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 vibratio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6초

혼화재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 시험체의 피로성능 평가 (The Fatigu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Specimen by Using Mineral Admixture)

  • 김두환;백경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43
    • /
    • 2010
  • The surfacing of bridge-decks are object to secure trafficability and to protect bridge face from impact load of traffic volume and other external conditions. But the deformation of pavements and cracks happen due to the damage of the bridge-decks surfacing from the increase of the traffic, short maintenance period and continuous vibration of bridge. This test is to make the 3-type high performance concrete that has different mixing ratio and is added the blast furnace slag, fly ash and silica respectively, and to compare 3-type high performance concrete of normal high strength concrete of $400kgf/cm^2$ strength through the static loading test and fatigue test. And test specimen is united floor slab and pavement for the durability of bridge.

최소저항선이 발파진동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Burden on the Blast-vibration)

  • 신일재;이정인;백종현
    • 화약ㆍ발파
    • /
    • 제19권1호
    • /
    • pp.53-62
    • /
    • 2001
  • 주변 보안물건에 직전각인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발파진동은 암반의 파쇄를 위해 화약의 폭박력을 이용하는 발파작업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발파공해로 이러한 발파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자유면 발파시 최소저항선과 대구경 무장약공을 자유면으로 활용하는 터널 심발발파시 무장약공과 첫 번째 심발발파공의 중심사이 거리가 발파진동에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균질한 모르타르 시험체에 대한 소규모 단일공 시험발파를 수행하였다. 11g의 화약을 장약한 2자유면 단일공 시험발파시 발파진동의 크기는 최소저항선을 표준장약의 경우인 150mm에서 2/3 수준인 100mm로 줄인 경우 삼승근 환산거리 $10~40{\;}m/kg^{1/3}$인 범위에서 약 13~38%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경이 180mm인 무장약공을 자유면으로 활용하는 첫 번째 심발 시험발파공에 22g의 화약을 장약하여 수행한 단일공 시험발파시 무장 약공 중심으로부터 발파공 중심까지의 공간격이 짧아질수록 발파진동이 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로소음의 예측모델에 대한 비교$\cdot$평가 (Application of Ray Acoustics in Outdoor Noise Propagation : NIC@E)

  • 이규철;김정태
    • 소음진동
    • /
    • 제9권6호
    • /
    • pp.1131-1136
    • /
    • 1999
  • NIC@E is the software developed by authors. The program provides the noise level in outdoors due to various noise source types : construction machines including blast sources, railroad vehicles and automobiles. It operates in the Windows system. In this paper, a highway traffic noise has been evaluated using various types of approach : Ray-tracing method, NIRI method, JAS method. In order to compare the noise estimation performance for various models, a measurement is conducted on a 8 lane express highway at the distance of 25 m and 50 m from the lane. The result shows that the ray tracing and JAS model predict the measured value well within 2dB deviaton. The NIRI model, however, underestimates the highway noise level,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receiver increases.

  • PDF

발파에 의한 터널 주변 암반의 손상영역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amage Zone around Tunnel Induced by Blasting)

  • 장수호;신일계;최용근;이정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29-140
    • /
    • 2000
  • 최근들어 핵폐기물 지하처분장을 중심으로 터널굴착에 의한 주변 암반의 손상상태와 암반특성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암반의 지지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NATM개념에 의해 터널을 시공할 셩우 안정성 해석과 최적 보강설계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암반 손상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제시된 여러 방법들은 아직까지 그 적용성과 타당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코어시추, 실험실시험, 발파진동측정, 보어홀 카메라 등의 여러 방법에 의해 손상영역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가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암반상태 및 발파조건을 달리하여 시험발파를 수행하였으며 발파 후에 터널벽면에 수직하게 시추를 하여 암석코어를 채취한 뒤 손상정도에 따른 암석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들?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코어 채취후 시축공에 보어홀 카메라를 사용하여 손상영역을 시각적으로 판별하고자 하였으며 발파진동 측정결과로부터 손상영역을 예측하고 채취한 암석시표에 대한 실험실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잔골재 용적비가 고유동 콘크리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Volume Contents of Sand in Mortar on the Properties of Self Compacting Concrete)

  • 최재진;유정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755-758
    • /
    • 2004
  • Self-compactability is defined as a capability of concrete to be uniformly filled and compacted in every corners of formwork by its self-weight without vibration during placing. To evaluate the self compactability of self compacting concrete, the slump flow, the time of slump flow at 500mm and U-box apparatus testing methods are used. In this research, the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self compacting concrete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s a part of cement were investigated for the volume contents of sand in the mortar. The workability, flowing characteristics, air content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ere tes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different volume contents of sand in the mortar. In the experiment, we acquired satisfactory results at the point of flowing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self compacting concrete.

  • PDF

최대 실벡터합과 최대 벡터합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ue Maximun Vector Sum and Maximum Vector Sum In Vibration Monitoring of Blast)

  • 강추원;추영래;박현식
    • 화약ㆍ발파
    • /
    • 제19권2호
    • /
    • pp.19-26
    • /
    • 2001
  • 국토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각종 토목.건설공사나 석재 및 골재생산 등을 위해 암반을 굴착함에 있어 다양한 산업용 화약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약의 사용으로 인해 수반되는 발파진동은 인체 및 구조물 등에 피해를 발생시켜 인근의 주민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속도 data를 취합하여 분석 사용함에 있어서 V, T, L 성분의 최대 실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와 최대 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실제 현장 기험시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진동속도는 최대 실 벡터합에 비해 최대 벡터합에 의해 구해진 진동속도의 크기가 장승근에서는 24.6%, 삼승근에서는 26.1%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성분의 최대치, 최대 실벡터합, 최대 벡터합의 안전율은 1 : 1.154 : 1.359로 나타났다

  • PDF

도심지 미진동 제어 발파에서 진동분석을 통한 안전발파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Blasting Design with Blast Vibration Analysis Urban Area)

  • 안명석;박종남;배상근
    • 화약ㆍ발파
    • /
    • 제17권2호
    • /
    • pp.36-44
    • /
    • 1999
  • 도심지 건물 부지조성공사를 위한 발파예측식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 201-4 일대로써 지질은 상부에 세일 이암이 호온펠스화한 치밀한 암석과 그 하부는 규장암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지질구조는 주요 주향방향은 NW방향이고 부축방향은 EW이다. 진동 측정은 지상고 6m 높이의 상수용 수조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서 측정되었으며, 이때 구조물에 의한 파의 감쇄현상이 상당히 큼으로서 경제적인 발파설계를 위하여는 환산거리가 큰 직선상의 속도분석에 의한 설계가 유효할 것이며, 경제적인 발파설계를 위하여는 환산가리가 큰 직선상에 의한 설계가 유효할 것이며, 또한 거리계수를 고려하면 삼승근의 경우가 자승근의 경우보다 더 낮다고 생각되며 이때 안전발파를 위나 최대허용속도 0.5cm/s에 대한 50%, 95%, 99%의 유의수준에서의 환산거리는 각각 22.5, 28.0 및 30.6이었다.

  • PDF

전자뇌관과 전기뇌관을 사용한 시추공 발파시험에서의 지반진동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s Produced from Borehole Blast Tests Using Electronic and Electric Detonators)

  • 최형빈;원연호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37-49
    • /
    • 2010
  • 도심지 특성상 주변구조물에 근접한 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인체에 간접피해와 구조물에 물적피해를 줄 수 있다. 설계단계 또는 시공 전 민원발생 시 구조물의 피해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단순 진동파형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데 가장 접근성이 좋은 시추공 발파시험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량의 폭약으로 인위적인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파시험에 전자뇌관 기폭시스템을 처음 적용하였다. 전기뇌관 시추공 발파와 전자뇌관 시추공발파의 뇌관 지연시차 상관관계, 시험장소의 터널본선과 유사 암층에 시설된 구조물에서 측정한 PPV와 서로 다른 매개 층을 포함한 터널상부 지상도로에서 측정한 PPV의 상관관계, 기존 연구결과 얻어진 시추공발파 및 터널발파 PPV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시추공 발파의 유용성과 뇌관 지연시차의 중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파해체를 위한 발파설계 (Blast Design for Explosive Demolition of Concrete Foundation)

  • 박훈;박형기;석철기;이영섭;가네꼬 카츠히꼬초
    • 화약ㆍ발파
    • /
    • 제30권1호
    • /
    • pp.9-16
    • /
    • 2012
  • 구조물의 노후화와 기능성 상실에 따른 해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체 기술이 개발되어왔다. 대규모 기초콘크리트의 경우에는 구조적 특성에 의한 일부 기계식 해체공법의 적용에 제한이 있으며, 지반진동에 의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하거나 발파해체와 기계식 해체를 혼합한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콘크리트 발파해체 설계 시 비장약량과 입지상수, 감쇄지수와의 관계식, 콘크리트의 평균 파쇄도와 비장약량과의 관계식을 통해 평균 파쇄도와 지반진동속도를 비교하였다.

화강암 지반에서 진동 및 크랙측정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vibration and crack measurement data on granite-bed rock)

  • 한동훈;안명석;이광열;오병삼;강문구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51-260
    • /
    • 2003
  • 터널 발파에 있어서 진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브이-컷 심발패턴으로 시험발파를 수행하고, '터널 진행방향'과 '터널 진행직각방향'의 두 방향에서 발파진동을 계측하였다. 최대 지발당 장약량을 기준으로 지반의 진동전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승근 환산거리와 삼승근 환산거리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5mm/sec에서 교차점은 35~45m였으며 터널 진행방향에서 측정한 경우가 터널진행직각방향에서 측정한 경우보다 진동수준과 진동감쇠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근거리에서 이루어지는 터널발파의 경우 삼승근 환산거리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였다. 또한 발파가 없었던 시기에 사전균열조사결과에서는 미소량의 균열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공사기간중 균열조사 결과는 옥외구조물의 균열허용기준치 0.33mm대비 51.5~81.8%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