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 furnace slag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33초

Optimal Mixture Proportion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Incorporat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Choi Jae-Jin;Kim Eun-Kyum;Yoo Jung-Hoon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73-480
    • /
    • 2005
  • In this study, a mix design for self compacting concrete was based on Okamura's method and concrete incorporated just 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Replacement ratio of slag is in the range of $20-80\%$ of cement matrix by volume. For the optimal self compactability in mixture incorporat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the paste and mortar tests were first completed. Then the slump flow, elapsed time of 500mm slump flow, V funnel time and filling height by U type box were conducted in concrete. The volume of coarse aggregate in self compacting concrete was in the range of $50-60\%$ to the solid volume percentage of coarse aggregate. Finally, the compressive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s were determined in the hardened self compacting concrete incorporat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From the test results, it is desirable for self compacting concrete that the replacement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in the range of $40-60\%$ of cement matrix by volume and the volume of coarse aggregate to the solid volume percentage of coarse aggregate with a limit of $55\%$.

소량 혼합재로서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복합 사용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Using Mixture of Limestone and Blast Furnace Slag as Minor Inorganic Additives)

  • 이승헌;임영진;조재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량 혼합재로서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단독 또는 복합으로 10%까지 혼합하면서 나타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응결시간은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복합하여 10% 혼합한 경우, 석회석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Alite의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종결이 빨라졌다. 재령 3일에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석회석 5%-고로슬래그 5% 혼합이 가장 컸다. 이러한 이유로는 석회석에 의한 Alite의 수화촉진에 의해 생성된 C-S-H 수화물과 Alite의 수화촉진에 의해 부가적으로 생성된 $Ca(OH)_2$가 일부 고로슬래그와 반응하여 추가적으로 C-S-H 수화물을 생성하였기 때문이다. 재령 7, 28일에서는 석회석 3%-고로슬래그 7%의 복합 혼합이 가장 큰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이 시기에는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이 활발한 시기로 C-S-H 수화물 생성량은 석회석의 혼합량보다 고로슬래그의 혼합량에 의존한다. 그리고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Ca(OH)_2$ 생성량이 증가해야 하므로, Alite의 수화를 활성화 시키는 소량의 석회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령 7일 이후에는 고로슬래그의 혼합량이 많고 석회석의 혼합량이 적은 것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강도발현에 효과적이었다.

알칼리 자극제(刺戟劑)에 의해 고로(讀爐) 수쇄(水碎) 슬래그의 주위(周圍)에 형성(形成)된 Reaction Rim의 특성(特性) (Properties of Reaction Rim on Blast Furnace Slag Grain with Alkali Activator according to Hydration Reaction)

  • 이승헌;문영범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42-48
    • /
    • 2009
  • 고로 수쇄 슬래그에 알칼리 자극제(NaOH+$Na_2O.SiO_2$)를 첨가한 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다르게, 수화반응 초기에 높은 농도의 $OH^-,\;[SiO_4]^{4-}$ 이온이 존재하게 되므로, 유도기가 없이 수화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며, 슬래그 입자 주위에 수화물에 의한 reaction rim을 형성한다 반응기간 1일부터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 주위에 $0.6{\mu}m$의 reaction rim이 형성되었고, 반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reaction rim의 두께는 증가하여 28일에 $1{\mu}m$으로 성장하였으며, 미반응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는 각진 형태에서 구형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슬래그 입자의 내부로부터 reaction rim으로 갈수록 Ca/Si의 몰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반응기간이 경과할수록 슬래그 입자 내부와 reaction rim간의 Ca/Si 몰비 차이는 작아졌으며, 생성된 수화물은 저결정성의 Ca/Si 몰비가 1.5 미만인 CSH(I)이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산지 및 치환율 변화가 순환잔골재 사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eplacement Ratio and Sources of Blast Furnace Slag Powder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s Based Mortar)

  • 한천구;자오양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7-2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BS)의 품질특성과 BS의 치환율 변화가 순환골재 사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BS 품질 특성치와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BS 품질특성은 9개 항목 중 4개 항목에서 불만족하는 공장이 존재하였는데, 이중에서도 분말도의 개선이 제일 중요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B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순환골재사용 시멘트모르타르의 유동성은 증가하였으나 응결지연, 초기강도가 저하하는 문제는 존재하였으나, 단 잠재수경성반응으로 후기재령에서는 증가하였다. BS의 품질특성치와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치간의 관계에서 이수석고와 관련하는 $SO_3$ 및 L.O.I는 응결시간, 3 및 91일 압축강도와 미약하지만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혼화재료에 따른 지오폴리머의 강도 및 건조수축 (Strength and Shrinkage of Geopolymer Mortar with Mineral Admixtures)

  • 양주경;김효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45-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지오폴리머 결합재인 고로슬래그를 분쇄할 때 석고의 혼입 여부,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과 수축저감제 첨가 여부를 변수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서는 슬럼프플로우를 측정하여 작업성을 파악하였으며,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건조수축을 측정하여 역학적 성능을 파악하였다. 석고를 혼입한 고로슬래그는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에 비해 슬럼프플로우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이 5:5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8:2인 경우보다 슬럼프플로우가 커지는 경향을 보여 석고와 플라이애시가 지오폴리머의 작업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고를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지오폴리머는 석고를 혼입한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보다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모두 크게 나타났으며,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이 8:2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5:5인 경우보다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석고를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하고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을 높일수록 건조수축은 감소되었으며 수축저감제도 지오폴리머의 건조수축 저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파이넥스 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s Blended Finex-Slag Powder)

  • 이근재;변승호;송종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57-661
    • /
    • 2009
  • In this study,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s containing ground Finex-slag (4000, 6000, 7000 c$m^2$/g) were investigated bymini-flow test and coaxial cylinder viscometer. And also blast furnace slag(4000, 6000, 7000 c$m^2$/g) were used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Finex-slag and blast furnace slag showed very similar trend i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cement pastes. The fluidity of cement pastes blended Finex-slag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 were improved by high replacement ratio. In the relationship of plastic viscosity and yield stress appeared the tendency of the proportion greatly. And in the relationship of plastic viscosity, yield stress and mini-flow appeared the tendency of the inverse proportion.

페로니켈슬래그 미분말 혼입에 따른 고로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특성 (A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 Based Non-Cement Paste Containing Ferronickel Slag Powder)

  • 김영욱;이경수;오태규;정수빈;최세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5-20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 based non-cement paste containing ferronickel slag pow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e in for cement replacement materials. As a result, the fluidity of non-cement paste showed a higher flow as the mixing ratio of ferronickel slag powder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s similar to those of the non-cement paste using only blast furnace slag powder were obtained when 5 and 10% of ferronickel slag powder were used.

  • PDF

미분말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Blast Furnace Slag Concrete)

  • 이봉학;홍창우;김동호
    • 산업기술연구
    • /
    • 제17권
    • /
    • pp.137-143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blast furnace slag. Its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investigated includ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The main expeirmental variables were cement type, coarse aggregate size(19, 25mm), and water/cement ratio(28, 32, 36%). The principa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500{\sim}700kg/cm^2$ concrete by using the blast furnace slag. Therefore, blast furnace slag was proved to be superior to ordinary portland cement in manufacturing the high strength concrete with the same mix conditions. In the near furture, concrete using blast furnace slag is expected to be practically used in the field.

  • PDF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평가 (Evaluation on the Durability of Concrete Replaced to Blast Furnace Slag)

  • 이세범;김규용;이보경;신경수;최경철;구경모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9-251
    • /
    • 2012
  • Concrete based on blast-furnace slag has a problem that its deterioration occurs process and quality of concrete are difficult to control. Therefore, it is judged that organized and comprehensive R&D will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this study, the durability of concrete replaced with blast-furnace slag was evaluated for a solution. Experimental results, Concrete based on blast-furnace slag improved the durability.

  • PDF

고로슬래그미분말 혼입 콘크리트의 적산온도를 이용한 강도예측모델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Blast Furnace Slag by Maturity Method)

  • 양현민;조명원;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7-108
    • /
    • 2012
  • The study on the strength prediction using Maturity is mainly focused on, but the study on the concrete mixing blast furnace slag powder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equivalent age by Maturity function and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strength prediction of concrete mixing Blast Furnace Slag Power using ACI and Logistic Curve prediction equation. So it is intended that fundamental data are presented for quality management and process management of concrete mixing Blast Furnace Slag Power in the construction f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