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Vibration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6초

경암층 발파현장에서 진동예측 및 장약량산정 (Vibration Prediction and Charge Estimation in Hard Rock Blasting Site)

  • 박연수;박선준;최선민;문수봉;문병옥;정경열;정태형;황승일;김민중;박상철;김정주;이병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13-319
    • /
    • 2009
  • The blasting has a lot of economic efficiency and speediness but it can damage to a neighbor structure, a domestic animal and a cultured fish due to the blasting vibration, then the public grievance is increased. Therefore, we need to manage the blasting vibration efficiently. The prediction of the correct vibration velocity is not easy because there are lots of different kinds of the scale of blasting vibration and it has a number of a variable effect. So we figure the optimum line through the least-squares regression by using the vibration data measured in hard rock blasting and compared with the design vibration prediction equation. As a result, we confirm that the vibration estimated in this paper is bigger than the design vibration prediction equation in the same charge and distance. If there is a Gaussian normal distribution data on the left-right side of the least squares regression, then we can estimate the vibration prediction equation on reliability 50%(${\beta}=0$), 90%(${\beta}=1.28$), 95%(${\beta}=1.64$). 99.9%(${\beta}=3.09$). As a result, it appears to be suitable that the reliability is 99% at the transverse component, the reliability 95% is at the vertical component, the reliability 90% is at the longitudinal component and the reliability is 95% at the peak vector sum component.

중첩모델링자료를 활용한 발파 동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sting Dynamic Analysis Using Superposition Modeling Data)

  • 박지우;강추원;고진석;장호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280-288
    • /
    • 2008
  • 발파진동은 암반 및 인근 구조물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전 발파진동의 예측과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 발파진동 영향평가를 위하여 시추공이나 시험발파를 통해 획득한 실측진동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추공 발파 진동파형은 실제 발파현장에서 측정된 진동파형과 진동수준이나 진동지속시간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단일공 파형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공 파형의 중첩모델링을 통해 발파조건 변화에 따른 진동파형을 획득하고 이 파형을 이용한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선대구경 수평보링 발파공법(PLHBM)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PLHBM)

  • 백종현;백상현;한동훈;원아람;김창섭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66-76
    • /
    • 2012
  • 발파기술은 굴진효율의 최대화와 동시에 진동, 소음을 최소화 해야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발파효과를 최대한 높이며 진동, 소음을 줄이는 것이 발파기술의 핵심이며 이러한 장점을 가진 터널발파공법인 PLHBM의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PLHBM은 250~1,000mm의 대구경 무장약공을 심발부에 천공하여 발파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발파진동 저감효과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터널발파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LHBM의 설계방법을 연구, 제시함으로써 터널발파공법의 발전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지표발파의 진동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Blasting)

  • 양형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권2호
    • /
    • pp.199-211
    • /
    • 1992
  • Blasting vibrations of 3 quarries and 5 construction sites were measured and investigated with two reference data. Square and cubic root scaled distance were similar in fitness to peak particle velocity of individual blasting site, but the former is better fitted in total. It was suggested that the limit scaled distance for domestic surface blasting be 40kg/$\textrm{cm}^2$ for 10mm/s level and 60kg/$\textrm{cm}^2$ for 5mm/s level, which were lower than the OSM's regulation. Prevailing vibration components were in the order of radial,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s. Prevailing vibration components were in the order of radial,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ons. Site factors K and m were 242 and -1.283 for all studied area, 357 and -1.348 for construction sites, 118 and -1.160 for quarries. Most prevailing frequency was in the range of 10~2Hz. Overlapping effect of delayed blasting vibrations were insignificant. Vibration history of delayed blasting was longer than simultaneous blasting, and it became longer as measuring distance increased. Wave form and predominant frequencies were more complicated for delayed blasting than instantaneous blasting. The influence of blasting scale and measuring distance were not significant to determine peak particle velocity equation.

  • PDF

지하채굴공동에서 굴착방법에 따른 발파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lasting Vibration from Different Excavation Methods in Underground Mine)

  • 강추원;류복현
    • 화약ㆍ발파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06
  • 최근 대부분의 석회석 광산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노천채광에서 지하채굴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노천채광과 같은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갱도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갱도 및 광주의 규모 그리고 굴착방법 등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갱도의 동시 발파 혹은 단일갱도 내에서 좌운반갱도와 사갱을 동시 발파, 두 갱도를 다단 발파 그리고 각각의 갱도를 단독 발파하여 굴착했을 때의 발파진동을 계측하여 각각의 굴착방법에 따라 발파진동식을 산출하여 노모그램 분석과 암반손상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암 발파 진동 측정 사례 분석 (Am analytical Case Study on Measurement of Ground Vibration from Rock Blasting)

  • 정철호;정상문;이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3년도 봄 학술회 논문집
    • /
    • pp.59-62
    • /
    • 1993
  • In this study, various problems of ground vibration from rock blasting have been discussed, and field tests of rock blasting-ground vibration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system of evaluation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blast design values and the rationale for the selection. Criterla of estimating structural response and damage caused by ground vibration from rock blasting are also discussed for the safety design of blast.

  • PDF

건설 현장에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지반진동.소음.비산먼지 측정자료의 분석에 관한 연구 -영남지역의 퇴적암.화성암층에서의 발파 및 항타작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ta Analysis of Ground Vibration.Noise Dust Dispersion Measurement for Enhancing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s - Focussed on Blasting and Piling in Sedimentary and Igneous Rocks in the Youngnam Area -)

  • 안명석;류창하;박종남
    • 화약ㆍ발파
    • /
    • 제19권3호
    • /
    • pp.91-104
    • /
    • 2001
  • As in Korean environments with mountainous and hilly areas, the rock generally has to be removed in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work in tunnelling or excavation for development in urban area. Explosives should be used for blasting, which may cause serious problems on local people for their claim for compensation due to ground vibration, noise. For safe and economic blasting, geology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rocks such as discontinuities of rock or weathering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gether with site characteristics for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In this study, conducted were the detailed study for major rocks most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ast area, in-situ geological survey, ge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is, and further laboratory uniaxial rock stress, seismic velocity of core samples together with in-situ seismic velocity measurements. Regulations on ground vibration and noise were reviewed for assessing their adaptabilities, and a total of 4,856 measured blasting vibration data were examined for enhancing the confidence level in estimating the predictive formulation using scaled distance statistically.

  • PDF

슬롯드릴링공법의 유효제원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ive Dimension in Slot-drilling Method)

  • 윤지선;이지훈;손성훈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50-58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한 분야인 슬롯드릴링 공법에 대해 분석한 것이며 슬롯드릴링 공법을 공사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슬롯드릴링 공법을 통해 진동저감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수치해석을 통해 슬롯드릴링의 유효제원 관해 크게 두 가지를 분석 하였다. 하나는 슬롯과 진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진동속도의 변화를 분석이며 다른 하나는 진동제어를 위한 적절한 크기의 슬롯너비와 슬롯높이를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진원과 슬롯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진동저감 효과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슬롯제원의 변화에 따른 임의의 계측지점에서의 진동속도에 대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진동 굴착구간에 대한 전자뇌관의 적용성 평가 사례 (A Case Study o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of Electronic Detonator for Non-Vibration Excavation Section)

  • 정승원;송진혁;황남순;김남수;정민성
    • 화약ㆍ발파
    • /
    • 제40권4호
    • /
    • pp.47-56
    • /
    • 2022
  • 당 현장 주변에 보안물건이 위치하고 있어, 기존 설계상에 176m 구간이 무진동 기계식 굴착공법으로 설계되었으나,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전자뇌관 미진동 발파공법을 제안하였다. 검토 결과, 발파소음, 진동 모두 허용기준 이내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해당 구간에 대하여 전자뇌관 미진동 발파공법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검토 구간에서 무진동 굴착공법과 전자뇌관 미진동 발파공법을 비교한 결과, 공사 기간을 88일 단축하여 경제적으로 큰 이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건공화 공법의 발파 성능 평가를 위한 현장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Pilot Test for a Blasting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a Dry Hole Charged with ANFO)

  • 이승훈;정성훈;최형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97-208
    • /
    • 2022
  • 암반층이 얕은 깊이에서 출현하는 국내 지층 조건과 지하 공간의 활용도 증가로 인해서, 발파에 의한 굴착은 여전히 이용되고 있다. 발파 천공 이후에 존재하는 물이 있는 조건에서 실시되는 표준 발파는 폭굉압력 감소, 일정 장약량 사용, 디커플링과 같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표준 발파 공법을 대체할 만한 공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공화 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공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는 건공화 ANFO (Ammonium Nitrate Fuel Oil) 발파와 발파 성능의 비교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표준 발파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발파 공법에서 계측된 진동 속도 데이터들과 환산거리의 함수로 이루어진 경험적인 발파진동 추정식을 이용하여, 최소제곱법에 의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궁극적으로 발파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공화 ANFO 발파에서 진동 감쇠가 더 크게 발생하고, 암반 파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더 가까운 거리에서 진동 허용 기준을 만족하는 진동 속도를 보였다. 또한, 표준 발파의 발파 진동 영향권이 건공화 ANFO 발파보다 더 멀리 있고, 발파 패턴의 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현장 발파 실험 결과로부터, 건공화 ANFO 발파 공법의 발파 성능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