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ind watermarking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4초

Adaptive Blind Watermarking Algorithm Using Biased-Shift of Quantization Coefficient

  • Seo Young Ho;Cho Hyun Jun;Kim Dong Woo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32-835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blind watermarking algorithm to use characteristics of a scalar quantizer which is similar with the recommended in the JPEG2000 and JPEG. This algorithm shifts a quantization index according to the value of each watermark bit to prevent losing the watermark information during the compression by quantization. Therefore, the watermark is embedded during the process of quantization, not an additional process for watermarking, and adaptively applied as an assigned quantizer according to application area. In the embedding process, a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is used to hide the watermarking positions. Therefore the embedded watermark can be extracted by only the owner who knows the initial value of LFSR without the original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atisfies the robustness and imperceptibility corresponding to the major requirement of watermarking.

  • PDF

다중 웨이블릿 변환과 이진영상을 이용한 Blind 워터마킹 (Blind Watermarking Using by Multi-wavelet Transform and Binary Image)

  • 김태호;박무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3-416
    • /
    • 2005
  • 컴퓨터의 발달과 의료기기의 디지털화로 인해 의료영상 분야도 디지털화되고 있다. PACS 시스템의 구축으로 의료영상의 데이터 베이스화와 원격 진료 및 저장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디지털 의료영상의 불법복제, 소유권 및 데이터 인증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환자의 사생활 보호와 의료영상 자체의 소유권, 재산권의 여부 및 데이터 변형 여부의 판별을 위하여 디지털 워터마킹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여러 가지 워터마킹 기법들은 Non-Blind 방식에서는 원 영상이 필요하다는 점과 Blind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육안으로는 식별이 힘든 양극 워터마크를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Blind 워터마킹에서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이진 워터마크 영상을 다중 웨이블릿 변환하고, 원 영상을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영상의 중간 주파수대에 Circular Input 방식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이진영상을 이용한 워터마킹 기법 (The Watermarking Method Using by Binary Image)

  • 임현진;이승규;김태호;박무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06
  • 컴퓨터의 발달과 의료기기의 디지털화로 인해 의료영상 분야도 디지털화되었다. 그 결과 디지털 의료영상의 불법복제, 소유권 및 데이터 인증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환자의 사생활 보호와 의료영상 자체의 소유권, 재산권의 여부 및 데이터 변형 여부의 판별을 위하여 디지털 워터마킹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여러 가지 워터마킹 기법들은 Non-Blind 방식에서는 원 영상이 필요하다는 점과 Blind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육안으로는 식별이 힘든 양극 워터마크를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Blind 워터마킹에서 양극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이진 워터마크 영상을 다중 웨이블릿 변환하고, 원 영상을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영상의 중간 주파수대에 Circular Input 방식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그 방법은 상관도 0.97이라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A Semi-blind Digital Watermarking Scheme Based on the Triplet of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s

  • Chu, Hyung-Suk;Batgerel, Ariunzaya;An, Chong-Koo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552-558
    • /
    • 2009
  • We proposed a semi-blind digital image watermarking technique for copyright protection. The proposed algorithm embedded a binary sequence watermark into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s by using a quantization method. The main idea of the quantization method was to quantize a middle coefficient of the triplet of a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watermark's value. Unlike an existing algorithm, which used a random location table to find a coefficient in which the watermark bit will be embedded: the proposed algorithm used quad-tree decomposition to find a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 for embedding. For watermark detection, an original host image was not required. Thanks to the usage of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s,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d the correlation value, up to 0.43,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algorithm.

Template Recovery of DWT-DFT Composite Watermarking Scheme Using Collinear Cross-Ratio

  • Sepsirisuk, Kasemsuk;Atsuta, Kiyoaki;Kondo, Shoz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225-228
    • /
    • 2005
  • According to a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and digital lifestyle, digital watermarks have been proposed for protection of copyrighted multimedia content. In blind watermark detection, which an original image is not provided, robustness against geometric distortion and compression remains challeng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erceptual blind discrete wavelet transform - discrete Fourier transform (DWT-DFT) composite watermarking scheme that is robust against both general linear transform and JPEG compression. This algorithm constructs an image-dependent watermark in the most significant DWT coefficients, which is determined by using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Strength of watermark is determined from a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profile of a perceptual model. Furthermore, a desired template is inserted into DFT domain of the watermarked image. In new manner, a cross-ratio of four collinear points is used for detecting the templat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is robust against general linear distortion, JPEG compression and various general kinds of attacks in the Stirmark 3.1 watermark evaluation tool.

  • PDF

DCT 및 분산을 이용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Blind Watermarking Using DCT and Variance)

  • 신용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276-12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DCT를 이용한 강인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에서는 $8{\times}8$블록 DCT를 행하였으며, $8{\times}8$블록의 분산, 질감영역 및 평탄영역을 이용하여 워터마크 신호들을 DCT의 직류(DC) 영역에 삽입하였다. DCT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알고리즘에서는 AC 성분보다는 DC성분에서 훨씬 큰 지각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C 성분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면 훨씬 강인해 질 수 있다. 제안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이 기존의 워터마킹 방법보다 JPEG 압축율, Scaling 공격에서 매우 강인함을 확인하였다.

  • PDF

에너지 양자화를 이용한 적응적 블라인드 워터마킹 (Adaptive Blind Watermarking Using Energy Quantization)

  • 홍 베드로;엄일규;김유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C호
    • /
    • pp.1289-1297
    • /
    • 2004
  • 디지털 워터마킹은 지척재산권과 보안성을 결항시키는 기술이다 블라인드 워터마킹은 원본데이터나 삽입한 워터마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운 워터마킹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영역의 에너지 양자화를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공격의 종류와 강도에 따른 영상의 에너지 변화에 대하여 워터마크 추출강도가 적응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강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모의실험에서 상입된 워터마크의 비가시성을 유지하였으며, 잡음첨가, 잘라내기, 블러링, 샤프닝 등의 다양한 공격에 대해서 강인함을 보여주었다.

토널 특성을 이용한 브라인드 오디오 워터마킹 (A Blind Audio Watermarking using the Tonal Characteristic)

  • 이희숙;이우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816-823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토널 특성을 이용한 브라인드 오디오 워터마킹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의 심리음향연구를 통해 토널의 인지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토널 성분이 여러 신호처리 후 변동측면에서 매우 안정적인 특성을 가짐을 다른 워터마크에 이용되는 특성들과 비교하여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널 마스커를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들의 관계를 이용한 브라인드 오디 오 워터마킹(blind audio watermark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이 적용된 오디오에 대한 SDG(Subjective Diff-Grades) 음질평가에서 평균 SDG 0.27의 결과를 얻었고 이는 비지각성 면에서 토널의 인지 영향을 이용한 워터마킹이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time shift를 제외한 여러 신호처리 후의 워터마크 추출 결과는 98%이상으로 제안한 워터마킹의 강인성을 보였다. Time shift처리에 대해서는 시간 축 상에서 최적의 위치를 찾아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추출율 90%의 결과를 얻었다.

  • PDF

웨이블릿 영역에서 근사 계수의 증감 정보를 이용한 블라인드 워터마크 (A Blind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Difference of Approximation Coefficients in Wavelet Domain)

  • 윤혜진;성영경;최태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19-22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lind image watermarking method in wavelet domai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atermark insertion location in blind watermark. We use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ce of LL components to select watermark insertion location, because increment or decrement of successive components is rarely changed in LL band. A pseudo-random sequence is used as a watermar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to various kinds of attacks such as JPEG lossy compression, averaging, median filtering, resizing, histogram equalization, and additive Gaussian noise.

  • PDF

Robust Digital Video Watermarking Algorithm Using Dual Watermarks in Block DCT Domain

  • Kim, Byung-Ju;Lee, Suk-Hwan;Kwon, Ki-Ryong;Ahn, Sang-Ho;Kim, Tai-Suk;Lee, Kuhn-Il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91-797
    • /
    • 2004
  • We proposed a novel digital video watermarking that embeds dual watermarks in the block DCT domain to solve the deadlock problem. Daul watermarks are composed of private watermarks and robust blind watermarks. Firstly, private watermarks are embedded into the lowest AC coefficients of the P or B-frames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direction gained from a previous frame. Secondly, blind watermarks that have the robustness are inserted into the DC coefficients of the I-frames using a private key made from temporal I-frame motion information. Thus, when a deadlock situation occurs, the proposed algorithm can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produce good subjective and objective results for MPEG coding with a variety of bit rates. Furthermore, the proposed watermarking algorithm can potentially be applied to broadcasting monitoring systems due to its simplicity and high robust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