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tea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9초

흑미와 녹차 혼합분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nd Green Tea Powder)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3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green tea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20, 30 or 40% of WBRF(w/w). The group of 40% of WBRF and green tea powder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bread weight and volume. Lightness(L value) and yellowness(b value) decreased, but redness(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s in mixtur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but springiness was the lowest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The sensory scores of appearance, external and crumb color, grainy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were the significantly lowest. Overall acceptabilities of the groups of 10% and 30% of WBRF with 1% of green tea pow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TEAC content. Thus, if the mixture of green tea powder and WBRF would be used, it might be proper to use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of WBRF mixture considering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 PDF

음용 차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a)

  • 정일용;이주영;김미아;이대우;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37-44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마시는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차 티백을 이용하여 차가운 생수나 뜨거운 생수로 5분 또는 10분 동안 우려내는 일상적인 방법으로 차를 추출하였을 때 각각의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 세균막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주는 S. mutans UA 159를 이용하였고 1%의 sucrose와 각각의 차 추출물을 웰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 녹차와 홍차에서 추출 온도가 높을 때 세균막 형성이 적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추출 시간을 달리 하고 $72^{\circ}C$ 온수로 많은 양을 추출 했을 경우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는 네 종류 차 모두 추출 시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추출량에 따른 비교에서는 녹차와 홍차의 경우 같은 시간, 같은 온도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량이 적다면 오히려 세균막 성장이 증가하였다.

한국산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음료의 Cadmium 제거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Korean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in Rat)

  • 김미지;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84-791
    • /
    • 1994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dmium removal effect of Korean green tea, black tea and oolong tea beverage on Cd administered rat, tissues and their excretion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43±3.2g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control group were fed standard diet without cadmium .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fed standard diet containing 40 ppm Cd, were divided into 4 subgroups again , which were the groups given distilled water (CD group), 5% black tea (BT group), oolong tea (OT group ) and green tea (GT group), respectively. Five days before to sacrifice the rats, all 4 cadmium fed groups were supplied 1 ml of water with 600ppm Cd and control group were fed 1 ml of distilled water without Cd under the same dietary condition. After that, their excretion were collected separately for 3 days. In rat liver and kidney, accmulation of cadmium in 4 Cd administered groups were more than in control group and that of GT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CD group. In bone , also, accumulation of cadmium in 4 Cd administered groups was more than in control group and that of GT, OT,BT groups were much less than that of CD group. GT group was excreted more Cd in urine than Cd group. In feces, 3 tea feeding groups (BT, OT, GT group) were excreted Cd 1.7, 2.1, 2.4 times more than that of the CD group,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cadmium accumulations of GT feeding group in rat's liver, kidney and bone were much less than CD group , and the absorption and retention rate of G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D group.

  • PDF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비타민류, 카테킨류 및 알카로이드류의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영자;안명수;홍기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7-382
    • /
    • 1998
  • 항산화효과, 항돌연변이효과, 콜레스테롤농도 상승억제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차추출물의 주요성분을 분리 정량하기 위하여 각 발효정도에 따른 분류 및 녹차의 채엽시기별에 따라 녹차 1번차 녹차2번차 녹차 3번차, 우롱차 및 홍차 등에 대한 일반성분, 아미노산, Vit.C, Vit. E, ${\beta}-carotene$, 카테킨류, 카페인, 데오브로마인 및 데오필린 등을 분석하고 특히 항산화성분인 카테킨류의 항산화효과 및 항돌연변이 효과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녹차 I, II, III, 우롱차 및 홍차의 일반 성분중 조지방함량은 각각 1.1, 2.5, 4.9, 0.8 및 1.2% 이었으며, 총 아미노산함량은 녹차I>녹차II>녹차III의 순이었고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차 성분의 유일한 아미노산인 theanine이 차지하였다. 녹차 I, II, III, 우롱차 및 홍차에 함유된 Vit. C함량은 각각 101.6, 87.5, 95.9, 99.1 및 108.0 mg%이었으며,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270, 268, 481, 80 및 181 ppm이었고, Vit. E 함량은 ${\alpha}-tocopherol$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beta}-$${\delta}-tocopherol$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총카테킨류의 함량은 각각 10.5, 10.4, 7.2, 8.4 및 1.8%로 총카테킨류중 EGC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카테킨류 중 EGC의 함량은 녹차I>녹차III>녹차II>우롱차>홍차의 순으로 녹차I이 가장 높았으며, EGCG와 ECG의 함량은 우롱차>녹차I>녹차II>녹차III>홍차의 순으로 우롱차가 가장 높았다. 또한 GA함량은 0.01, 0.02, 0.05, 0.13 및 0.31%로 홍차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카페인 및 데오브로마인 함량도 홍차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나 데오필린 함량은 녹차I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홍차 추출물 급여가 흰쥐의 간 기능 개선 및 항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Black Tea on Hepatic Functional Improvement and Anti-fibrosis in Rats)

  • 김현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hepatic functional improvement and anti-fibrotic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black tea.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subgroups: Ba, Bb) and observed for 3 weeks. Liver fibrosis in rats developed from carbon tetrachloride ($CCl_4$) administration, except for the normal group. Except for the normal and control group, the two experimental subgroups were fed water extracts of black tea. The food efficiency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liver wei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atio of liver weight to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ea nitrogen,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in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values of hydroxyproline and malondialdehyde in liver were even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observations on liver histology, weaker inflammation and fibrosi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water extracts of black tea help hepatic cells keep their functions, restraining and protecting the liver from impairments caused by $CCl_4$ administration, and can be effective as anti-fibrotic agents.

여러 가지 천연 염재를 이용한 면, 견, 모직물의 염색 및 소취 특성 (Dyeing and Deodorizing Properties of Cotton,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Various Natural Colorants)

  • 황은경;이영희;김한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2-20
    • /
    • 2007
  • Four kinds of natural dying solutions (natural colorant extracts)were obtained by extraction from sappan wood, black tea, peony, and clove using water as extracting solvent at $90^{\circ}C$ for 90 min with liquor ratio (solid natural colorant material/solvent water, weight ratio) of 1/10. The dyeing, colour fastness and deodorizing properties of fabrics (cotton,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natural colorant extract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se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extracts, the structure of colorant, and the kind of fabrics. The K/S value of dyed cotton fabric increased in the order of peony < sappan wood < clove < black tea, however, the values of dyed silk and wool fabrics were in the order of peony < sappan wood < black tea < clove. Colour fastness (light, water, and perspiration fastness) was in the range of 3 - 5 grade except for sappan wood. The deodorizing performance of fabrics dyed with various natural colorants extracts was in the range of 56 - 99%. The deodorizing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order of peony < black tea < sappan wood < clove. Especially, the deodorizing performance of all fabrics dyed with clov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98-99%.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을 첨가한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Supplemented with Tea Extracts)

  • 조경옥;김선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74-783
    • /
    • 2013
  • 본 연구는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 0.5, 1, 1.5, 2%를 비육돈육(B 등급) 등심 수육에 첨가하여 수육의 일반성분, 보수력, 경도, pH, 색도, 미생물 수준, 휘발성 염기질소, TBARS, 관능검사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녹차의 수분 함량은 3.4%, 조단백질 31.8%, 조회분 5.5%, 탄수화물 57.7%였으며 차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지방은 녹차 1.6%, 오룡차 1.0%, 홍차 0.9%로 녹차의 조지방 함량이 오룡차나 홍차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돼지고기 수육의 수분 함량은 55.1%, 조단백질 38.6%, 조지방 5.2%, 조회분 0.9%이었다. 보수력은 모든 차 추출물 첨가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모든 차 첨가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홍차 수육이 녹차와 오룡차 수육보다 경도가 낮았다. 수육의 pH는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 수육과 모든 차 0.5% 수육에서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1, 1.5, 2% 녹차, 오룡차, 홍차 수육에서는 저장 중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녹차 수육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다가 2% 녹차 수육에서는 증가하여 0.5% 녹차 수육과 같은 수준이었다. 오룡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홍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수준은 모든 차 처리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증가하였다. 수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모든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TBARS 값은 제조일에는 무처리 수육보다 1, 1.5, 2% 녹차 수육과 오룡차 수육, 모든 홍차 수육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수육에서 TBARS 값이 높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홍차와 오룡차 1% 추출물 첨가 수육이 색, 향, 종합적 기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맛 점수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보다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첨가가 돼지고기 수육의 이취를 감소시키고, 특유의 색상을 부여하여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 조리 및 저장 중 지방산패를 방지하여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홍차 추출물의 이용이 가장 좋았으며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최적 첨가 농도는 1%로 나타났다.

발효차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 및 카페인 분석 (Biological activity, nutrients and caffeine analysis of fermented tea)

  • 김태희;권예은;박선민;김명주;안선미;홍은경;기호삼;최선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94-204
    • /
    • 2021
  • 최근 국내에서 발효차에 대한 수요도가 높아진 것에 비해 국내는 발효차 연구에 대한 역사가 짧고, 해외 유명 발효차들과의 과학적인 비교분석결과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세계 3대 홍차인 스리랑카 우바, 중국의 기문, 인도의 다즐링 홍차와 함께 전남 순천에서 생산되는 발효차를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 검정 및 발효차의 주성분의 규명 및 함량 분석을 HPLC 및 TOF-MS 등의 분석을 통해서 실시 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은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2종의 실험을 실시하였고, 항염증 활성은 NO 생성 억제능을 통해서 실시 하였으며, 세계 3대 홍차와의 성분 분석을 위해서 총페놀 함량과 기호성 음식으로 분류되는 차의 특성상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입맛에 관계된 성분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탄닌산, 유리당, 유기산, 카페인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국내 자생하고 있는 야생 차나무로부터 생산된 발효차는 각각의 생리활성과 유효물질들의 함량을 과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세계 유명 3대 홍차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생리활성과 유용한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국내산 발효차의 이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 정영희;신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4-101
    • /
    • 2005
  • 녹차와 발효 정도에 따른 발효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차의 수분함량은 2.04% 이었으며, 각각 발효된 차의 수분함량은 2.01∼2.02%로 나타났고, 총질소 함량은 3.49∼3.5%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Ca, Mg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 K, Al, Fe, Zn, Cu, Ni 등 대부분의 무기질이 홍차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Vitamin C 함량은 녹차가 670.62 mg으로 169.70∼85.03 mg을 보인 발효차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Vitamin E와 β-carotene 함량은 녹차> 청차> 황차> 홍차 순으로 나타났다. Rutin함량은 녹차가 0.12%, 홍차가 1.37%로 발효가 많이 된 차일수록 함량이 증가되었다. 녹차에는 총 아미노산이 2,270.96 m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 Asp, Leu로 각각 342.01 mg, 165.32 mg, 161.69 mg이 함유되었고, Glu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된 차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홍차가 2,219.08 mg으로 가장 높았고, 청차가 1,963.22 mg, 황차가 1,618.76mg으로 홍차> 청차> 황차 순으로 발효가 가장 많이 된 홍차가 가장 높았다. Caffeine 함량은 녹차 1.17%, 각각의 발효차는 1.15, 1.32, 1.05%로 발효에 따른 함량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Theanine 함량은 녹차 0.95%, 발효차는 0.73∼l.42%를 나타내었다. 총 Catechin함량은 녹차 12.84%로 가장 높고,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Flavonoid 함량은 녹차가 1.0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의 지표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차 4.73%, 청차 4.86%, 황차 19.5%, 홍차 8.43%로 나타나 황차가 항산화성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녹차, 반발효차, 홍차)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최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6-362
    • /
    • 2003
  • 녹차와 발효시 간을 각각 다르게 하여 제조한 약발효차(10시간 발효), 중발효차(17시간 발효), 강발효차(24시간 발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차 및 발효된 차의 수분 함량은 3.01 ~ 3.29%로 나타났고, 환원당 ,조지방, 조단백질 함랑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한 반면, ascorbic acid는 감소하였다. 차의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으며, 유리당의 총 함량은 녹차가 3.08%, 강발효차가 3.32%로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 향을 나타냈다. 차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 3개의 산이 확인되었고 citr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반면, succinic acid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기산의 총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차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은 AsP 외 16종이 확인되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하는 향을 나타내었다. 녹차와 각 발효차의 주요 아미노산은 Thr+theanine, Asp, Glu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는 Thr+theanine, Asp, Glu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발효차는 Thr+theanine, Glu, As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에서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녹차에 함유된 theanine 함량은 1.21%였으며, 중발효차와 강발효차는 각각 1.42%, 1.50%로 녹차에 비하여 thean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Caffein 함량은 비발효차인 녹차의 경우 3.57%, 발효된 차는 3.55~3.60%로 발효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Cathechin은 5종류의 cathechin, epig-allocathechin, epicathechin, epigallocathechingallate, epicathechin gallate이 동정되었으며, 녹차의 카테친 함량이 14.18%로 높고,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