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dder Pressur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성견에서 관찰된 심막-복막 허니아 증례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in adult dog)

  • 정재호;조경오;박인철;조호성;김현진;박남용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2
    • /
    • 2003
  • A two-year-old pointer dog showed a liver failure for long duration. By radiographic examination, barium or gas filled intestine was detected in the pericardium. Although liver function was bad, surgery was tried to repair hernia due to the poor prognosis. Intestine, omentum, and liver with gall bladder were dislocated in the pericadial sac by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PPDH). Intestine was easily removed from pericardial sac but omentum and liver were not because of strong adhesion to the pericardial sac. Postmortem examination was performed because the patient was died after surgery. Grossly, herniated liver whose right medial lobe was strongly adhered to the pericardial sac was severely congested with fibrin adhesion on the surface. Hypoplastic abnormally up-located heart had a fissure in the outside of lower right venticulum bordered apex and depressed large vessels including vena cava and aortic arch into the base of heart. It was suggested that formation of a fissure and depression of vessels might be due to the pressure of herniated organs. In the veterinary literature as far as we knew, PPDH associated with liver failure due to adhesion of liver to the pericardial sac has not been reported.

  • PDF

Predictors of Acute Postoperative Urinary Retention after Transvaginal Uterosacral Suspension Surgery

  • Son, Eun-Joo;Joo, Eunwook;Hwang, Woo Yeon;Kang, Mi Hyun;Choi, Hyun Jin;Yoo, Eun-Hee
    •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163-168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ate of postoperative urinary retention (POUR)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this complication in women who underwent transvaginal uterosacral suspension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for 75 women who underwent transvaginal uterosacral suspension surgery with vaginal hysterectomy, repair of cystocele, and levator myorrhaphy with/without transobturator anti-incontinence surgery. POUR was defined as a need for continuous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on the third day subsequent to removal of the urethral indwelling catheter. Results: Acute POUR was reported in 18 women (24.0%). Thirty-six of the 75 patients (48.0%) had undergone anti-incontinence surgery. Crud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following variables and the risk of POUR: hypertension, the lower average flow rate in the pressure-flow study (PFS), greater post-void residual (PVR) urine volume in PFS, and PVR >30% of the total bladder capacity (TBC) in PFS.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VR >30% of the TBC in PFS was identified 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OUR (odds ratio, 15.4; 95% confidence interval, 2.5-90.9; P = 0.003). Conclusions: The PVR >30% of the TBC in PFS was identified as the only predictive factor of acute POUR in women who underwent transvaginal uterosacral suspension surgery.

Efficacy and Safety of OnabotulinumtoxinA in Patients With Neurogenic Detrusor Overactivity Caused by Spinal Cord Inju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Li, Guang-Ping;Wang, Xiao-Yan;Zhang, Yong
    •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75-286
    • /
    • 2018
  • Purpose: OnabotulinumtoxinA (BoNT-A) is a promising therapy for treating neurogenic detrusor overactivity (NDO)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carry out an in-depth review and to make an objective estim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BoNT-A on NDO after SCI. Methods: The PubMed, Embase, and Cochran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ll relevant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6 that referred to NDO, SCI, and BoNT-A or botulinum toxin A. All data were recorded in an Excel spreadsheet by 2 individual reviewers. Review Manager version 5.3 was used to carry out the meta-analysis. Results: This analysis included 17 studies involving 1,455 patients. Compared with placebo and baseline, BoNT-A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aximum cystometric capacity, volume at first involuntary detrusor contraction, cystometric bladder capacity (all P<0.00001), compliance (P=0.001),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mplete dryness (P=0.0003), and decreasing detrusor pressur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no involuntary detrusor contractions, the maximum flow rate, the incidence of detrusor overactivity (all P<0.00001), and the number of urinary incontinence episodes (P=0.0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ses of 200 U and 300 U or between injections into the detrusor and submucosa. There were no life-threatening adverse events. Conclusions: BoNT-A is effective and safe in treating NDO after SCI.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ses of 200 U and 300 U or between injecting into the detrusor and submucosa. However, more high-qual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still needed.

핵의학 동적 신장팬텀시스템 개발 적용의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of Dynamic Kidney Phantom System and its Evaluation of Usability of Application in Nuclear Medicine)

  • 박훈희;이주영;김상욱;유광열;진계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1호
    • /
    • pp.49-55
    • /
    • 2013
  • 핵의학 검사 중 동적신장검사는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검사법으로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고 소변이 배설에 이르기까지의 질환 평가에 유용하다. 이러한 검사영상의 질 평가 및 정량분석에서 현재 상용화 된 팬텀은 정적 상황만 재현하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팬텀을 통한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적 상황과 혈류속도, 방사성의약품의 주입량에 따른 다양한 차이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동적 신장팬텀시스템을 제작하여 신장의 동적 흐름을 통한 영상을 재현함으로써 핵의학에서 영상학적으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신장팬텀은 정상 성인 신장을 기준으로 제작하였고, 동적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혈류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량펌프를 적용하였으며, $^{99m}Tc$-pertechnate를 신장팬텀에 방사성의약품이 집적되고 방광으로 배설되도록 제작하였다. 사용된 방사성의약품은 각 신장팬텀에 각각 주입되도록 하였으며, 주입속도, 방사성의약품, 좌우 신장 팬텀에 다른 주입속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은 전면상과 후면상 각각의 신장과 방광에 관심영역을 그려 분석하였으며,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5회씩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주입속도 변화에 대해 30 stroke으로 펌프의 압력을 조절하였을 때 방사성의약품이 신장팬텀에 가장 많이 집적되었다가 배출되었고, 40 stroke으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적게 집적되었다가 배출되었다. 10 stroke으로 조절한 경우 좌우신장의 집적량이 최고치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에 따른 변화에서는 0.6 mCi (22.2 MBq), 0.8 mCi (29.6 MBq) 모두 유사한 성향을 나타냈으나, 0.8 mCi 를 주입한 결과에서는 0.6 mCi의 두배에 가까운 수치(count)를 나타냈다. 좌측신장모형은 20 stroke, 우측신장모형은 30 stroke으로 다른 조건으로 시행한 결과, 최고점에 이른 시간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결과 영상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적 신장팬텀시스템이 실제 임상의 동적 신장검사를 유사하게 재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장을 통해 방광으로 배설되는 흐름에 대해 시간에 따른 묘사가 충분하게 재현되었으며, 동적 영상의 질을 확인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추후 기능적 영상 분야에 연구 및 정도관리 분야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 쥐에서, 급성 혈장량 증가에 대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및 Renin 분비 반응의 비교 (Dietary Sodium Effects on Response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and Renin Release to Acute Volume Expansion in SHR)

  • 김애라;이원정;주영은;김선희;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53-261
    • /
    • 1989
  • 장기적으로 소금량을 다르게 섭취시킴에 따라서, 체내의 Na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aldosterone,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및 renin 분비와 신장의 배설 반응에 나타나는 변화를 정상 혈압쥐 Wistar와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에서 비교하고자 실험하였다. 생후 7주의 숫쥐인 Wistar와 SHR에게 저염과 고염 식이 (각각 2, 25 mmol Na/100 g diet)를 6주간 먹였다. 그 후 ether 마취하에서 대퇴 동맥과 정맥 및 방광에 관을 삽입한 후, restraining cage에 넣었다. 수술회복 후 안정시 뇨와 혈액을 채취한 후, 0.9% saline을 30분동안 체중의 3%되게 정맥주입(혈장량 증가)하고 뇨와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장의 호르몬을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Wistar와 SHR의 저염, 고염 식이군의 성장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istar 저염과 고염군의 평균 동맥혈압은 각각 113과 110 mmHg로 차이가 없었으며, SHR의 동맥압은 141과 149mmHg로 고염군이 높았다. 저염식이군에서 혈장 aldosterone농도는 고염군보다 월등히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renin은 고염군보다 낮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 혈장 aldosterone은 모든 군에서 $30{\sim}40%$정도 감소하였고, renin은 $30{\sim}60%$정도 감소하였다. 혈장량 증가 이후 ANP는 증가하였는데 고염군에서의 증가도가 저염군에서보다 월등히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전의 Wistar군의 혈장 aldosterone과 renin의 대조치 값은 SHR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혈장량 증가 이후의 Wistar와 SHR의 aldosterone과 renin의 감소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NP의 증가도는 Wistar가 SHR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호르몬들 중에서 혈장 aldosterone과 renin사이에는 양의 대수함수 관계가 있으며, 기울기는 고염군이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에 나타나는 뇨량과 소금 배설률의 증가 정도는 고염군과 저염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HR이 Wistar보다 더 심한 이뇨와 Na 배설항진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 섭취량에 따라서 aldosterone, ANP 및 renin의 분비 조절이 다르며, 정상 혈압과 고혈압쥐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교차편광 촬영술(Cross Polarization Photographic Technique)를 이용한 부항요법의 배수혈 피부 색소 침착 변화 측정 평가 (A New Method For Measuring Acupoint Pigmentation After Cupping Using Cross Polarization)

  • 김수병;정병조;신태민;이용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4호
    • /
    • pp.252-263
    • /
    • 2013
  • 목적 : 부항요법은 국소적 부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과정 중 유두층 안의 표피혈관을 파괴됨에 따라 발생하는 색소, 응결, 자반, 수포, 압통 반응 등을 살피어 오장육부의 기능이상을 진단하고 있다. 시각에 의존하는 주관적인 혈색소 판별로 인한 진단방법에서 벗어나 정량적으로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기 위하여 교차편광 촬영술을 접목하였으며, 새로운 혈색소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족태양방광경의 좌/우 폐수(BL13), 심수(BL15), 간수(BL18), 신수(BL23) 총 10개에 80 kPa 의 음압으로 1분 동안 자극하였다. 교차편광 촬영술을 이용하여 부항 자극 직전과 60분 이후까지 2분마다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이미지에서 $L^*a^*b^*$ space로 변환하여 분석하였으며, RGB space에서 홍반지수 (E.I: erythema index)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부항 자극 전 각 경혈에서 젖산 농도를 측정하여 색 지표들간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근육의 상태와 부항 자극으로 유도된 피부 색 변화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 교차편광 촬영술을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에서의 $L^*$, $a^*$ 그리고 E.I 모두 부항 자극에 따른 피부 색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의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부항 자극 40분 후에 피부 색 변화가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경혈에서의 젖산 농도와 피부 색 변화 정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설진을 포함하여 한의학적 색 진단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차편광 촬영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L^*$, $a^*$ 그리고 E.I 모두 색 지표로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장부 기능 이상과 혈색소 반응간의 상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하기 전에, 음압 도중 발생하는 조직 내 다양한 반응과 혈색소 반응간의 관계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sim}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ectal Cancers Patterns of Care Study for the Years of $1998\~1999$)

  • 김종훈;오도훈;강기문;김우철;김원동;김정수;김준상;김진희;길학재;서창옥;손승창;안용찬;양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2-31
    • /
    • 2005
  • 목적 :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과 :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 : 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론 :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