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esam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효소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nzyme Hydrolysates in Ethanol Extracts from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cake)

  • 손종연;장성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그들의 효소분해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함량,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6.90, 102.20 및 141.9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10, 32.00 및 131.90 mg/g이었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추출물의 효소분해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13.30, 221.20 및 409.1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61.80, 103.30 및 345.80 mg/g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및 금속제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효소분해물에서 더 높았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의 크기는 들깨박 > 참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으며, 아질산염소거능(pH 1.2)의 크기는 참깨박 > 들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다.

검은깨의 항산화 활성물질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Black Sesame Seed)

  • 안찬영;현규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1992
  • 검은깨에 포함된 항산화활성물질의 검색을 횐깨와 병행하여 수행한 결과, 흰깨와 같이 검은깨에도 항산화 활성물질의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활성의 크기는 흰깨가 검은깨보다 약간 높았으며 볶음처리를 하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들 참깨에 함유된 활성획분의 chromatography상의 거동에 있어서 상당부분 유사성이 인정되었다. 또 볶은 깨의 기름과 박을 분리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 양자에 포함된 활성본체가 서로 유사하였으며 활성의 강도는 기름의 경우가 훨씬 강하였고, 박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기름에 비해 약하다고는 하나, 상당한 항산화 활성물질의 잔류가 인정되었다.

  • PDF

고아미 2호를 기반으로 한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 이은주;서한석;이승연;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940-9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아미 2호의 흰죽의 제조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기능성이 알려진 흑임자를 이용하여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흑임자죽에서는 흑임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낮아졌으며 b값도 낮아졌다. 점조성 측정 결과, 흑임자의 첨가비율, 물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죽의진행거리가 길어져 점성이 감소하였다. 회전 원통형 점도계의 측정 결과에서도 흑임자의 첨가비율, 물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하여 점조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분의 양과 쌀을 기준으로 한 물의 첨가비율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관능적 특성의 검사 결과 흑임자와 물의 첨가량에 따라 검은색, 표면 광택, 고소한맛, 떫은맛, 쓴맛, 점도, 색, 맛, 점도에 대한 기호도 및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고소한 맛은 흑임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60%에서는 40%와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색에 대한 기호도, 맛에 대한 기호도, 점도에 대한 기호도,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흑임자의 비율 40%, 물 1,200 mL일 때가 모두 가장 높은 기호를 나타냈다. 점도는 흑임자와 물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결과가 나왔고 이는 기계적 측정인 점조성(p<0.001)과 점도(p<0.05)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관능적 특성의 점도를 예측하는데 두 특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관능적 특성의 검은색과 표면 광택의 결과는 색차계의 L값과 b값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고아미 2호를 기반으로 한 흑임자죽의 최적 조리조건은 흑임자와 고아미 2호를 4:6의 비율로 하고 물의 첨가량은 1,200 mL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흑임자죽은 기능성은 있지만 가공적성 및 이취 등의 관능적 제한점이 있는 고아미 2호의 소비를 늘리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임자죽 재료배합비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ratio of the ingredients in preparation of black sesame gruels)

  • 박정리;김종군;김정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85-693
    • /
    • 2003
  • 본 연구는 보양식으로 이용해 왔던 흑임자죽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정한 표준 조리법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품질적 특성을 비교하여 최적 recipe를 산출하였다. 이로써 흑임자죽 제조를 위해 주재료인 깨의 첨가량과 쌀의 종류 및 첨가형태에 따른 죽의 물성 특성과 전체적인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깨의 첨가량에 의한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으로, 색도 변화는 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점도(p<0.05), 색상(p<0.01), 고소한 맛(p<0.01), 쓴맛(p<0.01), 외관(p <0.01), 전체 선호도(p<0.05)에서 깨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과 외관에 대한 선호도의 평가는 흑임자 함량 33g(40%)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흑임자 함량 44g(52%)일 때 쓴맛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흑임자 함량 40%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쌀의 종류에 따른 흑임자죽의 특성으로, 색도 변화는 찹쌀 50g(60%) 첨가한 것이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쌀의 형태에 의한 변화로는 찹쌀가루 60%를 첨가한 것이 명도가 높게 나타났고 적색도는 멥쌀가루 15g(18%), 황색도는 멥쌀가루 25g(30%)를 첨가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도에 대한 선호도의 평가는 멥쌀만 50g (멥쌀 : 찹쌀=100% : 0%) 첨가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상과 고소한 맛에 대한 선호도 평가는 멥쌀 50g(60%)일 때 가장 높았으며, 쓴맛에 대한 선호도는 멥쌀 50g, 멥쌀:찹쌀=35g : 15(7:3)g과, 멥쌀 : 찹쌀=15g : 35(3:7)g일 때 가장 높았다. 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멥쌀 : 찹쌀=35g:15g, 전체적인 선호도는 멥쌀 50g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형태를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 점도(p<0.05), 색상(p<0.01), 고소한 맛(p<0.01), 쓴맛(p<0.01), 외관(p<0.01), 전체 선호도(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모두 결과가 멥쌀가루 50g(60%) 첨가했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소금 첨가량에 의한 흑임자죽의 색도 변화는 소금의 첨가량이 7g(9%)일 때 명도가 높게 나타났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소금함량 5g(6%)일 때 높았다. 또한 점도(p<0.01), 색상(p<0.01), 고소한 맛(p <0.01), 쓴맛(p<0.01), 외관(p<0.01), 전체 선호도(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모두 소금 함량 2.5g(3%)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흑임자죽의 점도 특성으로는 재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온도가 낮아질수 록 점도 값이 높았다. 5. 당도와 퍼짐성의 특성으로는 첨가재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흑임자죽 제조의 최적화를 위해 첨가재료와 배합비에 따른 흑임자죽의 물성 특성 변화와 선호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흑임자죽의 최적 배합 조건이 산출되었다. 즉 흑임자죽 제조를 위한 최적 재료 배합 비는 주재료에서는 흑임자 첨가량 33g(40%), 쌀의 형태와 종류별 첨가량은 멥쌀(가루) 50g(60%), 소금 2.5g, 물 500$m\ell$ 첨가가 최적 비율로 산출되었다.

한국산 식물식용유지의 성분에 관한 연구 -제 7 보-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흰깨 검은개 들깨중의 아미노산 조성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7- Amino Acid Composition of white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Se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혜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3호
    • /
    • pp.190-198
    • /
    • 1986
  • The result of the analytical experimental by HPLC on amino acid which is contained in such samples as white-raw-sesame, white-roast -seasame, black -raw -sesame, black-roast-sesame, raw-perilla seed and roast-perilla seed is as follows ; In the six smaples, the amino acid contents in raw seed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roasted seeds, and the contents of alutamic acid and lysine were more reduced in roasted seeds than in raw seeds. All the amino acid contents except threoninewere highest in raw perilla seed. The amino acids which the six samples contain to a higher degree were in order of glutamic acid (18 %-21%), threonine(16%-19%), glycine (8%-9%), leucine(77.5%), aspartic acid (7%-7.4%), while methinine (1-2%) was contained least in all six samples followed by Isoleucine(3%).

  • PDF

전분당 종류에 따른 흑임자다식의 품질 특성 (Effects of Corn Syrup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on Quality Attributes of Black Sesame Dasik, a Korean Traditional Snack)

  • 김현정;전향숙;김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414-1417
    • /
    • 2004
  • 제조 직후 및 2개월 저장된 흑임자다식의 관능 특성과 기계적 조직감 분석 결과 경도 증가를 포함한 조직감의 변화, 윤기 및 고소한 맛의 감소 등이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대표적인 품질 저하 인자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당 당량(dextrose equivalent, D.E.)이 다른 4종류의 전분당을 이용하여 흑임자다식을 제조한 후 $25^{\circ}C$에서 4주 저장하면서 기계적 조직감, 관능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높은 DE 전분당 또는 올리고당을 사용함으로써 고소한 냄새와 맛을 제외한 외관, 맛, 조직감 항목에서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참깨박(粕) 단백질(蛋白質)의 분리(分離)와 조성(組成) (Separation and Composition of Sesame Meal Protein)

  • 김준평;심우만;김종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14-22
    • /
    • 1980
  • 흰참깨에 20.5%, 검정참깨에 19.20%, 참박(粕)깨에 44.7%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n-hexane을 용매로하여 지방을 추출한 것이 수율이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의 분리에 있어서 pH가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수율이 좋았다. 참깨의 globulin은 70.9%이었고 prolamin는 1.6%였다. 전(全)참깨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가 17.1%로 가장 많았고 globulin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acid 14.6%이었고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흰참깨와 검정참깨의 albumin 및 globulin의 단백질은 Disc gel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12{\sim}13$개 그리고 2개의 band로 나타났다. 참깨박(粕) 단백질의 주단백질인 globulin의 Sephadex G-100 및 G-200 column 분리하고 이를 disc gel 전기영동으로 검색하였다.

  • PDF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A Study of Use of Sesame and Sesame Oil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51
    • /
    • 2005
  • It is estimated that sesame spread to Korea about B.C.1000 years and people cultivated sesame and ate sesame-oil age of three-nations. In the Koryo dynasty, sesame was cultivated as the major crop and there were specialists for making sesame oil. The sesame oil was enough for the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it was introduced widely the method of sesame and deul-sesame (Perilla japonica) cultivation, the way of keeping sesame oil, and how to make sesame oil. Also, there were several ways of making sesame oil; press oil from raw sesame, or from roasting, boiling, and steaming sesame and etc. Even though sesame-oil and sesames we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to cook Chan (찬 side dishes) and Byung-gwa (병과 Korean traditional dessert), most of common people could not use freely because it was expensive. You-mil-gwa (유밀과) took always a major dishes in the ceremony or party of the royal classes to the ordinary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Sesames and Sesame-oil made a major role in adding flavor to Chan-mul and Coook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uisine. Especially, sesame-oil was consumed a lot to cook You-mil-gwa, You-kwa (유과), You-jeon-byung (유전병 fried rice cake) and Yak-bab (약밥). Roasted sesame and black sesame were used to cook Da-sik (다식), Gang-jung, and rice cake. Sesame oil and sesame was the major part of vegetable dishes such as Na-mul and it was used to add flavor to steamed, roasted and, pan-fried dishes and to roast, fry, and stew food. Heuk-im-ja-jook(black sesame porridge) and Im-ja-su-soup(임자수탕).

  • PDF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A Study of Using of Sesame and Sesame Oil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년도 참깨과학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45-174
    • /
    • 2004
  • It is estimated that sesame spread to Korea about BC 1000 years and people cultivated sesame and ate sesame-oil e age of three-nations. In the Koryo dynasty, sesame was cultivated as the major crop and there were specialists for making sesame oil. The sesame oil was enough for the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it was introduced widely the method of sesame and deul-sesame (Perilla japonica) cultivation, the way of keeping sesame oil, and how to make sesame oil. Also, there were several ways of making sesame oil; press oil from raw sesame, or from roasting, boiling, and steaming sesame and etc. Even though sesame-oil and sesames we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to cook Chan(饌, side dishes) and Byung-gwa(餠菓, Korean traditional dessert), most of common people could not use freely because it was expensive. You-mil-gwa(油蜜菓) took always a major dishes in the ceremony or party of the royal classes to the ordinary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Sesames and Sesame-oil made a major role in adding flavor to Chan-mul and Coook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uisine. Especially, sesame-oil was consumed a lot to cook You-mil-gwa, You-kwa(油菓), You-jeon-byung(油煎餠 fried rice cake) and Yak-bab(藥飯). Roasted sesame and black sesame were used to cook Da-sik(茶食), Gang-jung, and rice cake. Sesame oil and sesame was the major part of vegetable dishes such as Na-mul and it was used to add flavor to steamed, roasted and, pan-fried dishes and to roast, fry, and stew food. Heuk-im-ja-jook(black sesame porridge) and Im-ja-su-soup (荏子水湯).

  • PDF

깨의 함량과 전처리에 따른 깨죽과 흑임자죽의 기호도 연구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 김진숙;손정우;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옛부터 전통죽으로 가치가 높은 깨죽과 흑임자죽의 최적의 조리조건과 방법을 알아내고자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를 위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깨죽과 흑임자죽의 관능검사 결과, 깨함량이 150> 200>100>50%인 시료구의 순위로 점도, 고소한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깨죽과 혹임자죽보다 풍미, 고소한 맛, 전 체적 선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깨 볶는 시간이 7, 3, 0(날깨)분인 순위로 색, 고소한 맛, 쓴맛 및 전체적 인 기호도가 좋았다. 이상으로 참깨와 혹임자 는 전처리과정을 거친후 각각 7분간 볶아 쌀 100 g당 거피한 깨 150 g, 물 1075 g의 재료배합으로 죽을 제조 할 때 가장 높은 기호를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계적 검사에서의 점도는 깨함량이 증가할수록, 볶음공정을 거친 시료구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 며 색도에 있어서는 깨함량이 많을수록, 볶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이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거피한 깨로 제조한 죽은 그렇지 않은 시료구에 비해 L 값이 높았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깨죽과 거피깨죽의 관능적 특성중에서 전체적인 기호 도는 풍미, 고소한 맛과는 p < .001 수준에서, 관능적 특성인 요소인 색은 Hunter color value인 a값과는 p < .05 수준에서, b값과는 p<.001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관능적 요소인 풍미, 고소한 맛과 동시에 기계적 검사의 색도 치인 a와 b값과도 p<.01에서 유의 적인 정의 상관관계였으나 L값과는 p<.01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이 깨죽과 흑임자죽보다 회분, 전당, 조섬유 등의 함량이 적은 반면에 수분, 단백질, 지방 등의 함량은 많았다. 거피깨죽과 깨죽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 01eic > Palmitic > Stearic > Myris-tic > Arachinic > Linolenic acid 순으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깨죽의 필수지방산은 42.53%, 거피깨죽은 43.67%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거피흑임자죽과 흑임자죽의 지 방산 조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의 조성 순위 만이 달랐으며 필수지방산에 있어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각각 41.92%, 44.92% 로 거피흑임자죽이 약 3% 많았다. 이상으로 깨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조회분, 조섬유 등이 손실되었으나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졌고, 종피 속에 함유된 무기질의 유독 성분도 함께 제거되었으므로 일부 연구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죽은 소화흡수에 좋고 필수지방산 이 많은 참깨와 흑임자를 첨가하였으므로 맛과 영양이 크게 증진되어 현대인의 식품선택 요구에 맞는 건강식, 기호식 , 간편식, 치료식 등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