afore-mentioned study could be applied to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7. Patients' age, sex, blood pressure, pulse rate, body temperature, Glasgow-Coma Scale, Hunt-Hess scale, modified Fisher grade, size of ruptured aneurysm, surgery type, transfusion, and SAFARI score were compared between the seizure and non-seizure groups.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s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predictive ability for seizure during admis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predictive factors for seizure during admission. Results: A total of 220 patients were included. Ninety-seven (44.1%) were male and 123 (55.9%)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5.8 years old (range, 56-75).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SAFARI score for predicting seizure was 0.813. The SAFARI scor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eizure during admission, while other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p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 SAFARI score could be used for predicting seizure during admission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Hepatitis B, C, and D Virus Infections and AFP Tumor Marker Prevalenc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Mongolia: A Nationwide Survey

  • Dambadarjaa, Davaalkham;Mukhtar, Yerkyebulan;Tsogzolbaatar, Enkh-Oyun;Khuyag, Ser-Od;Dayan, Angarmurun;Oyunbileg, Nandin-Erdene;Shagdarsuren, Oyu-Erdene;Nyam, Gunchmaa;Nakamura, Yosikazu;Takahashi, Masaharu;Okamoto, Hiroak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3호
    • /
    • pp.263-272
    • /
    • 2022
  • Objectives: Infections with hepatitis B, C, and D virus (HBV, HCV, and HDV) ar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nd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e aimed to determine the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anti-HCV, anti-HDV immunoglobulin G, alpha-fetoprotein (AFP), and dual and triple hepatitis virus infections in Mongolia. Methods: A total of 2313 participants from urban and rural regions were randomly recruit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hepatitis virus infections, and the seromarkers were measured using immunoassay kits. Results: Among all participants, the prevalence of HBV, HCV, and HDV was 15.6%, 36.6%, and 14.3%, respectively. The infe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and participants with a lower education level, rural residence, older age, and a history of blood transfusion. HBV and HCV co-infection was found in 120 (5.2%) participants and HBV, HCV, and HDV triple infection was detected in 67 (2.9%) participants. The prevalence of elevated AFP was 2.7%, 5.5%, and 2.6% higher in participants who were seropositive for HBsAg (p=0.01), anti-HCV (p<0.001), and anti-HDV (p=0.022), respectively. Elevated AFP was more prevalent in participants co-infected with HBV and HCV (5.8%, p=0.023), HBV and HDV (6.0%, p<0.001), and triple-infected with HBV, HCV, and HDV (7.5%) than in uninfected individuals. Conclusions: Nearly half (49.8%) of the study population aged ≥40 years were infected with HBV, HCV, or HDV, and 22.4% had dual or triple infections.

환자안전 주제별 보고서의 주제 우선순위 설정: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분석 (Prioritizing Themes Using a Delphi Survey on Patient Safety Theme Reports)

  • 박정윤;신은정;김리은;김수경;박춘선;박태준;최윤경;허영희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5-54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eme list and priority criteria of patient safety theme repor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and the importance of each criterion and theme was measured on a nine-point scale using the Delphi technique by a panel of 19 patient safety experts. The criteria included severity, universality, preventability, and organizational-social impact.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interval quartile rang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parameters were assigned a weighted average of 35% for severity, 20% for universality, 30% for preventability, and 15% for organizational-social impact, respectively. The final top three rankings were surgery safety, blood transfusion safety, and medication safety. In addition to expert opinion, for the theme that is selected based on the priority ranking, one to five sub-topics can be derived from the theme based on the priority ranking, societal demands, or the yearly priority list of patient safety incidents.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official patient safety center distribute the report in the form of a summary that can be utilized nationwide at medical institutions, government institutions, and other places. Updates, as well as accumulated theme reports, will serve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proposal of the system and for the policy designed to implement and improve institutions' safety practices as a standard of domestic patient safety practice guideline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Who Underwent Craniotomy and Its Influence on Prognosis

  • Geng Huan Wang;Yu Yan;He Ping Shen;Zhengmin Ch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332-339
    • /
    • 2023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imbalance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BI) who underwent craniotomy and its influence on prognosis. Methods : A total of 156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TBI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June 2019 to June 2021. All patients underwent craniotomy and intracranial pressure (ICP) monitoring. We aimed to explo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isturbanc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lectrolyte disturbance on prognosis. Results : A total of 156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TBI were included. There were 57 cases of hypernatremia, accounting for 36.538%, with the average level of 155.788±7.686 mmol/L, which occurred 2.2±0.3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25 cases of hyponatremia, accounting for 16.026%, with the average level of 131.204±3.708 mmol/L, which occurred 10.2±3.3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three cases of hyperkalemia, accounting for 1.923%, with the average level of 7.140±1.297 mmol/L, which occurred 5.3±0.2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75 cases of hypokalemia, accounting for 48.077%, with the average level of 3.071±0.302 mmol/L, which occurred 1.8±0.6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105 cases of hypocalcemia, accounting for 67.308%, with the average level of 1.846±0.104 mmol/L, which occurred 1.6±0.2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17 cases of hypermagnesemia, accounting for 10.897%, with the average level of 1.213±0.426 mmol/L, which occurred 1.8±0.5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99 cases of hypomagnesemia, accounting for 63.462%, with the average level of 0.652±0.061 mmol/L, which occurred 1.3±0.4 days after injury.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at admission, pupil changes, ICP, hypernatremia, hypocalcemia,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epilepsy, cerebral infarction, severe hypoproteinemia were statistically abnormal (p<0.05), while gender, hyponatremia, potassium, magnesium, intracranial infection, pneumonia,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hypertension, diabetes, ab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al renal fun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fter adjusting gender, age, GCS, pupil changes, ICP, epilepsy, cerebral infarction, severe hypoproteinem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ypernatremia or hypocalcem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hypocalcemi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ypomagnesemia, hypokalemia, hypernatremia, hyponatremia and hypermagnesemia. Hypocalcemia, hypomagnesemia, and hypokalemia generally occurred in the early post-TBI period, hypernatremia occurred in the peak period of ICP, and hyponatremia mostly occurred in the late period after decreased ICP.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was associated with prognosis.

자궁외 임신 환자의 임상적 고찰

  • 신현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4-76
    • /
    • 1970
  • This report will present a clin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210 case of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Chung Nam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66 to March, 1970.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Ectopic pregnancies was 8.22%. 2.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high in June(13.81%), low in October(2.98%). There was a higher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in the summer than in the winter. 3. The average age of all patients was 33.25 years. The most frequent age for this type of pregnancy was 31-35 years (32.86%) . The youngest patient was 18 years old and the oldest was 50. 4. Multipara occurred in 82.38% of the cases; Mulipara in 17. 62% and the occurrence of primipara was especially high, 20.95%. 5. 48.09% of the women had previously experienced normal deliveries; 42.8% had received artificial abortions and 5.23% had experienced spontaneous abortions. 3.8% had a previous history of Ectopic pregnancy.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more frequent in those women who had a D & C in the Past. 6. The average length of infertility was 21.7 months. The shortest length was 60 days; longest period of infertility was 19 years. 7.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is higher (29.27%) in patient who have experienced only one previous D & C.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a D & C was 58.57%. 3. Ectopic symptoms appeared during the first 4.7 weeks (mean) and most frequently occurred between the 5th and 6th weeks (48.57%) of pregnancy. The Symptoms were: -99.04% complained of lower abdominal pains. -80.95% experienced abnormal uttering bleeding. -42.38% experienced bleeding before the occurrence of pain. -18.57% experienced pain before the occurrence of bleeding. -8.57% experienced both pain and bleeding. -7.62% experienced only bleeding. -22.86% experienced only pain. 9. In-77.62% of the cases the annexal mass palpated. 91.42% complained of abdominal tenderness. 42.38% complained of pain when the cervix was examined. 10. Culdocentesis was performed in 86.19% of the cases. In 92.82% of the cases the presence of an Ectopic pregnancy was accurately diagnosed 11. 71.90% of the Ectopic pregnancies occurred in the ampule portion of the ovarian tube, of the total number of gestations, 40.95% were tubal abortions and 59.05% were ruptured. The ruptured group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islamic portion and interstitial portion of the tube than the aborted group. The aborted group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fimbrial extremities of the tube. 12. The blood pressure (systolic) was noted at 119-80mmHg in 81.89% of the total cases. Hemoglobin value was noted at over 8gm/㎗ in 58.57% of the cases. The average blood transfusion was 2.3 pints. 13. In 52.86% of the Ectopic pregnancies the right side of the ovarian tube was affected. The left side of the tube was affected in 47.14% of the cases. 14. 3.33% of the patients were not given an accurate diagnosis. 15. The kinds of operation performed were as follows; Salpingectomy, 41.43%; Adnectomy, 38.57% and Adnectomy with total hysterectomy, 19.05%. 16. The patient mortality rate was significantly small; only 1 case out of 210 died. This patient most likely had a profuse hemorrhage because of a ruptured tube before her admission to the hospital. 17. The patients personal feelings and attitudes must be treated with care. Particularly patients who are concerned about vaginal bleeding or the impossibility of another pregnancy.

  • PDF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중의 혈역학적 변수들의 변화양상 및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Hemodynamic Changes during Off-Pump Coronary Bypass Grafting and Their Effects on Postoperative Outcome)

  • 허재학;장지민;김욱성;장우익;이윤석;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76-582
    • /
    • 2003
  •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중에 심장을 조작하는 동안 심근의 수축력이 저하되고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의 여러 가지 혈역학적 지표들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이러한 혈역학적 지표의 변화가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시행한 71명의 관상동맥 우회수술 환자 중에서 심페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동맥압, 폐동맥압, 혼합정맥산소포화도, 심박출계수 등을 심장을 들어올리기 전과 목표관상동맥을 노출하여 관상동맥을 고정한 후, 그리고 혈관이식편의 원위부 문합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수술 후에는 CK-MB, Troponin I 등 심장효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수술 후 강심제의 요구량, 수술 후 출혈량 및 수혈량, 수술 후 인공호흡기 보조시간 및 수술 후 중환자실 체류시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당 평균 원위문합수는 2.8$\pm$0.9개이었다. 심장을 들어올려 고정기로 고정할 때 심장의 모든 위치에서 혈압의 하강과 폐동맥압의 상승이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문합을 시행하는 동안에는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심장효소 농도는 수술 후 1일째 치고치를 보여, CK-MB 29.2$\pm$46.7, troponin 10.69$\pm$0.86이었다 수술 중에 혈역학적 변수들 중에서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와 혈관수축제의 정맥내 일시주사 등이 수술 후 심장효소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심장 효소 이외의 다른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 중에 유의한 혈역학적 변화는 심장을 들어올려 고정할 때 발생하였으며, 문합하는 동안에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중에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가 나타났거나,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혈관수축제의 정맥내 일시주사 등이 필요하였던 군에서 수술 후 심장효소 농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수술 후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술 중의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나 혈관수축제의 일시주사의 필요여부가 수술 중의 허혈성 손상을 나태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 (Minimally Invas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나찬영;이영탁;박중원;정도현;정일상;정윤섭;김욱성;방정현;이섭;정철현;김웅한;박영관;김종환;홍승록;한재진;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18-124
    • /
    • 1998
  • 관상동맥우회술은 인공심폐기 및 심근보호의 안정성으로 인공심폐기 사용하에 시행하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좌전하행지 및 우관상동맥에 병소가 위치하는 경우는 인공심폐기의 사용 없이 심장이 박동하는 상태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방법도 일부에서는 시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최소한의 절개하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방법도 대두되었다. 본 병원에서는 1996년 3월부터 8월까지 시행한 35례의 관상동맥우회술중 6례에서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4례와 여자 2례였으며 나이는 55세에서 76세로 평균 64세였다. 수술전 관상동맥의 병소는 6례 모두 좌전하행지에 90%이상의 협착을 보였으며 1례는 대각지가 50%, 또 다른 1례에서는 좌주관상동맥이 50%정도의 협착을 동시에 보였다. 수술에 필요한 개흉방법은 통상적인 정중흉골절개가 1례, 부분흉골절개술을 시행한 경우가 2례, 좌측전흉부를 개흉한 경우가 3례였다. 관상동맥우회술은 5례에서 좌측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였으며, 1례에서는 좌측내흉동맥에 요골동맥편을 단단문합한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였다. 또한 1례는 복재정맥을 이용하여 대각지에도 동시에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기관발관시간은 4시간에서 14시간으로 평균 9시간이었다. 수술에 사용한 혈액의 양은 평균 800 ml였으며 2례에서는 전혀 혈액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들중 5례에서 수술후 추적관상동맥조영술을 술후 7일에서 10일사이에 시행하여 100%의 개통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좌전하행지나 우관상동맥에 협착이 있는 경우나 상기병소에 경피적풍선확장술이 실패한 경우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개흉하에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사료되며 앞으로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적응대상군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32, 88.67$\pm$10.22 mmHg로 감소하였고 폐동맥압의 평균은 수술전에 11.4$\pm$5.68 mmHg에서 25.94$\pm$11.53, 29.67$\pm$9.31 mmHg로 증가 하였으나 모두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05). 양측 폐이식수술에서인 폐동정맥문합부위의 파열, 협착, 뒤틀림 등의 수술수기상의 문제점을 예방하면서 우측폐를 먼저 이식하면서, 폐수술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고, 재관류손상을 방지하는 경우 cystic fibrosis, pulmonary hypertention, emphysema와 같은 심한 호흡부전증 환자의 치료방법으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에서 선택수술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에 비하여 특별한 위험 요소의 증가 관상 동맥 우회술을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장기 추적이 릴요할 된다.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 PDF

식도암의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과 개흉을 통한 식도절제술의 비교 (Transhiatal versus Transthoracic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 박기성;박창원;최세영;이광숙;유영선;이재훈;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96-302
    • /
    • 2002
  • 목적: 흉부식도암환자의 식도절제술 방법에 있어 표준술식은 흉부와 복부를 통한 술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우측 개흉과 더불어 흉부와 복부를 통한 Ivor-Lewis 술식(ILO)과 식도열공을 통한 transhiatal esophagectomy술식(THO)간에 논란이 많다. THO 술식은 수술시간, 이환률, 사망률, 재원기간 등에 좀 더 좋은 결과을 얻을 수 있다고 하나, ILO술식에 비해 전이된 임파선 제거에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은 사실이 다. 이에 본 연구는 식도열중을 통한 식도절제술과 개흉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의 여러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식도암 환자 103례에서 식도암절제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식도열공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THO)한 환자 27례와 우측개흉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ILO)한 환자 45례를 각각 두 군으로 나누어 술 전, 술 후 결과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비는 THO군 27례와 ILO군 45례에서 각각 1명씩 여자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THO 군에서 2례, ILO군 1례에서 선암이었고 나머지 모두 편평 상피암이었다. 술 전 나이와 성별, 폐기능, 조직소견, 병기, 식도암 위치에서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식도암 길이와 수술시간에 대해서는 THO군 3.81 cm, 354분, ILO 군 5.31 cm, 453분으로 각각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0.001). 그리고 합병증 중 호흡기계에 관련된 합병증이 THO 군 11.1%, ILO 군 35.6%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술증과 수술 직후의 수혈양, 술 후 재원일수, 합병증률, 문합부위 누출 및 문합부위 협착, 병원 사망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5년 생존률은 각각 37%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병원 사망률, 술 후 합병증률, 장기 생존률 등에는 두 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술 후에 병원사망률과 연관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에 하나인 호흡기계 합병증은 ILO 술식에서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