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Pressure

검색결과 4,637건 처리시간 0.037초

심장혈관용 약물코팅풍선카테터의 개발 동향 (The Developing Trend of Cardiovacular Drug Coated Balloon Catheter)

  • 박정훈;조원일;변대흥;강소영;남충현;서경우;박준규
    • 공업화학
    • /
    • 제33권5호
    • /
    • pp.545-550
    • /
    • 2022
  •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서구화된 식습관에 의해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등에 의한 심장질환자의 수가 5년간 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심장질환은 지난 8년간 꾸준히 국내 사망원인 2위를 기록 중이며, 이로 인해 연간 소모되는 의료비는 6조원에 달한다. 증가한 환자와 함께 다양한 치료법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보편화 된 관상동맥중재시술 중 스텐트 삽입술의 단점인 재협착이나 장기간 이중항혈소판제 복용으로 인한 출혈의 위험 증가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약물코팅풍선카테터가 개발되어 점차 상용화되고 있는데, 국내에선 2010년 'SeQuent Please (비브라운코리아)'라는 제품이 처음 출시되면서 약물코팅풍선카테터를 사용한 시술이 시작되었고, 이후 2012년 보험급여가 적용되면서 그 사용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났다. 약물코팅풍선치료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산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동물시험 및 임상시험에서의 성능이 입증된다면 위험성이 높은 스텐트 삽입술에 비해 효과적인 시술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반응표면법에 의한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K79를 이용한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활성 향상을 위한 탈지유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kim Milk Fermentation Conditio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Improve ACE Inhibitory Activity Using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79)

  • 박유경;홍상필;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는 L. plantarum K79를 이용하여 ACE 억제활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발효조건을 RSM을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였다. 4개의 독립변수[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6%-14%), 배양 온도(32℃-42℃), 배양 시간(8-24시간), 스타터 첨가량(0.02%-0.2%)] 5단계 중심 합성 설계 및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발효 조건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ACE 억제 활성과 pH였다(이때 ACE 억제율은 조건별 발효원액에서 100배 희석하여 나타낸 값이다). 결정 계수(R2)는 ACE 억제 활성, pH에 대해 각각 0.791, 0.905이었다. 최대 ACE 억제 활성은 10% 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 37℃ 배양 온도, 17.8 h 배양 시간 및 0.2% 스타터 첨가량 조건에서 90%이었다. RSM에 기초하여 예측된 최적 발효 ACE 조건은 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 13.49%, 스타터 0.0578%, 배양온도 33.4℃에서 21.5시간 동안 배양할 때 ACE 억제 활성 및 pH의 예측 값은 86.69% 및 pH 4.6이었으며 실제 값은 각각 85.5%와 pH 4.58이었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 손성민;강진호;박아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7-2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6명이다. 청각자극 중가는 음악의 볼륨을 통해 조절되었고, 60dB, 65dB, 70dB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Xeno 손목형 심박수와 혈압 측정기(LHY Health, Co., China)를 활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손 기능의 측정은 퍼듀 페그보드를 활용하여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8 health survey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손 기능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건강관련 살의 질은 청각자극 적용 후 감소하였다. 이에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심막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청각자극 증가는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불편감으로 작용하게 되어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의 감소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자극에서 청각자극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여정엽(女貞葉) 추출물의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in db/db Mouse)

  • 이윤정;이윤재;윤정주;이소민;김혜윰;신선호;강대길;이호섭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7-114
    • /
    • 2012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leaves of Ligustrum japonicum (WLJ) in db/db mouse. Methods : The db/db mice were treated orally with WLJ (300 mg/kg/day) for 10 weeks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n hyperglycemia and glomerular tissue as well as biochemical and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 kidney. Results : WLJ treatment markedly reduced plasma levels of glucose, triglyceride, creatinin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 diabetic db/db mouse. Treatment of WLJ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We also found that overexpressions of vascular cellular adhesion molecule (VCAM)-1 and endothelin (ET)-1 were observed in aortic tissue of db/db mouse, whereas, WLJ suppressed both expression of VCAM-1 and ET-1 in aorta. In renal tissue, overexpressions of ICAM-1 and TGF-${\beta}1$ were found in untreated db/db mouse, however,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levels by WLJ treatment. The insulin immunoreactivity of the pancreatic islets remarkably increased in WLJ treated db/db mouse compared with untreated db/db mouse. Taken together, WLJ treatment ameliorated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via improvement of insulin secretion and lipid metabolism, respectively. Furthermore, WLJ treatment also ameliorated hypertension via inhibi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vascular and renal tissues. Conclusions : Ligustrum japonicum has an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db/db mouse. Thus, these results suggested a beneficial effect of Ligustrum japonicum in treatment with diabetes and diabetic vasculopathy.

글라이포세이트 중독 환자에서 포함된 염의 종류에 따른 예후의 차이 (The Prognosis of Glyphosate herbicide intoxicated patients according to their salt types)

  • 정민규;금경탁;안성준;김용환;이준호;조광원;황성연;이동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92
    • /
    • 2021
  • Purpose: Glyphosate herbicide (GH) is a widely used herbicide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tality as poisoned cases increases. One of the reasons for high toxicity is thought to be toxic effect of its ingredient with glyphosat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ourse with the salt-type contained in GH.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at a single hospital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We enrolled GH-poisoned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ccording to salt-type,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isopropylamine (IPA), ammonium (Am), potassium (Po), and mixed salts (Mi) groups. The demographics, laboratory variables, complications, and their mortality were analyzed to determine clinical differences associated with each salt-type. Addtionally, we subdivided patients into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for investigating predictive factors for the mortality. Results: Total of 348 GH-poisoned patients were divided as follows: IPA 248, Am 41, Po 10, and Mi 49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mographic or underlying disease history, but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as low in Po group. The ratio of intentional ingestion was higher in Po and Mi groups. Metabolic acidosis and relatively high lactate level were presented in Po group. As the primary outcome, the mortality rates were as follows: IPA, 26 (10.5%); Am, 2 (4.9%); Po, 1 (10%); and Mi, 1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rtality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dditionally, age, low SBP, low pH, corrected QT (QTc) prolongation, and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predictors for mortality in a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ir complications and the mortality across the GH-salt groups in this study.

응급상황에서 자동인증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의료정보플랫폼 연구 (A Study o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Big Data Processing and Edge Computing for Supporting Automatic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 함규성;강민구;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87-95
    • /
    • 2022
  • 최근 스마트기술의 발달로 의료정보플랫폼에서 환자의 생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인증 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에 있어 환자상황과 이동단말기를 고려한 인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허가를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자동인증지원 의료정보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 연구된 자동인증 시스템은 응급상황에서 사용자인증과 이동단말기인증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위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인증된 의료진과 이동단말기에 부여하는 인증 시스템이다. 환자의 고혈압, 당뇨와 같은 환자상태를 고려한 응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기법을 제안한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또한 환자의 빠른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에지컴퓨팅을 의료정보 서버 앞단에 두어 의료정보 서버 대신 에지컴퓨팅에서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의료정보 서버는 입력된 환자정보와 축적된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판단수치를 도출하고, 에지컴퓨팅에 전달하여 환자 맞춤형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의료정보플랫폼은 빅데이터 처리와 에지컴퓨팅을 통해 환자상태를 고려하고 응급상황을 빠르게 판단하였으며, 자동인증을 통해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인증과, 환자상황과 의료진의 역할에 따른 접근권한 부여를 통해 환자정보를 보호하였다.

A Case of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 with Acute Myocarditis

  • Lim, Jin Gyu;Lee, Da Hye;Oh, Kyung Jin;Choi, Sujin;Song, Young Hwan;Lee, Joowon;Lee, Hyunj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73-180
    • /
    • 2021
  • 2020년 4월에 유럽에서 처음으로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이 확인된 이후, MIS-C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병력이 있는 소아들에게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유럽과 미국에서 보고되었다. 이에 국내에서 진단된 MIS-C 사례로, 급성 심근염이 동반되고 정맥내 면역글로불린(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스테로이드 및 anakinra로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내원 5주 전 COVID-19 진단받은 병력이 있는 14세 여아가 지속되는 고열, 전신 발진 및 부종, 복통, 그리고 저혈압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에서 염증수치 및 심장효소수치 상승을 보였고 감염질환을 비롯하여 다른 질환이 배제되었다. 환자는 MIS-C 진단 하에 IVIG와 고용량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요법으로 치료하였으나 심기능이 점차 악화되고 관상동맥 확장증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6병일부터 인터루킨-1 수용체 길항제인 anakinra를 투여하였고 이후 점차 환자의 심기능이 호전되었다. 환자는 제19병일에 퇴원하였고 1개월 후 시행한 심초음파상 심기능 및 관상동맥이 정상화되었다.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Who Underwent Craniotomy and Its Influence on Prognosis

  • Geng Huan Wang;Yu Yan;He Ping Shen;Zhengmin Ch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332-339
    • /
    • 2023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imbalance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BI) who underwent craniotomy and its influence on prognosis. Methods : A total of 156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TBI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June 2019 to June 2021. All patients underwent craniotomy and intracranial pressure (ICP) monitoring. We aimed to explo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isturbanc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lectrolyte disturbance on prognosis. Results : A total of 156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TBI were included. There were 57 cases of hypernatremia, accounting for 36.538%, with the average level of 155.788±7.686 mmol/L, which occurred 2.2±0.3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25 cases of hyponatremia, accounting for 16.026%, with the average level of 131.204±3.708 mmol/L, which occurred 10.2±3.3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three cases of hyperkalemia, accounting for 1.923%, with the average level of 7.140±1.297 mmol/L, which occurred 5.3±0.2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75 cases of hypokalemia, accounting for 48.077%, with the average level of 3.071±0.302 mmol/L, which occurred 1.8±0.6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105 cases of hypocalcemia, accounting for 67.308%, with the average level of 1.846±0.104 mmol/L, which occurred 1.6±0.2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17 cases of hypermagnesemia, accounting for 10.897%, with the average level of 1.213±0.426 mmol/L, which occurred 1.8±0.5 days after injury. There were 99 cases of hypomagnesemia, accounting for 63.462%, with the average level of 0.652±0.061 mmol/L, which occurred 1.3±0.4 days after injury.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at admission, pupil changes, ICP, hypernatremia, hypocalcemia,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epilepsy, cerebral infarction, severe hypoproteinemia were statistically abnormal (p<0.05), while gender, hyponatremia, potassium, magnesium, intracranial infection, pneumonia,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hypertension, diabetes, abnormal liver function, and abnormal renal fun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fter adjusting gender, age, GCS, pupil changes, ICP, epilepsy, cerebral infarction, severe hypoproteinem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ypernatremia or hypocalcem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hypocalcemi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ypomagnesemia, hypokalemia, hypernatremia, hyponatremia and hypermagnesemia. Hypocalcemia, hypomagnesemia, and hypokalemia generally occurred in the early post-TBI period, hypernatremia occurred in the peak period of ICP, and hyponatremia mostly occurred in the late period after decreased ICP. Hypernatremia combined with hypocalcemia was associated with prognosis.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on the Elderly)

  • 이미진;최정기;김소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93-104
    • /
    • 2023
  • 고령화로 인해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노인성 질병 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문헌을 분석하여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을 위해 국내는 RISS, KISS, Korea Med, Science On, 국외는 PubMed, Cochrane central, MDPI,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문헌의 방법론적인 질적 평가를 위해 코크란 그룹의 RoB2와 RoBANS를 이용하여 비뚤림 평가를 진행하였다. 2000년부터 2022년 1월 사이에 게재된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여 총 1,856편에서 최종 21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60세 이상이며, 선정된 문헌의 참가자는 최소 7명에서 최대88명으로 총 750명이 참가하였다. 분석결과, 각 지표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검사는 심리지표에서 우울 7편, 인지지표에서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편, 생리지표에서 혈압 4편, 생화학지표에서 멜라토닌 2편, 신체지표에서 체지방과 근력 3편으로 나타났다. 총21편의 연구 중 19편의 연구가 2가지 이상의 검사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지표를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향후 노인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인지기능 예방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산림치유 활동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후속연구는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의 신체구성 및 신체활동 참여 실태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

  • 이미경;민지희;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465-472
    • /
    • 2016
  •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시내 소재 Y대학병원 암예방센터에 방문한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지 4년이 지난 암경험자 354명(위암: 169명, 대장암: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의 한글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추가로 주당 걷기운동량과 근력운동 횟수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경험자가 위암 경험자보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압 및 당뇨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강도 신체활동 150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75분 이상 참여하는 위암 경험자는 41.4%, 대장암 경험자는 26.5%로 위암 경험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2회 이상 근력운동에 참여한 환자는 전체 평균 13.6%로 나타났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활동참여율이 높았고, 65세 미만이 65세 이상 그룹보다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좌식생활은 낮게 나타났다. 대장암과 위암 경험자들의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진시키지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과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율의 증진에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