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on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건조향신 조미식품의 품질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살균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Ethylene Oxide Fumigation for the Quality Preservation of Spices and Dry Vegetables)

  • 신광순;마점술;조종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32
    • /
    • 1989
  • 건조향신 조미식품의 품질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살균처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현행 처리법인 ethylene xxide 가스에 의한 훈증처리법과 새로이 도입된 감마선에 의한 방사선조사법에 의한 오염 미생물의 살균효과와 이 화학적 성분 및 광능적 품질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향신조미료의 원료 및 라면수우프의 미생물오염은 시료 및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평균 $10^4~10^{6}/g$ 범위였으며 , 대장균은 후추 및 파 분말에서만 $10^2~10^3/g$ 정도는 검출되었다. 2) 오염된 미생물의 살균효과는 Ethylene Oxide 가스 처리로서도 $10^3/g$ 수준까지 감소시킬수 있었으나, 방사선 조사처리구는 7~10kGy 조사로서 거의 완전살균이 가능하였다. 3) 이화학적 성분함량에서 수분, 회분은 처리방법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 전당분 및 비타민 C도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감소하였다. 4) 고추 및 후춧가루의 capsanthin 및 piperine의 함량변화는 처리 정도와 저장기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마늘, 양파 및 파의 pyruvic acid의 함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5) 관능적 기호성 조사에서 무처리구, 방사선 조사구, E,O.가스 처리구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고, 색도 변화는 무처리구와 방사선 조사구와는 약간의 차이가 보였으나 Ethylene Oxide 처리구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행 살균법임 ethylene oxide 가스 처리법보다 방사선조사 살균법을 이용하여 처리함이 품질의 향상과 보존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발생으로 인한 인 용출이 한꺼번에 일어날 수 있다. 복합층(granule-Gypsum+sand(1 cm))으로 capping을 할 경우, 인 용출 차단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SO_4}^{2-}$ 농도 역시 powder-Gypsum, granule-Gypsum 보다 수층으로 용출이 적어 상수원보호구역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Gypsum으로 capping을 할 경우, 빠른 초기속성작용(early diagenesis)과 ${SO_4}^{2-}$ 농도가 퇴적물에 충분히 공급되어 SRB(sulfate reducing bacteria)의 활성이 높아져 methanogensis의 진행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arbonyl 반응(反應)이 주도적(主導的) 역할(役割)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총당(總糖)과 갈변반응속도(褐變反應速度)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100^{\circ}C$의 경우 20시간(20時間)에 가장 색도(色度)가 높아 갈변반응속도(褐變反應速度)가 0.2로 나타났다. the esophageal mucous cells pf Bryzoichthys lysimu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while on the other hand a feww mucous cell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and minimal amount of sialomucin. But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Takifugu pardalis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mucin

  • PDF

식물유래 천연색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Each Kind of Natural Plant Pigments)

  • 부희옥;황성진;배춘식;박수현;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2
    • /
    • 2011
  • 선발된 13종의 천연색소 추출물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천연색소 종류별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면 적양배추(red cabbage), 양파껍질(onion peel), 레드비트(redbeet), 흑미(black rice), 오디(mulberry) 색소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청치자(blue gardenia) 및 황치자(yellow gardenia), 완숙여주(mature bitter melon) 색소 등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반응용액 pH 1.2의 경우 양파껍질, 레드비트, 치자황, 지황(chinese foxglove), 치자청 색소에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적양배추와 오디 색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반응용액 pH 6.0에서는 대부분의 색소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효소활성 결과를 보면, SOD 활성의 경우 여주, 흑미, 포도과피 등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자색고구마, 지황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APX 활성은 뽕잎, 오디, 지황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AT 활성도 APX 결과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색소에 있어 항산화 효소의 종류에 따라 그 활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천연식물색소에 대해 높은 항산화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의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우육조리법(牛肉調理法)의 역사적(歷史的) 고찰(考察) - I. 우육을 사용한 국류의 조리법을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 I. cookery of soup based on beef -)

  • 류경림;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3-235
    • /
    • 1992
  • 1. There were 21 kinds foods and preservation of beef and the number of dishes were 346 in the literatures written before 1943. 2.Soup(羹) was appeared first, and followed by dried beef(肉脯), steamed(蒸), sliced of boiled beef(熟肉과 片肉), preservation(貯臟), pan broiled beef(濕熱炒), salted beef(肉醬), raw beef(膾), shish kebab(算炙), roasted with seasoning(炙), beef with vegetables cooked in pan(煎鐵), calf`s-hoof jelly(gelatin)(足片), jaban(佐飯), hardboiled beef(boiled in soy sauce), ravioli (饅頭), beef juice(肉汁), thick broth(heavy soup, 助致), grilled beef (煎油魚), mix with the season(muchim), sun(膳) and gruel(粥). 3.The total of 14 different names of soup were found in the literatures which are Yang tang(stomach soup), Dunggol tang(marrow soup), Dogol tang(medulla soup), Sungi kuk(ox-blood soup), Sogogi kuk(beef soup), Gom kuk(bone attached beef and organs soup), Jap tang(bone attached beef, organs and tough beef soup), Yukgaejang(fresh beef, organs and green onion soup), Joujeo tang(foot starched soup), Jok tang(foot soup), Kori tang(ox-tail soup), Kalbi tang(rib soup), Malgun jangkuk(clear soup), Wan ja tang(beef ball soup). 4.The number of staple ingredient were Tripe and fresh meat among 26 kinds of major ingredient, radish, wheat flour, egg among 21 kinds of miner ingredient black pepper, soy sauce and seasame among 22 kinds of seasonings, and Thin layer-fried egg among 9 kinds of decorating ingredient were used commonly in cooking for soup.

  • PDF

영조가 복용한 죽(粥)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영조 기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Porridge that King Yeongjo Had Been Served - Based on The Daily Record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during King Yeongjo period -)

  • 엄동명;김영현;송지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2017
  • Objectives : Many curative methods are used utilized in order to rid human body of disease when people become sick. Traditional Korean medicine generally prescribe methods that involve acupunture, moxibustion, or herb formulae. However, different types of foods are sometimes used as well. While wondering the history and efficacy of Qi-elevation foods that were consumed by Koreans in the past, the author discovered that a record from the Joseon Dynasty, called The Daily Record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henceforth the Record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different types of porridge. Hence, the author looked through the records of porridge as written in the historical material in an attempt to learn the examples and efficacy of medicine-porridge consumed in Joseon's royal palace. Methods : After searching for the keyword, 'porridge', in the Records a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author extracted the porridges recorded during the Yeongjo period that each has its own special name. Results : Different types of porridge were recorded in the Records as following: arrowroot porridge, bean-leaf porridge, mung bean porridge, bean porridge, malt-rice porridge, oriental arborvitae seed porridge, crucian porridge, lotus seed porridge, adlay porridge, red bean porridge, welsh onion porridge, milk porridge, seashell porridge, ginko nut porridge, black sesame porridge, and mandarin porridge. Each porridge was used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any disease that afflicted the king Yeongjo or his royal family members in relation with the ingredient herb's medicinal function. Conclusions : These porridges consumed by the king Yeongjo and his royal family members were used not only with a purpose of aiding their body's recovery from disease, but with the goal to actively curing them of ailments.

Natural products in the research of cholesterol gallstones

  • Castro-Torres, Ibrahim Guillermo;De la O-Arciniega, Minarda;Gallegos-Estudillo, Janeth;Martinez-Vazquez, Mariano;Naranjo-Rodriguez, Elia Brosla;Dominguez-Ortiz, Miguel Angel;Cruz-Sanchez, Jesus Samuel
    • 셀메드
    • /
    • 제3권3호
    • /
    • pp.21.1-21.5
    • /
    • 2013
  • Cholesterol gallstones are a digestive disease of high prevalence that has many risk factors; for this reason,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how to prevent it rather than how to treat it. Many molecules of the hepatic, bile and intestinal systems ar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this disease, making it very difficult to find a therapeutic target.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is limited, so when gallstones generate symptoms, medical treatment indicates gallbladder removal. Ursodeoxycholic acid is used to dissolve cholesterol stones, and ezetimibe and statins are other drugs with possible ap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Given the small number of drug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treating this disease, the research of natural products becomes of paramount importance. Resources such as black radish, glucosinolates, fenugreek, capsaicin, curcumin, garlic, and onion, have all shown significant effec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olesterol gallstones. In this review, we made a synthesis of the scientific reports that deal with these natural products and that can serve as antecedents for finding a way to treat the most common disease of the gallbladder.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에 대한 연구( I ) -경기도 용인군과 이천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Cultural Properties and Weathering Phenomena of the Rocks for Conservation( I ) - Yongin-gun and Eechon-gun, Gyeonggi-do -)

  • 박경립;이상헌;신종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68
    • /
    • 1996
  • Stone-cultural-properties, distributed In the area, have been investigated and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ock phases in the geological and conservational point of view. Stone-Buddhas in the area can be subdivided into Maebul-, General -, and Massive rock-types according to their styles. The rocks used in these stone-cultural-properties are mainly massive, coarse grained biotite granite of the Jurassic age, which is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Reckon-gun area. However, quartz-feldspathic banded gneiss, marble, phyllite and hornblendite are also used. These rock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Yongin-gun area. This suggests that the rocks used. These rock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hemical weathering so that the rock surface is very irregular with $2\~3mm$ relief. Biotite granite used shows generally weathered surface of brown color due to chemical weathering of feldspars. Moss are pervasive partly on the surface to show black and/or green colors. The strong weathering may induce secondarily to appear the igneous lineation, onion-structure, and/or minor cracks latent in the rocks. The cultural properties In the area are relatively well conserved except Maebuls and one(Duchangri 3-story) pagoda. However, one stone-buddha may be grinded recently by machine to take off the weathered surface resulting in the loss of its age and the original detailed shape. For conservation, they must be scientifically considered on the shape, kind of the rock pha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eathered phenomena.

  • PDF

Flusilazole의 훈증 효과에 의한 양파검은곰팡이병균(Aspergillus niger)의 포자 형성 억제 (Inhibitory Effect of Flusilazole on the Spore Formation of Aspergillus niger Causing the Onion Black Mold in Vapour Phase)

  • 김흥태;박세원;최경자;김진철;조광연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24-130
    • /
    • 2002
  • 1998년 전남 신안군의 양파 상온 저장고에서 발생한 검은색의 곰팡이는 검은곰팡이병을 일으키는 Aspergillusniger로 동정되었다. A. niger AnYD-1은 3$0^{\circ}C$에서 균사생장, 포자발아 그리고 양파에 대한 병원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PDA 배지 상에서 실시한 in vitro의 실험에서 flusilazole과 hexaconazole은 A. niger AnYD-1의 균사 생장 억제 효과는 적었지만, 병원균에 살균제를 직접 처리하지 않고 증기 상태로 처리하였을 때 포자의 형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특이적 인 훈증효과를 보였다. Flusilazole과 hexaconazole의 훈증의 효과는 사용하는 용매, 처리 농도와 배양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Dimethylsulfoxide와 dimethylformamide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으며, 고온에서 배양할수록 포자형성 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한국음식용어(韓國飮食用語)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Food Terms)

  • 이성우;김경진;이효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0-175
    • /
    • 1983
  • The paper is to classify the terms of foods, wines, relish(komyungs), seasonings and cooking processes in Korean cooking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The dishes which were made from cereals are Bab(boiled cooked rice), Juk(gruel), Miuem(Thin rice gruel), Noodle, Sujebee, Mandu(Pyun su, dumpling), D'ockuk, Pumbok, Yaksik, D'ock(Korean rice cake) etc. The terms of side dishes are Tang (Kuk, Kaeng), Chigae(Jochi Kamjeang, Jijimee, Tugari, Wakjeoji), Jim(Jeung), Sun, Jungol(Abok jaeng ban, sinsulro, punggujigol), Bockum, Kui, Jorim, Cho, Jun(Jijim, Jeenya, Puchigae, Bindae-dock, Nureumi) Jeok(San-jeok, Nuremjeok, Jijimnureumjeok), Hoe (Saenghoe, Sukhoe, Kanghoe, Sujeonghoe, A chae), Mareum chan (Po, Jaban), Changachi (Jangkwa, Sukchae (namul)-Japchae, Kyujachae), Muchim, Sam, Tuigim, Pyunyuk, sundae, suran, Jeockal (Sikhae), Jockpyun, Mal-i, Jihi, Kee, Pojeok, Gimchi etc. The kinds of Jabgwas are Kangieong(Sanja), Yumilgwa, Suksilgwa, Dasik, Jeonggwa, Yeocgangjeong, Gwapyun etc. The kinds of beverages are Hwachaes and Teas. The terms of the wines in Korean cooking bok are 173 kinds. There are 21 kinds of Relish(komyung). There are 12 kinds of Jang, and the terms of the seasonings are as follows: mustard, cinammon, pep per, powder of peppers, powder of sesame, honey, garlic, ginger, sugar, salt, vinegar, syrup, yunjeup, jochung, sesamol-oil, chojeckuk, sesame, greet-onion, powder of black pepper, oil etc. There are 547 kinds of prepared cooking terms, 36 kinds of cutting terms and 34 kinds of boiling term in food making terms.

  • PDF

조미료(調味料)가 ${\alpha}-amylase$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ndiments upon ${\alpha}-Amylase$ activity)

  • 서명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104-109
    • /
    • 1976
  • 0.2% ${\alpha}-amylase$용액(溶液)에 파, 생강, 마늘, 고추, 후추 mono sodium glutamate. 설탕, 고초냉이, 겨자, 산초등(等) 각종(各種) 조미료(調味料)를 Homogenizer로 마쇄(摩碎) 하여 0.2% ${\alpha}-amylase$용액에 0%, 1%, 5%, 10%씩 첨가(添加)한다음 일정시간(一定時間)마다 Wohlgemuth 법(法)에 의(依)하여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여 조미료(調味料)가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파 0.2% ${\alpha}-amylase$ 용액(溶液)에 파를 1%, 5%, 10% 첨가(添加) 하였을때의 ${\alpha}-amylase$ 활성(活性)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계속 50% 억제 되었다. 2)마 늘 마늘 1%, 5%, 10%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약(約) 50% 억제 되었다. 3)생 강 생강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전반적(全般的)으로 7일(日)까지는 50% 억제되었으나 5%, 10% 첨가구(添加區)는 10일(日)에 와서 더욱 억제 되였다. 4)후 추 후추 첨가구(添加區)는 모두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50% 억제되었으나 3일(日) 이후(以後)부터는 약(約) 75%의 억제 현상을 나타냈다. 5)고 추 1%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調區)에 비(比)하여 50% 억제 하였으며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함에 따라 75%까지 억제하였다. 6)산 초 산초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시일(貯臧時日)과 관계(關係)없이 50% 억제하였고 10% 첨가구(添加區)는 3일이후(日以後)부터 계속 억제하여 75%까지 억제 하였다. 7)겨 자 겨자 1%, 5% 첨가구(添加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에 따라 62.5%의 억제 현상을 보였다. 8) 고초냉이 고초냉이 1%, 5% 첨가구(添加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87.5%까지 억제하였다. 9) Mono sodium glutamate Mono sodium glutamate 1% 첨가구(添加區)는 5일(日)까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억제하지 않았으나 그후(後)부터 50% 억제하였고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따라 50%에서 82.5%로 억제되었다. 10)설 탕 설탕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50%로, 그 이후(以後)는 75% 억제되었고 설탕 10% 첨가구(添加區)는 계속 75% 억제 하였다.

  • PDF

종자처리 양파(Allium cepa L.)의 포장직파재래 생육 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Treatment Onion (Allium cepa L.)Seed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 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4-101
    • /
    • 2001
  •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