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cockl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10
  •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노출선별 꼬막, Tegillarca granosa 치패의 출현과 분포 (Spats Appearance and Distribution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in Each Tidal Time and Line)

  • 문태석;정민민;양문호;위종환;이정호;신연식;신윤경;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자연산 종패를 활용한 꼬막 양식을 위해서 먼저 자연산 치패의 발생시기 및 노출선별 분포와 성장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치패 발생 및 성장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양식장 조성과 치패의 채집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당년생 꼬막치패의 노출선별 분포와 성장을 조사한 결과, 꼬막 치패는 노출선 $2{\sim}3$ 시간대에 주로 분포하며, 성장도 노출선 $1{\sim}3$ 시간대에서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반면 노출선 $5{\sim}6$ 시간대에서는 당년생 꼬막 치폐를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월별 관찰된 치패의 각장 성장을 분석하여 보면 12월에 각장 $4.7{\pm}1.0 mm$의 치패는 1월 $5.2{\pm}1.2 mm$, 5월 $5.4{\pm}0.9 mm$, 6월 $8.5{\pm}0.8mm$, 7월 $12.6{\pm}1.1 mm$, 8월 $16.0{\pm}2.1 mm$, 9월 $18.6{\pm}1.4 mm$ 그리고 10월에는 $20.3{\pm}1.3 mm$ 까지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 해 10월에는 자연어장에서 생산된 새로운 치패군의 가입이 관찰되었다.

각고조성을 이용한 남해안 여자만 꼬막의 연령과 성장 (Shell Height Frequency using of Age and Growth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Linnaeus) in Ye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장대수;문태석;정민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5-141
    • /
    • 2006
  • 남해안 여자만에서 출현하는 꼬막, Tegillarca granosa(Linnaeus) 에 관한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7-8월에 발생한 꼬막 치패는 당해 10월에 각고 약 5.60 mm $({\pm}\;1.07)$로 최초로 나타났으며, 이 후 고수온기에는 급속히 성장하다가 10월 이후 저수온기에는 거의 성장이 정지하였고, 이듬해 수온 증가와 함께 급격히 성장하였다. 꼬막은 발생 후 약 11-15 개월이 경과하는 6-9월에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고, 이론적 최대각고 (크기) 의 약 29% 정도가 이 시기에 성장하였다.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한 꼬막의 연령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산정되었다. $I_t(sh_t)=46.1317\;(1-e^{-0.4997(t-0.5828)})$.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수온내성과 생리적 변화 (Temperature Tolerance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신윤경;문태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1-256
    • /
    • 2005
  • For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acclimated to winter and summer seasons, survival, temperature tolerance and physiological changes at different individual siz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temperature tolerances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emperature at a rate of 1, 2 and $3^{\circ}C/day$. The survival rate of adults and juveniles T. granosa acclimated to winter temperatures began to decrease from $32^{\circ}C$ and all experimental animals died between $37-39^{\circ}C$. In the case of animals acclimated to summer temperatures, the survival rates of adults and juveniles began to decrease from $35^{\circ}C$, and all died at temperatures between $40-44^{\circ}C$. The upper $LT_{50}$ was $27.72^{\circ}C$ for adults and $28.36^{\circ}C$ for juvenil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4^{\circ}C\;to\;0^{\circ}C$ in order to investigate lower temperature tolerances, the survival rate of T. granosa was more than $70\%\;at\;2^{\circ}C$ for 25 days. Lower L T 50 was $2.09^{\circ}C$ for adults and $2.34^{\circ}C$ for juveniles. There was no effective difference in temperature tolerance between adults and juveniles.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of T. granosa showed a similar aspect with increase and decrease of temperature.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exhibited irregular conditions of a broken biological rhythm as the group acclimated to winter $(10 ^{\circ}C)$ and summer $(25^{\circ}C)$. In the case of decreasing temperature,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of T. granosa reduced to a minimum below $6^{\circ}C$

여자만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의 생리적변화 및 계절별 에너지수지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이원찬;김성연;전제천;김응오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5-211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physiological rates of oxygen consumption, ammonia excretion, feeding rates, O/N ratio and assimilation efficiency of the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determined from specimens collected in Yeoja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monthly under static,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s with ambient conditions,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seasonally in order to estimate scope for growth and its probable sources of variation.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rates have been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with the highest value of August, 2008. Feeding rate was the highest during April whereas the lowest was during August which is a period of gametogenesis with minimum biomass of phytoplankton around sampling area. Assimilation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asonally and O/N ratio decreased during July to August. The scope for growth was negative during high temperature months(July to August), reflecting the high temperature and low feeding rate, and had its highest positive values during spring and autumn. Data on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scope for growth of Scapharca subcrenata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assess the carrying capacity for blood cockle cultivation.

여자만 북서부 꼬막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2.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A Chare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a Blood Cockle Farms of the Northwestern Yeoja Bay, Korea 2.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 윤양호;이현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79-592
    • /
    • 2020
  •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 어장의 수괴(수형), 영양염 등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봄(5월), 여름(8월) 및 가을(11월) 7개 정점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꼬막어장의 수형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계절특성이 명확하였다. 영양염 중 규산염은 연중 풍부였지만, 봄과 여름은 인산염이 결핍되었고, 가을은 질소원이 결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출현종은 매우 단순하였으며, 현존량도 매우 낮았다. 우점종은 연중 규조류에 우점 되어, 봄은 Skeletonema costatum-ls, Nitzschia longissima, 여름은 Pleurosigma normanii, Coscinodiscus gigas, 가을은 N. longissima, Pseudonitzschia pungens, Chaetoceros curvisetus, Eucampia zodiacus가 우점 출현하여, 여름에 편모조류 출현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상관분석과 주성분 분석의 결과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어장의 생물 해양학 특성은 계절에 따라 수질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많은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육상에서 공급되는 무기 및 유기물질 및 낮은 수심으로 해수혼합에 따른 표층퇴적물의 재부유에 의한 영양염 공급, 그리고 해역자체의 생물생산과 무기화 과정의 균형에 의해 해양환경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산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자만 북서부 꼬막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1. 먹이생물로서 Chlorophyll a 농도,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A Chare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a Blood Cockle Farm of the Northwestern Yeoja Bay, Korea. 1.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Particulate Organic Carbon & Nitrogen)

  • 윤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99-309
    • /
    • 2019
  • 여자만 북서해역에 위치하는 꼬막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중 먹이생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5월에서 11월까지 계절별로 7개 정점의 표층과 저층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먹이생물 항목인 Chlorophyll a (Chl-a), 입자태 유기탄소(POC), 입자태 유기질소(PON) 및 POC/PON ratio, POC/Chl-a ratio 등을 분석 및 산출하였다. 결과 Chl-a 농도, POC 및 PON은 각각 $1.69-7.68{\mu}g{\cdot}L^{-1}$(표층 평균 $3.48{\mu}g{\cdot}L^{-1}$), 0.88-2.58 mM(평균 1.97 mM) 및 0.17-0.90 mM(평균 0.54 mM)을 나타내어, 봄과 여름에 높고 가을에 낮은 농도를 보였다. 우점 출현하여, 기존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층별로는 Chl-a와 POC는 저층이 표층보다 높았고, PON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다. POC/PON ratio 및 POC/Chl-a ratio는 각각 1.56-7.88 (표층 평균 3.71) 및 216-967 (표층 평균 700)를 나타내어, 탄소원 대부분은 표층퇴적물에 침강 축적된 입자태 유기물로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여부분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막 북서해역의 꼬막양식장의 먹이자원은 양적으로는 풍부한 것처럼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존과 대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and Metabolism of ark shell, Tegillarca granosa)

  • 문태석;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1-177
    • /
    • 2010
  • We examined physiological responses related to the survival,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 of the blood cockle, Tegillaarca granosa as a result of salinity changes. The 44-day $LS_{50}$ (median lethal salinity) at $10^{\circ}C$ for adult and juvenile was 15.8 (confidence limits 13.5-18.2 psu) and 16.2 (confidence limits 14.1-18.4 psu) psu respectively, whereas the 11-day $LS_{50}$ at $25^{\circ}C$ for adult and juvenile was 16.8 psu (confidence limits 12.9-21.2 psu) and 22.4 (confidence limits 20.5-24.7 psu) psu respictively. In conditions of decreasing salinity,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s decreased or varied irregularly as salinit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e important in investigating causes of mass mortality and managing shellfish aquaculture f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