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s Habitat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초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를 통과하는 겨울철새의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wintering migratory birds passing through Demilitarized Zone in Korea)

  • 이상돈;정지향;히로요시 히구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9-95
    • /
    • 2005
  • Understanding of routes of migratory birds are important subject for conservation of avifauna. Korea Demilitarized zone (DMZ)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opover for migratory birds that pass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region has been known internationally as an excellent nature preservation areas since 1953. Rare and endangered animal species such as leopards (Pathera pardus) and Siberian tigers (Panthera tigris) have increased in population. Furthermore this areas provide home for endangered migratory birds including white-naped (Grus vipio) and red-crowned cranes (G. japonensis). Recent satellite-tracked crane species has shown the importance and linkages between a small number of habitat sites in DMZ. White-naped cranes were satellite tracked 9 individuals spent 27-78% of their time in Panmunjum and 10-75% in Cheolwon. This signifies the rich feeding sites with relatively little disturbance thus making the DMZ extremely valuable as a stopover.

  • PDF

갑천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 이준우;이도한;백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41-58
    • /
    • 2003
  • 본 연구는 갑천에 서식 분포하는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4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여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1년간 선조사법 및 정점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하천구간인 가수원교-만년교구간에 서는 11목 29과 67종이 관찰되었고, 인공하천구간인 만년교-대덕교구간에서 6목 10과 30종, 대덕교-원촌교구간에서 8목 12과 28종, 원촌교-갑천교구간에서 8목 18과 40종으로 인공하천 전 구간에서 9목 19과 47종이 관찰되었다.자연하천구간은 산림, 경작지, 수변림, 모래톱, 자갈밭, 갈대숲 등의 서식지환경이 다양하고, 인간의 이용과 간섭이 가해지지 않은 결과 다양한 종들이 관찰되었으며, 인공하천구간은 호안블록과 잔디밭 등으로 수생태계와 육지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으며, 서식지환경도 단순하여 관찰 종 수가 낮게 나타났다. 갑천에 다양한 야생조류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자연형 하천과 같이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어우러진 서식지 즉 생태계를 고려한 다양한 서식지환경의 조성이 요구되며, 단편화된 서식지들을 연결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tream corridor를 고려한 하천의 정비 및 조성이 요구된다.

  • PDF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 이용 (Diets and Foraging Tactics of Eurasian Eagle Owls(Bubo bubo) in Two Different Habitat Types)

  • 남현영;이우신;최창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7
    • /
    • 2007
  • 한국중부 지역에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를 확인하고 서식 환경에 따른 먹이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냥흔적 및 먹이 잔존물 82개, 소화되지 않은 먹이 덩어리인 펠릿(pellet) 55개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류, 포유류 및 곤충으로 구성된 총 150개체의 먹이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조류의 이용 빈도(56.67%) 및 생물량(78.04%)이 가장 높았다. 집쥐류(Rattus spp.), 꿩(Phasianus colchicus), 등줄쥐(Apodemus agrarius)를 흔히 이용하였으나, 생물량 측면에서 꿩이 가장 중요한 먹이로 나타났다. 척추동물을 기준으로 한 수리부엉이 먹이의 평균 생물량은 503.3g으로서 비교적 다양한 크기의 먹이를 포식하였으나, 개활지 보다 산림지역에서 더 크고 다양한 먹이를 이용하였다. 산림지역에서는 꿩과 원앙(Aix galericulata) 등의 조류를 많이 포식하였으나, 특정 분류군을 선호하기 보다 적정 크기의 먹이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개활지에서는 소형의 특정 포유류(설치류)에 의존하면서 큰 생물량을 가진 꿩 등의 조류를 일부 이용하는 기회주의적인 먹이습성을 보였다.

서해북부 대표 개발지역에 도래하는 조류 실태 및 서식지 관리방안 수립 - 송도일원을 대상으로 - (Survey of Avian Status and Habitat Management Measures in Representative Development Areas of the Northern West Sea - Focusing on Songdo Area -)

  • 심설웅;주영돈;배정훈;배양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389-406
    • /
    • 2023
  • 본 연구지역은 우리나라 서해북부 초입부로 철새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던 갯벌을 매립하고 조성된 송도국제자유도시에서 조류 이입이 확인된 축소(잔존갯벌, site.1) 및 창출(인공호수, site.2)된 서식지 2개소와 개발 전 부터 안정된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서식지 1개소(남동유수지, site.3)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조사를 기초로 서식지 평가를 실시하고 서식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총 39차례) 관찰된 조류는 총 14과 48종 20,760개체로 기존 서식지에 비해 새로 조성된 서식지로 이입되는 종과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서식지 평가 중 갯벌등급에서 축소나 창출된 서식지는 I~II등급인 반면 기존 서식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III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서식지유형에 대한 분석에서 유형별 면적보다는 유형의 다양성과 인위적 간섭에 대한 대책이 확보된 기존 서식지에서 다양한 조류의 서식이 확인 되었는 바, 서식지유형의 다양성이 다양한 조류의 유입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식지 관리를 위한 조류종을 선정하고, 선정된 종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서식지 유형별 평가를 통한 서식지 관리계획 수립방안으로 주변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폐녹지조성(=완충녹지)과 출현종 및 서식지유형간 상관분석을 통해 저수지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갈대숲의 창출(site.1, 2)과 서식밀도가 높고 주요서식지 유형인 갯벌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모래톱의 개선(site.1)을 통해 향후 안정된 서식지가 복원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지와 입지적이나 환경이 유사한 서해안 간척(매립)지역 등 개발예정지역의 철새류 도래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Yubu Island, the Important Waterbird Habit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ts Conservation

  • Lee, Han-Soo;Yi, Jeong-Yeon;Kim, Hwa-Chung;Lee, Si-Wan;Paek, Woon-Kee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15-121
    • /
    • 2002
  • Yubu Island is located within the estuary of the Geum River, South Chungcheong Province $(35^{\circ}59'N,\;126^{\circ}36'E)$, Korea. The island is surrounded by a broad and sandy mudflat, which is typical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s located 4km off from Gunsan City. Less than 100 humans live on the island, occupying 30 houses. After we discovered that this island was a very important waterbird habitat especially for the East Asian subspecies of the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Waterbirds were monitored once every month from August 1999 to July 2000. The highest number of oystercatchers counted was 3,200 in December 1999, and the birds seemed to remain in the area continuously from September to next February. About 200 breeding and non-breeding birds remain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August, early migrants returned to the island, with the number reaching 1,060 individuals. This island is also very important for other waterbirds. Endangered or significant species occurring at this site, and their maximum counts were: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5),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17), brant Branta bernicla (1), 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 (8,000), hooded crane Grus monacha (2), spoon-billed sandpiper Ewynorhynchus pygmeus (7), dunlin Calidris alpina (6,500), great knot Calidris tenuirostris (24,000),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2,500), spotted greenshank Tringa guttifer (4) and Saunders's gull Larus saundersi (1,200). During the 12 month survey period, we observed 52 waterbird species and the total of the maximum counts for the separate species was 73,308, implying that perhaps 150,000 birds could be using the immediate area, if a turnover rate of 2 was assumed.

백두대간 만복대-시리봉 구간의 조류상과 서식지 선호도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Avifauna and Habitat Preference and Management from Manbokdae to Siribong in Baekdudaegan)

  • 백운기;이한수;김인규;한성우;이시완;송민정;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20
    • /
    • 2003
  • 2002년 5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조사기간동안 백두대간의 만복대에서 시리봉까지 구간 및 인근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7목 23과 49종 901개체였다. 계곡부가 33종 251개체, 도로구간이 21종 217개체, 높은 능선(1,433m) 구간 19종 140개체, 낮은 능선(846m) 구간 24종 86개체, 농경지 구간이 20종 207개체가 관찰되었다 최우점종은 박새(8.88%)였으며, 다음은 되새(8.66%), 참새(7.88%), 까치(7.66%), 오목눈이(7 10%)의 순서였다. 종다양도(H')는 낮은 능선이 2.85로 가장 높았으며 , 높은 능선이 1.83으로 가장 낮았다 조사결과 백두대간의 관리범위설정을 위해서는 조류의 서식지 선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계곡부가 가장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으며, 낮은 능선이나 평지도 조류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계곡부와 낮은 능선 및 농경지를 포함하는 공간적 범위를 가져야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백두대간의 계곡부를 통과하거나 인접하는 도로가 있을 경우 차량통행을 제한하는 둥의 관리가 요구된다.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 조류군집 및 서식지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Daegu Bulnogoboon Jayeon Madang)

  • 김정수;남궁형;남상준;남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27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ur times on 2005 and 2006, respectively May and October to understand the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ing condition in the Daegu Bulnogoboon Jayeon Madang (DBJM). In this study, 34 species and 332 individuals were observe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 22.0%, Pica pica 18.1%, Hypsipetes amaurotis 6.02% and Sinosuthora webbiana 5.72%, and the species diversity was 2.797. With migration, the highest number and percentage to the lowest was residents 61.7%, summer visitors 26.5% and winter visitors 11.8%. Among 24 species which bred(check or possibility) in the DBJM, canopy was 50.0%, hole was 37.5% and bush was 12.5% in their nesting guilds. In foraging guilds in breeding season was canopy was 58.1%, water was 19.3% and bush was 16.1%, and in non-breeding season, canopy was 54.8%, water 22.6% and bush 19.3%. For the habitats of the birds in the DBJM, wetlands including reservoir area were used by herons, ducks and Hirundo rustica, grassland area was used by Sinosuthora webbiana, buntings and Passer montanus, and forest area was used by Streptopelia orientalis, woodpeckers, Hypsipetes amaurotis and tit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birds observed in the DBJM was higher than other urban parks. We suggest that this was attributed to various man-made habitats such as wetland with reservoir, grassland and forest area constructed in the DBJM.

길동자연생태공원에서 조류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이용 현황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 김정수;문길동;구태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9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ing condition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from April 2001 to March 2002. In this study, 63 species and 2,075 individuals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adoxornis webbianus(33.6%), Emberiza elegans 18.5%), Parus major(6.4%), Pica pica(6.0%), and the diversity of the species was 2.511. With migration, the highest number and percentage to the lowest was residents, summer visitors, winter visitors and passage migrants. Among 17 species which br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hole(H) was 47.1%, canopy(C) was 41.1% and bush(B) was 11.8% in their nesting guilds. In foraging guilds in breeding season was canopy(c) was 45.7%, water(w) was 23.9% and bush(c) was 15.2%, and, in non-breeding season, canopy was 43.5%, water 23.9% and bush 21.7%. For the habitats of the birds in the Gildong natural cological park, reservoir area was used by herons, ducks and sandpiper, wetland area was used by Lanius bucephalus, Paradoxornis webbianus and buntings, grassland area was used by Paradoxornis webbianus and buntings, and forest area was used by Streptopelia orientalis, woodpeckers and tit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birds observ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was higher than other urban parks. We suggest that this was attributed to different habitats such as reservoir, wetland, grassland and forest area construct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변동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ynamics and Habitat Use of Shorebirds in Rice Fields during Spring Migration)

  • 최승혜;남형규;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4-343
    • /
    • 2014
  • 본 연구는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 물떼새류의 도래패턴과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한국 중서부지역에 위치한 아산만 일대의 농경지에서 2014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2~3일 간격으로 총 18회 수행 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관찰된 도요 물떼새류는 총 15종 7,852개체였다. 대상 종들의 시기별 도래 특성은 본답에 물을 대기 시작하는 4월 중반부터 관찰되었고 5월 초까지 지속적으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5월 후반으로 가면서 종수와 개체수는 감소하였다. 농경지의 물리적 구조에 따른 서식지 이용 특성은 종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종에서 본답과 논둑은 수로나 농로에 비해 선호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답의 미소서식지 선호성은 지역 농업인의 농업 관리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도요 물떼새류의 종별 서식지의 선호성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대부분 종은 무논의 본답 형태에서 관찰되었고, 써레질 후 5 cm 이하로 물을 얕게 댄 형태인 본답의 이용이 가장 높았다. 반면 물을 대지 않은 건답의 형태인 수확 후 추경한 형태는 이용을 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봄철 논습지는 도요 물떼새류에게 중간 기착지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erpetofauna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16 lagoons along the eastern coastline of South Korea

  • Lee, Jung-Hyun;Park, Dae-Sik;Lee, Heon-Joo;Kim, Ja-Kyeong;Ra, Nam-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229-236
    • /
    • 2010
  • We conducted field surveys of amphibians and reptiles over a two-year period in 16 lagoons along the eastern coastline of South Korea, and determine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amphibian and reptilian species and individuals. We documented 11 amphibian species and 8 reptilian species. The dominant amphibian species was the black-spotted pond frog (Rana nigromaculata), and the dominant reptilian species was the red-eared turtle (Trachemys scripta elegans), an invasive species. Among the 14 habitat characteristics, connectivity to mountainous area significantly affected the number of amphibian and reptilian individuals. Other factors, including emerged plant cover, salinity, pH, the number of birds for amphibians and connectivity to agricultural land, lagoon perimeter length for reptiles also influenced the number of species or individuals of them.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se lagoons are home to more amphibians and reptiles than has been previously known. To effectively conserve herpetofauna in the lagoon ecosystem, lagoons as well as surrounding wetlands, grasslands, and mountainous areas should be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