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ating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2초

기능성 자궁출혈 치험 2례 증례보고 (Case Reports on Two Patients with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 김미선;신현종;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10-51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wo treatment case of patient with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Each patient has received the Korean Medicinal treatment including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ation twice a week for a month or six months. This efficacy of treatment was evaluated with the degree of bleeding by the number of pad used per day. After finishing treatment, two patients had stopped bleeding, and their menstrual cycle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Moreover, additional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ing leukorrhea, hot flush, bloating, feeling tired and irritability which refers to the premenstrual syndrome were also alleviated. This case report showed that the acupuncture, moxibustion, and the herbal medicinal treatment can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the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산양(山羊)의 요소중독(尿素中毒)에 관한 병리학적(病理學的) 연구(硏究) (Pathological Studies on Urea Poisoning in Milk Goats)

  • 김순복;정운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3-237
    • /
    • 1982
  • Pathological studies on 6 milk goats administrated with urea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poisonings on the animal. Clinical signs appeared about 10 minutes after ingestion of the urea and they consisted chiefly in dullness, staggering, uncontrolled urination, dyspnea, frothy salivation, bloating, muscular tremor, humping of back and tetanic spasms. Macroscopic lesions were failure of blood clot, frothy and bloody contents in the highly congested respiratory tract, pulmonary edema, rumenitis and abomatitis accompanying with petechiation of the upper small intestine. Microscopically, the liver showed vacuolar degeneration, fatty change and areas of necrosis and partial proliferation of the interlobular connective tissues in chronic crises. The renal epithelium displaced vacuolar degeneration, necrosis and hyaline casts in their lumens. In the lungs, there were hyperemia, edema, hemorrhages, and acute catarrhal bronchitis. Neuronal degeneration and necrosi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atarrhal rumenitis, abomatitis, doudenitis and myocardial hemorrhage were also demonstrated.

  • PDF

소화불량증에서 호발하는 두통의 위장질환과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Frequently Occurring Headache from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Dyspepsia)

  • 최영규;김재관;최서형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3
    • /
    • 2010
  • Objectives: Since we found patients with dyspepsia as their major symptom had high rate of headache, would like to find out a rational diagnosis ground by using EAV correlation between headache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Methods: We did survey and EAV inspection on 128 patients came by gastrointestinal disorder who quoted 4 and 5 degree for their headache symptoms) Results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rom dyspepsia, we saw higher rate by order of epigastric discomfort, bloating, stomach trouble, bleching, etc. 2. By EAV analysis, found functional deterioration by order of stomach, nerval degeneration vessel, gall bladder/bile duct, liver. 3. By EAV analysis, functional deterioration of stomach, gall bladder/bile duct, liver represent dyspepsia and nerval degeneration vessel represent headache. We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dyspepsia and headache by observation at a time.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 위마비증 1례 (A Case of Postviral Gastroparesis in a 7-year-old Boy)

  • 김을순;김진숙;박재옥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73-78
    • /
    • 2002
  • 저자들은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 복부 팽만과 불편감을 호소하는 7세 남아에서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측정한 위배출 시간의 지연이 확인 된 후, domperidone과 erythromycin 치료와 식이 조절로 호전된 특발성 위마비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ietary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for the relief of irritable bowel syndrome

  • Kim, Mi-Young;Choi, Sang-W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4호
    • /
    • pp.411-430
    • /
    • 2021
  •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a frequently diagnosed gastrointestinal (GI) disorder characterized by recurrent abdominal pain, bloating, and changes in the stool form or frequency without any structural changes and overt inflammation. It is not a life-threatening condition but causes a considerable level of discomfort and distress. Among the many pathophysiologic factors, such as altered GI motility, visceral hypersensitivity, and low-grade mucosal inflammation, as well as other immunologic, psychologic, and genetic factors, gut microbiota imbalance (dysbiosis), which is frequently found in IBS, has been highlighted as an etiology of IBS. Dysbiosis may affect gut mucosal homeostasis, immune function, metabolic regulation, and even visceral motor function. As diet is shown to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gut microbiota profile, this review discusses the influence of diet on IBS occurring through the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appears that dietary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 may be effective for the alleviation of IBS symptoms and, also an effective IBS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underlying mechanism; especially because, IBS currently has no specific treatment owing to its uncertain etiology.

스폰지 케이크에 함유된 프락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이 여대생의 변비개선에 미치는 효과 (Improving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Contained in Sponge Cakes on the Constip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미라;이경애;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21-626
    • /
    • 2003
  • 설탕의 40%를 프락토올리고당이나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대치하여 구운 스폰지 케이크를 2주간 섭취하게 하여 여대생의 변비개선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두 올리고당 모두 섭취 후 배변 횟수와 변의 경도를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다.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를 섭취한 군에서는 배변시간이 섭취 1주 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를 섭취한 군에서는 변의 모양, 변색, 배변 시 노력과 배변 후 상쾌함 등이 섭취 전보다 섭취 후에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섭취 중에 나타난 소화장애 현상으로는 설사, 복통, 메스꺼움, 더부룩함, 방귀, 식욕 감소, 체중감소, 복부 팽만감 등이 나타났고,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 섭취 군에서는 이들 장애현상 중 복부 팽만감이나, 방귀, 메스꺼움 현상이 섭취 후 1~2시간 안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험 기간 내내 지속되었다. 반면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를 섭취한 군에서는 2~3일 정도 소화장애 현상이 나타났으나, 그 후에는 섭취 후에 장애 현상이 없어졌다. 섭취종료 일주일 후에는 프락토올리고당에 의한 소화장애 현상은 곧 사라졌으나, 대부분의 피검자들은 섭취 전에 나타난 변비현상이 다시 나타났다. 배변상황의 개선여부와 소화장애 현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두 올리고당 모두 인체의 장기능 개선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비교적 안전성이 좋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 섭취가 변비 치료에는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유동층(流動層) 연소기(撚燒器)로 부터 발생(發生)된 석탄(石炭) 비산(飛散)재를 이용(利用)한 인공경량골재(人工輕量骨材) 제조(製造) (Manufacturing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using a Coal Fly Ash Discharged from Fluidized Bed Combustor)

  • 강민아;강승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54-60
    • /
    • 2011
  • 유동층 연소 방식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된 석탄 비산재를 점토와 혼합하여 8 mm 크기의 구형 성형체를 제조한 후, $1050^{\circ}C{\sim}1250^{\circ}C$에서 10분 직화 소성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고, 골재의 발포특성에 미치는 비산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산재가 50 wt% 미만으로 첨가원 시편은 발포되면서 black-coring 현상을 나타내었다. 비산재가 50 wt% 이상 포함되면, 소성온도와 함께 골재의 부피비중이 높아지면서 시편 전체가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이는 미연탄소 함량의 증가로 인해 과도한 환원분위기가 형성되고 따라서 가스가 급속히 방출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산화철이 환원되기 때문이다. 소성온도가 같을 경우 비산재 함유량이 높을수록 골재의 부피비중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비산재 첨가량이 10 wt%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시편들은 소성 온도를 높이면 홉수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온일수록 액상이 많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유통층 연소기 석탄 비산재에 점토가 10~90 wt% 첨가된 시편들은 부피비중이 0,9~1.8, 흡수율이 8~60%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어 중량 내지 경량골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승온조건으로 제조된 인공골재의 특성 (Properties of artificial aggregates fabricated with various heating conditions)

  • 김강덕;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301-306
    • /
    • 2010
  • 준설작업 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인 준설토를 이용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였다. 소성조건에 따른 다양한 비중과 흡수율의 골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투입온도($800{\sim}1000^{\circ}C$), 배출온도($1100{\sim}1200^{\circ}C$) 및 승온속도($5{\sim}10^{\circ}C$/min)를 변화시켜 소성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공골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입온도가 낮을 경우 골재의 비중은 높고 흡수율은 낮은 특성을 나타냈으며, 투입온도가 높아지면 골재 내부에 기공이 다량 형성되고 비중은 낮아지고 흡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투입온도 증가에 따라 골재 내부의 블랙코어(black core) 현상도 두드러졌다. 한편 배출온도가 높아질수록 골재 내부에 거대기공이 발생하는 발포특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그 효과는 투입온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승온속도가 $5^{\circ}C$/min에서 $10^{\circ}C$/min로 증가하면, 골재의 비중은 낮아지고, 흡수율이 높아져 골재의 경량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자체적으로 가스성분과 융제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준설토는 소성조건에 따라 경량부터 중량의 다양한 비중과 흡수율의 인공골재 제조가 가능함을 알았다.

석탄바닥재가 포함된 인공골재의 경량화에 미치는 적니 영향 (Influence of red mud additive on lightening of artificial aggregates containing coal bottom ash)

  • 강민아;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11
  • 폐기물인 석탄바닥재와 준설토가 70 : 30(wt%)으로 혼합된 배치분말에 적니를 0~30 wt% 첨가하고 $1050{\sim}1250^{\circ}C$에서 10분 직화 소성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인공골재의 발포특성에 미치는 적니 첨가량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중 및 흡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미세구조 결과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인공골재는 소성온도 및 적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포성이 향상되어 경량화 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1050{\sim}1150^{\circ}C$ 범위로 소결된 대부분의 인공골재는 잘 형성된 블랙코어 구조를 가졌으나, 적니가 첨가되고 $1200^{\circ}C$ 이상으로 소결된 시편들은 $Fe_2O_3$의 환원에 의한 과량의 가스 방출 및 액상 형성으로 인하여 블랙코어 부분이 시편 표피를 뚫고 나오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적니 30 wt%를 함유한 시편은 $1100^{\circ}C$ 이상으로 소결하면 폭발되어 여러 조각으로 흩어졌다. 본 연구에서 $1200^{\circ}C$에서 소결된 시편의 부피비중은 적니가 첨가되지 않은 것은 1.2, 적니가 20 wt% 첨가된 것은 1.0 이하의 경량골재 특성을 나타내었다.

네 마리의 소양감을 보이는 비둘기에서 발생한 진드기 감염(Mite Infection)의 성공적인 Ivermectin 치료 증례 (A Successful Therapy of Mite Infection with Topical and Spray Application of Ivermectin in Four Pruritic Pigeons)

  • 이소영;박철;김하정;정동인;강병택;김주원;임채영;고기진;조수경;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3-185
    • /
    • 2006
  • 동일 새장에서 함께 사육되는 네 마리의 비둘기가 두부, 경부, 겸부의 심한 탈모, 소양감, 그리고 발적을 주 증상으로 하여 내원하였다. 이들은 약간의 움직임 저하를 보였으나, 식욕은 정상이었다. 경부 깃털 부분의 피부 소파 검사(scraping examination)상에서 외부 기생충 감염이 확인되었다. 외부 기생충은 형태학적 검사 상에서 진드기로 진단되었으며, 총 백혈구 검사(CBC)에서, 호산구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비둘기에게는 ivermectin (200 mcg/kg 국소적으로 2주마다 2회 적용, 스프레이 1회 적용)이 적용되었다. 임상 증상은 첫 처치 후 45일이 지나 현저히 호전되었다. 이번 임상 증례 보고서에서는, 새의 진드기 감염인 경우에는 피부의 심한 탈모, 소양감, 그리고 전신적인 발적 등의 임상 증상 및 행동상의 문제가 나타나며 이에 대한 처치로는 ivermectin의 국소적인 처치가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