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terness hydrolysat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 활성획분에 의한 Alcalase 처리 멸치(Engrauris japonica) 가수분해물의 쓴맛 개선 최적화 (Optimization of Reduced Bitterness of Alcalase-treated Anchovy Engrauris japonica Hydrolysate by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윤인성;김진수;이정석;권인상;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24-732
    • /
    • 2021
  • This study us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to reduce the bitterness of alcalase-treated anchovy hydrolysate (AAH) by the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 (AAF) derived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selected AAF/AAH ratio (X1, %) and hydrolysis time (X2, h)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gree of hydrolysis (Y1) and bitterness (Y2) as dependent variables. The uncoded values of the multiple response optimization for independent variables were 3.4% for the AAF/AAH ratio and 9.2 h for the hydrolysis time. The predicted values of the yield and bitterness score of alcalase-AAF continuously treated anchovy hydrolysate (AAAH)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68.9% and 4.6 points, respectively. Their measured values of 69.5% for yield and 4.6±0.5 points for bitterness were similar to the predicted values. The food components of AAAH were 91.4% (moisture), 7.5% (protein), 0.1% (lipid) and 0.6% (ash). Th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value for use as an anchovy seasoning base.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bitterness of AAH was remarkably improved by AAF and implicates AAF derived from squid hepatopancreas as a good enzyme to catalyze reduced bitterness.

조미액으로의 활용을 위한 양파 가수분해물 제조 (Preparation of Onion Hydrolysate for Usage of Sauce)

  • 조원대;유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47-1151
    • /
    • 1997
  • To develop an onion sauce, reaction conditions of celluclast 1.5L and pectinex on onion were investigated and organoleptic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Degree of hydrolysis(D.H) of hydrolysate by a mixture of celluclast 1.5L and pectinex was a higher than that by each enzyme. Hydrolysate by a mixture of celluclast 1.5L and pectinex(1:3v/v) showed 86% of D.H. and total sugar content of the hydrolysate was 54mg/ml. Hydrolysates showed 83~86% of D.H. at reaction temperature of $25^{\circ}C$ to 45$^{\circ}C$. Total sugar content of the hydrolysat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H. and total sugar content of hydrolysate was 76~86% and 51~63mg/ml, respectively, under acidic conditions. D.H. and total sugar content of hydrolysate were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ime. Bitterness, sweetness and ordor of roasted pork prepared by adding onion and onion hydrolysat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ut color and preferenc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sweetness and bitterness of the roasted pork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onion hydrolysate, although ordor and preference of the roasted por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PDF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간췌장 유래 Exopeptidase 분획물의 쓴맛개선 효과 (Debittering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민지;김기현;강상인;박성환;이현지;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5-143
    • /
    • 2014
  •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hepatopancreas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obtained with acetone (AC 30-40%), ammonium sulfate (AS 60-70% satu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E-II, 0.2 M NaCl)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GF-I, 30-50 kDa) fractionation methods. A bitter peptide solution that has a bitterness equivalent to that of 2% glycylphenylalanine and prepared by tryptic hydrolysis of milk casein, was treated with the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The GF-I fraction was the best based on aminopeptidase activity (35.3 U/mg), percentage of recovery (30.7%) and a sensory evaluation (1.7). The amount of released amino acids increased as incubation time increased, and the bitterness of the enzyme reaction mixtures decreased. Incubation with the GF-I fraction for 24 h resulted in the hydrolysis of several peptides as revealed by the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guid chromatography profile, with three peaks (3, 5 and 6) decreasing in area (%) and three peaks (1, 2 and 4) increasing in area (%). Therefore, the GF-I fraction appeared to be ideally suited to reduce bitterness in protein hydrolysates by catalyzing the hydrolysis of bitter peptides.

명태단백 Pronase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Pronase Hydrolysate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5-343
    • /
    • 1995
  •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ty of alaska-pollack,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pronase hydrolys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hydrolysis of alaska-pollack by pronase were 4$0^{\circ}C$ and pH 7.0. The reaction time and enzyme concentration were 4 hr and 1,000 units per g of substrate. Under the above optimum conditions alaska-pollack was hydrolysed by pronase yielding a hydrolytic degree of about 89eye. The bitterness and hyrophobicity of pronase hydrolysat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Hydrophobic amino acids(Tyr, Met, Ala, flu, Leu, and Phe) were increased for 2 hr, but fur thor hydrolysis was showed decrease of hydrophobic amino acids content. Palatable amino acids (Asp, Glu, Pro, Ser, Thr and Gly) were increased with hydrolysis time.

  • PDF

효소종류에 따른 대두단백, 카제인, 글루텐, 젤라틴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쓴맛과 용해도 특성 (Bitterness and Solubility of Soy Protein, Casein, Gluten, and Gelatin Hydrolysates Treated with Various Enzymes)

  • 김미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7-594
    • /
    • 2010
  • 다양한 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개발을 위하여, casein, ISP, wheat gluten, gelatin의 4종류 단백질 기질을 alcalase, bromelain, papain, neutrase, trypsin 등의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각 단백질에 대한 효소 분해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pH-stat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단백질 가수분해도(DH)를 측정하였고, 단백질 종류와 효소 종류에 의한 쓴맛 정도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해성을 검토하고자 DH 10%에서 가수분해를 종결짓고, pH 6.5에서 각각의 용해성과 쓴맛을 NSI(nitrogen soluble index) 측정과 관능검사로 비교하였다.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는 단백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Casein, ISP, wheat gluten, gelatin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단백질에서 alcalase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으며, neutrase, bromelain, papain의 가수분해도는 비슷한 정도를 보였다. 그러나 trypsin의 경우는 casein에서는 매우 높았지만, ISP에서는 가장 낮았다. DH 10%에서 casein은 trypsin 가수분해물이, ISP와 gluten은 brolmelain과 neutrase 가수분해물이, gelatin의 경우 사용된 모든 효소 가수분해물이 쓴맛이 약하고 용해도가 높아 좋은 기질-효소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쓴맛이 적고 용해도가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도의 조절과 단백질과 효소 조합의 선택,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농도 조절 등으로 얻을 수 있었다.

명태단백 가수분해물 제조 및 plastein의 합성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and plastein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이호;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39-345
    • /
    • 1992
  • 명태육의 식품가공적성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pronase에 의한 명태단백의 가수분해조건과 fruit-와 stem-bromelain에 의한 plastein의 합성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ronase 가수분해 최적조건인 반응pH 7.0, 반응온도 $40^{\circ}C$, 기질 g당 효소첨가량 1,000units 및 반응시간 4시간에서 89% 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Plastein은 pH가 각각 5.0(stem-bromelain)과 7.0(fruit-bromelain)으로 조정된 기질 30% 용액에 bromelain 1%를 가하여 $40^{\circ}C$, 24시간 진탕반응하여 합성하였다. 이 최적조건에서 합성된 plastein은 각각 22.6과 20.8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능검사에 의해 반응초보다 크게 쓴맛이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 활성획분에 의해 쓴맛이 개선된 멸치 조미소스의 제조 및 식품특성 (Preparation and Food Characteristics of Seasoned Anchovy Sauce with Improved Bitterness by Treatment of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 Derived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윤인성;김진수;최유리;손숙경;이지운;강상인;권인상;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49-860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paration of seasoned anchovy sauce (SAS) and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by using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s (AAFs) derived from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as a bitter taste improver. As the base of the SAS, a hydrolysate (AAAH) prepared by continuously treating raw anchovies with Alcalase-AAF was used.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ofile of the AAAH suggested that the action of AAFs decreased the hydrophobicity of the N-terminal peptide related to bitterness in the protein hydrolysates. SAS was prepared by blending with the AAAH and other ingredients. The crude protein (2.5%), carbohydrates (18.4%), amino acid-nitrogen (1,325.1 mg/100 mL), and total free and released amino acids (FRAAs, 700.2 mg/100 mL) of SA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mercial anchovy sauce (CAS).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SAS was superior to CAS in flavor, color, and taste. The main FRAAs of SAS were glycine (16.8%), alanine (13.2%), glutamic acid (7.8%), and leucine (7.3%). The amino acids that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taste according to the SAS taste value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2.21 mg/mL) and antioxidant activities (3.58 mg/mL) of SAS were superior to those of CAS.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으로부터 aminopeptidase 활성 획분의 쓴맛 개선 효과 (Lowering the Bitterness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Aminopeptidase-active Fractions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혜숙;이현지;박성환;김기현;강상인;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16-722
    • /
    • 2014
  • 국내산 살 오징어 간췌장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단백질 성질에 기초한 분획방법(용해도, 전기적 성질 및 분자량크기)으로 분획한 endoprotease 및 aminopeptidase 활성 획분들에 대한 분해 활성 비교한 다음, 이들 획분의 반응시간에 따른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의 쓴맛 개선 효과를 효소활성, 관능검사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획방법별 각 획분의 쓴맛 평가에 의한 쓴맛 개선 효과는 겔 여과법에 의하여 분획된 획분(GF-I, 30-50 kDa)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GF-I 획분을 2% Gly-phe에 준하는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1/500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16시간 이상 반응시킨 가수분해물은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친수성이 강한 피크면적(피크 1, 2 및 4)은 증가한 반면, 소수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피크면적(피크 3, 5 및 6)가 감소하였으며, 쓴맛 평가 결과에서도 쓴맛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오징어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의 효율적인 산업적 이용을 위한 단백질 분자량 크기에 따른 연속분획 공정을 통한 대량회수 방법 및 쓴맛 개선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리된 아미노산분석, 효소안정성, 기질특이성 등에 대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치즈유청으로부터 제조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Whey Protein (WPC-30) Hydrolysate from Cheese Whey)

  • 윤여창;안성일;정아람;한송이;김명희;이창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35-440
    • /
    • 2010
  • 유청단백질농축물(WPC)은 풍부한 단백질 및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음으로 식품의 단백질 보충 및 건강 기능성 향상을 위해 식품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식품소재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유용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유청단백질의 산업화와 관련된 사항들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외여과를 이용한 WPC 제조과정에서 WPC-30을 포함한 한외여과 기의 국산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외여과, 분무건조 및 단백질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WPC-30 가수분해물의 이화학적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단백질 가수분해능 및 관능성에 대한 평가는 alcalase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품 형성능은 flavourzyme 처리한 WPC-30 가수분해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다양한 pH조건에서의 단백질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protamex 처리한 WPC-30 가수분해물에서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든 WPC-30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알차리 조건에서는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들을 총체적으로 검토한 결과, 효소를 이용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알카리조건에서 alcalas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의 염기성 프로테아제로 분해된 ${\alpha}_{s1}$- 및 ${\beta}$-카세인에서 분리된 쓴 맛 펩타이드 (Bitter Peptides Derived from ${\alpha}_{s1}-and\;{\beta}-Casein$ Digested with 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 손경현;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9-665
    • /
    • 1988
  • 식품에서의 쓴 맛 펩타이드의 형성 기작 및 분해에 의한 제거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카제인 가수 분해물에서 쓴 맛 펩타이드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염기성 단백부내 효소를 순수 분리된 ${\alpha}_{s1}$-카세인과 ${\beta}$-카제인에 처리하여 카제인 가수 분해물을 만들고, 이 가수 분해물에서 용매 추출, Sephadex G-25 겔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쓴 맛 펩타이드를 순수 분리했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역상 칼럼인 octadecylsilica 칼럼을 사용했고, 0.1% TFA와 80% $CH_3CN$의 linear gradient 방법을 이용했다. ${\alpha}_{s1}$-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3가지 쓴 맛 펩타이드를 분리하였는데, BP-I은 $CH_3CN$ 34%에서, BP-II는 35%, BP-III는 26%에서 각각 용출되었다. ${\beta}$-카제인 가수 분해물에서 2가지 쓴 맛 펩타이드를 분리했는데, BP-IV는 $CH_3CN$ 40%에서, BP-V는 42%에서 용출되었다. 분리된 다섯 가지 펩타이드 중 BP-V가 가장 소수도가 높았으며, 쓴 맛은 BP-I과 BP-II가 가장 강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