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Forest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 Group에 속하는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검출 (Detection of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 Associated with Black Locust Witches' Broom in Korea)

  • 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37-741
    • /
    • 2007
  • 전형적인 파이토플라스마성 빗자루증상을 보이는 아까시나무가 전북지방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잎들이 총생하였고, 마디와 마디 사이가 좁고, 가지가 위축되어 있는 증상을 보였다. 파이토플라스마 검출 primer인 P1/P7(약 1.8 kb)과 R16F2n/R2(약 1.2 kb)를 이용하여 증폭한 결과 빗지루증상을 보인 아까시나무에서 파이토플라스마 검출되었으며, 건전한 아카시에서는 PCR산물이 증폭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유의성 검정결과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는 aster yellow, 뽕나무오갈병, maize bushy stunt, 물푸레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 99.2% 이상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GeneBank Accession No. AF 244363) 및 대추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는 각 각 88.6% 및 87.7%의 유의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는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16Sr I) group에 속하였으며, 16Sr III(peach X-disease phytoplasma group) group에 속하는 아카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는 다른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 예측 (Prediction of Heat-treatment Time of Black Pine Log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 한연중;서연옥;정성철;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70-380
    • /
    • 2016
  • 제주도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열처리는 처리 원목의 중심부가 소나무재선충의 사멸온도인 $56^{\circ}C$를 30분간 유지하여야 한다. 곰솔 원목의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은 각각 46% ~ 141%, 180 mm ~ 500 mm의 범위이고, 기본비중과 전건비중은 각각 0.47, 0.52이었다. $105^{\circ}C$ 조건에서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라 열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7.7 h ~ 44.2 h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함수율 및 지름을 갖는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열처리 진행 중 처리목 내부의 온도분포를 유한차분법을 적용한 2차원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열전달 해석을 위한 목재의 열적 특성은 함수율에 따른 열전도계수와 비열을 적용하였으며,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를 합한 형태의 혼합대류에 의한 혼합대류계수를 적용하였다. 실험값과 예측 값의 오차는 3 ~ 45%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곰솔 원목에서 초기함수율이 50%이고, 말구지름이 200 mm, 300 mm, 400 mm인 경우, 예측된 열처리 소요시간은 각각 10.9 h, 18.3 h, 27.0 h이었다. 초기함수율이 75%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3.6 h, 22.5 h, 32.8 h이고, 초기함수율이 100%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6.2 h, 26.5 h, 38.2 h이었다. 이러한 열처리 소요시간의 예측방법에 소나무와 잣나무 등 다른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물리적 특성을 적용하면,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른 열처리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곰솔임분의 임분연령별 상대생장식 및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an Age-sequence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 김춘식;이광수;손영모;조현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43-549
    • /
    • 2013
  •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유사한 입지환경에서 생육한 평균 임령 35년생, 51년생, 62년생 곰솔임분을 대상으로 각 연령별 8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과 줄기밀도 및 현존량 확장계수를 개발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부위별 건중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은 62년생 임분의 잎 바이오매스를 제외하고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5), 결정계수($R^2$)의 값도 0.55-0.98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각 임분 연령에 대한 상대생장식(Age-specific allometric equations)의 회귀계수(slope)에 유의적인 차가 없어(P>0.05), 35년 이상 곰솔임분의 경우 임분 연령에 관계없이 일괄 상대생장식(Generalized allometric equations)을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밀도와 현존량 확장계수도 임분 연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줄기밀도는 $0.45-0.51gcm^{-3}$, 현존량 확장계수는 1.32-1.38 정도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35년 이상 성숙한 곰솔임분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줄기밀도, 현존량 확장계수는 임분 연령의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흑탄과 백탄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and White Charcoal Manufactured in Korea)

  • 권성민;권구중;이성재;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57-63
    • /
    • 2007
  • 국내 전통식 탄화로에서 생산된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_{LUME}$)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_{ISCH}$) 흑탄 및 백탄의 해부학적 특성을 주사전자현미경법으로 조사하였다. 흑탄 및 백탄 조재부 도관의 형태는 접선방향으로 수축하여 방사방향으로 긴 타원형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구성세포들의 형태와 구조적인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만재부 도관은 접선방향으로의 수축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백탄의 경우 인접세포들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도관의 형태가 다소 찌그러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목섬유 부분은 과도한 수축에 의해 세포가 크게 변형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재부도관 내 타일로시스는 백탄과 흑탄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방사유세포는 세포벽이 상당히 얇아진 모습을 보여주었고, 변형도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백탄의 경우에는 고온탄화에 의한 세포벽의 수축으로 유세포간 공극이 발생되었다. 단열방사조직과 광방사조직의 경우에는 고온 탄화에 의해 세포벽이 수축하면서 세포내강이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세포내강이 소실되는 현상은 탄화온도가 높은 백탄에서 자주 관찰되었다. 따라서 흑탄에 비해 백탄의 수율이 낮은 것은 목재성분의 일부 손실뿐만 아니라 탄화온도에 따라 구성세포 치수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한국 남서해안지대의 해송림에 만연된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us thunbergianae)의 생태, 기주범위 및 피해해석에 관한 연구(I) (Bionomics, Host range &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us thunbergianae (Homoptera : Cocoidea), in the Coastal Area of Southwest Korea)

  • 김규진;오광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6-395
    • /
    • 1992
  • 솔껍질깍지벌레의 발생 상황은 피해만연지대(남서해안 및 도서지역), 피해확대지역(해안지역에서 내륙지대로, 해안에 연하여 북상)으로 구분되었다. 남부해안지대에 곰솔을 집중적으로 가해하는 솔껍질깍지벌레는 Matsucoccus thunbergianae로 조사되었으며 연 1회 발생하며 발생시기는 3월 초순~5월 초순에 걸쳐 소나무껍질밑으로부터 교미산란하기 위하여 외부로 출현하였으며 그 peak는 3월 하순~4월 중순이었다. 기주식물의 기주범위조사에서 곰솔(Pinus thunbergii)외에 스트로브잣나무(Pinus strobus), 테어데소나무(Pinus taeda), 방크스소나무(Pinus banksiana), 맛소니아소나무(Pinus massoniana), 타이완네시스소나무(Pinus taiwannesis), 소나무(Pinus densiflora)등 7종이 구명되었다. 피해목의 수령별 피해율은 1~3년생 0.8%, 4~6년생 3.7%, 7~9년생 5.2%, 10~12년생 9.3%, 13~15년생 8.1%, 16~18년생 7.8%, 19~21년생 6.7%, 22~24년생 3.3%, 25~27년생 1.9%, 28년생이상 1.1%로 7년생에서 20년생까지의 수령에서 피해율이 가장 높았고 피해목 가지의 수령별 피해율은 6~7년생가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간에서는 중간부위의 가지가 생존하는 하단부로부터 상위부로 피해가 진전되었다. 조사지대에서의 단순림/혼효림의 혼효도에 의해 피해율은 지역별 각각 고흥 : 81.3%/52.5%, 해남 : 80.3%/58.1%, 무안 : 76.3%/48.5%로 단순림에서 피해가 많았다. 입목밀도에 따른 피해율은 100$m^2$당 20주이상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피해율이 높았다.

  • PDF

Recovery and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Fukiage Sand Dunes of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Chun, Kun-Woo;Kim, Suk-Woo;Lee, Youn-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383-392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kiage sand dunes of southern Kyushu, Japan. We surveyed the status of recover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forest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their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We placed two transects: Transect 1, in an area that was severely damaged (80-90% damage rate) by pine wilt disease, and Transect 2, in an area that was mostly undamaged (<10% damage rate). Then, we installed survey lines, carried out vegetation surveys, and measured the depth and pH of humus soil. The survey lines were placed perpendicular to the coastline from the top of the fore-dune to the inland area, and divided into five 50 m sections. Before the point 100 m inland from the top of the fore-dune, the number of invasive hardwoods and of Japanese black pines were small because of the poor growth environment in both transects. Past the 100 m point, the species and number of Japanese black pines and broad-leaved trees increased further inland because the growth environment improved. In addition, the recovery metrics of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age, and number in Transect 1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ransect 2, and the basal area of broad-leaved trees and the depth of humus soil in Transect 1 were lower than in Transect 2, and the soil pH of humus soil in Transect 1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ect 2. The shape ratio of the Japanese black pine forests indicated that they were insufficient for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fully promote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forests, we should not only focus on prevention of pine wilt disease but also undertake continuous control effor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ound growth environment such as appropriate density and soil management and removal of invasive broad-leaved trees.

발효차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 및 카페인 분석 (Biological activity, nutrients and caffeine analysis of fermented tea)

  • 김태희;권예은;박선민;김명주;안선미;홍은경;기호삼;최선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94-204
    • /
    • 2021
  • 최근 국내에서 발효차에 대한 수요도가 높아진 것에 비해 국내는 발효차 연구에 대한 역사가 짧고, 해외 유명 발효차들과의 과학적인 비교분석결과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세계 3대 홍차인 스리랑카 우바, 중국의 기문, 인도의 다즐링 홍차와 함께 전남 순천에서 생산되는 발효차를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 검정 및 발효차의 주성분의 규명 및 함량 분석을 HPLC 및 TOF-MS 등의 분석을 통해서 실시 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은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2종의 실험을 실시하였고, 항염증 활성은 NO 생성 억제능을 통해서 실시 하였으며, 세계 3대 홍차와의 성분 분석을 위해서 총페놀 함량과 기호성 음식으로 분류되는 차의 특성상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입맛에 관계된 성분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탄닌산, 유리당, 유기산, 카페인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국내 자생하고 있는 야생 차나무로부터 생산된 발효차는 각각의 생리활성과 유효물질들의 함량을 과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세계 유명 3대 홍차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생리활성과 유용한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Identification of Initiation Period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Floral Primordia in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 Lee, Kyung Joon;Hong, Bonggh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67-72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eriod of initiation of floral primordia in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floral buds until following spring. Four mature trees of black locust located in Suwon, Korea were selected. Bu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urrent-year shoots, starting from mid June to July every week, from August to October and from February to April every month. The buds were fixed in FAA solution, dehydrated, and imbedded in paraffin for microscopic observation. Buds collected on June 16, and 23, 1997, contained primitive primordia that might be interpreted as early floral primordia. By June 30, a bud showed a positive indication of inflorescence primordium with a well-formed shoot apex. All the inflorescence primordia observed throughout the collection periods were always associated with unique hairy appendages around the primordium and enclosed within a sclerenchymatous chamber. By July 7 and 15, a floral apex had early bud scales. By July 22, primitive inflorescence developed into visible arrangement of individual floral primordial By July 29, the inflorescence developed into whirl arrangement of individual floral primordia in a transverse section, but showed little further development until October 15. The inflorescence primordia seemed to over-winter at this stage. Buds collected from February 15 and March 24 the following year also showed no further development of inflorescence primordia. By April 7 the inflorescence started to show further development with elongated axis. At this time individual flowers were easily recognized.

유럽 산간마을의 건축과 경관형성실태에 관한 연구 - 독일의 남서부지역 블랙 포레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e and Structure of Landscape Building in Remote Mountain Village - Focused on Southwestern Black Forest Area, Germany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1-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architecture of the mountain village conforms to the geography and local landscape, and become a unique scenic element. Also, the study is to grasp the status of the village landscape design elements.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field research with references in Biederbach community, an isolated mountain village in Southwestern Germany. The time frame for the survey research is July 2015.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 the analysis of the village's landscape structure,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ign patter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First, the village landscape structure seen in the mid-distance view is the hilly scene of the alpine region, which houses the sloping terrain of Black Forest and surrounds the residential area with the grassland covered by the Black Forest. Second, the main elements of the town's landscape building are historical culture, traditional architecture, topology and nature,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design. Third, the landscape design utilizing the village's resources creates a sustainable community's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