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errorism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The Current Status of Bioterrorism Education in Health-related Colleges -In the Professors of the Health-related Colleges-)

  • 천병철;김경운;김지희;김진우;노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10-717
    • /
    • 2012
  •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한 생물테러는 사회불안을 일으키고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병을 일으킨다. 2001년 911테러를 겪으면서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보건관련 종사자들은 이런 생물테러 발생이 있을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관련 교수들에게 설문을 통해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보건관련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향후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와 대처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관련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향후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와 대처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는 2007년 3월 10일부터 6월 10일까지 3달간 우편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응급구조학과 23개교, 임상병리학과 25개교, 기타 보건관련학과에도 우편으로 설문을 배포하였다. 응급구조학과,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 교수들의 97.6%에서 생물테러 교육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생물테러 교육의 내용으로 비상사태 및 재난의 정의와 특성, 테러 및 생물테러의 정의, 생물테러의 역사, 생물테러의 일반적 특성, 생물테러 가능병원체의 종류, 대비, 체계적 대응, 의학적 대응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테러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재난 대비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생물테러 대비 및 대응방안 (The Strategic Plan for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Bioterrorism in Korea)

  • 황현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09-213
    • /
    • 2008
  • Following the Anthrax bioterrorism attacks in the US in 2001,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gainst bioterrorism. These measures included the government assuming management of all infectious agents that cause diseases, including smallpox, anthrax, plaque, botulism, and the causative agents of viral hemorrhagic fevers (ebola fever, marburg fever, and lassa fever) for national security.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reinforcing the ability to prepare and respond to bioterrorism. Some of the measures being implemented include revising the laws and guidelines that apply to the use of infectious agent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dual surveillance systems for bioterrorism, stockpiling and managing products necessary to respond to an emergency (smallpox vaccine, antibiotics, etc.) and vigorously training emergency room staff and heath workers to ensure they can respond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government's measures include improved public relations, build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ing new vaccines and drugs for treatments of infectious agents used to create bioweapons.

생물테러 대비 감염전문가 네트워크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Analysis of Policies in Activating the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Network (IDSN) for Bioterrorism Events)

  • 김양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14-218
    • /
    • 2008
  • Bioterrorism events have worldwide impacts, not only in terms of security and public health policy, but also in other related sectors.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set up new administrative and operational structures and adapted their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s in order to deal with new kinds of threats. Korea has dual surveillance systems for the early detection of bioterrorism. The first is syndromic surveillance that typically monitors non-specific clinical information that may indicate possible bioterrorism-associated diseases before specific diagnoses are made. The other is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network that diagnoses and responds to specific illnesses caused by intentional release of biologic agents. Infectious disease physicians, clinical microbiologists, and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play critical and complementary roles in these networks.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s should develop practical and realistic response plans for their institutions in partnership with local and state health departments, in preparation for a real or suspected bioterrorism attack.

보건관련학과의 생물테러교육 필요성에 대한 조사 및 교육현황 (A Proposal on the Development of Bioterrorism education for Public health personnel)

  • 김지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93-394
    • /
    • 2008
  • Recently keeping pace with globalization, many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athletic games are being held in Korea. After 911 terror in New York in 2001,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Zaytun Division in Iraq and this fact has also led to voice concerns that Korea should be prepared to protect from biological terrors as soon as possible.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bioterrorism emergency medical training for public health students including paramedic in Korea. So I propose the development of bioterrorism education curriculum.

  • PDF

Microbial Forensics: Bioterrorism and Biocrime

  • Eom, Yo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63
    • /
    • 2018
  • Microbes and their toxins can be bioweapons that bioterrorists use them to commit bioterrorism and biocrime. Due to the potential and relative ease of the bioattack, life-threat pathogenic agents (bacteria, viruses, and toxins) as bioweapon revealed the need for a new field of microbial forensics. Microbial forensics is a new scientific discipline combining microbiology and forensic science, which is focused on characterization of evidence from a bioterrorism, biocrime, and an inadvertent release of biothreat agents. The sophisticated analytical tool and knowledge of microbial forensics can provide investigative leads and help determine who was responsible for the biocrime, the source of the bioweapon, and how and where the bioweapon was produced. Among the fields of microbial forensics, this paper will briefly describe evidence collection, handling, packaging, transportation, storage, analytical methods of evidence, and review microbial forensics as a response to bioterrorism and biocrime.

생물테러 및 생물학전의 재해안전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Disaster and Safety Response Management on the Bioterrorism and Biological War)

  • 왕순주;변현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19-128
    • /
    • 2007
  • A bioterrorism attack is the deliberate release of viruses, bacteria, or other agents used to cause illness or death in people, animals, or plant. These agents are found in nature, but it is possible that they could be changed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cause disease, make them resistant to current medicines, or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be spread into the environment. Terrorists may use biological agents because these agents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detect and do not cause illness for several days. Some bioterrorism agents, like smallpox virus, can spread from person to person, like anthrax, can not. From these agents,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gents and national safety regulation on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cluding bioterrorism.

  • PDF

생물작용제를 포함한 대량살상용 생물학적 무기에 대한 역사 및 법률적 안전규제 사항에 관한 고찰 (A Brief History and National Safety Regulation on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cluding Biological Agents)

  • 김지희;이시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2-109
    • /
    • 2007
  • A bioterrorism attack is the deliberate release of viruses, bacteria, or other germs(agents) used to cause illness or death in people, animals, or plant. These agents are found in nature, but it is possible that they could be changed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cause disease, make them resistant to current medicines, or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be spread into the environment. Terrorists may use biological agents because these agents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detect and do not cause illness for several days. Some bioterrorism agents, like smallpox virus, can spread from person to person, like anthrax, can not. From these agents,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gents and national safety regulation on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cluding bioterrorism.

생물테러리즘의 위기관리방안 (Countermeasure to the Stages of Crisis Management in the Bioterrorism)

  • 이광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35-242
    • /
    • 2009
  • 이 연구는 생물테러리즘을 위기로 인식하고 생물테러리즘을 위기관리별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리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9.11 테러 이후 발생한 탄저균 테러는 전 세계에 생물병원체에 의한 공포감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그 위험성이 강조된 사례이다. 본 연구결과 생물테러리즘 위기는 4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할 때 완화 및 예방단계에서는 테러리즘의 기준을 정하고, 대비를 하기 위하여 테러관련 법을 제정하고, 조기발견을 위한 감시체계를 확보해야 한다. 대비단계에서는 초동조치 팀을 편성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대응하는 요령을 숙달시켜야 하며, 각종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대응단계에서는 숙달된 초동조치팀이 즉각 투입되어 현장 정리 및 확산을 방지해야 하며, 복구단계에서는 평가체제를 구축하여 조기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생물테러 대응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Problems with the ROK's Bioterrorism Response System and Ways to Improve it)

  • 정육상
    • 시큐리티연구
    • /
    • 제22호
    • /
    • pp.113-144
    • /
    • 2010
  • 생물공학과 첨단과학의 발전으로 생물무기의 파괴력이 증대되고 활용이 용이해짐에 따라 생물무기가 테러집단에게 매력적인 공격수단이 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외 테러위협이 고조되고 있는데다 북한의 대남 생물테러 가능성도 잠재하고 있어 효과적인 대응체제 마련이 긴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응체제 제시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생물테러 위협에 가장 잘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국의 체제를 분석하여 (1) 생물테러 관계 법률을 제정하거나 현실에 맞게 정비하고 있으며 (2) 국토안보부 중심으로 대테러업무를 통합하여 대응역량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고 (3)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절차와 요령 등을 매뉴얼화하여 실무대응능력을 제고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대응체계를 법령체제, 역할분담, 협조관계, 자원운용 부분으로 나누어 실태를 살펴본 결과, 법제도가 허술하고 통합대응기구가 부재한데다 대응시설과 물자부족 및 인력관리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미국제도가 주는 시사점과 우리나라 대응체제의 문제점을 토대로 (1) 생물테러 기본법이 될 테러방지법의 제정과 생물테러대응과 관계되는 재난대비 법령 등의 개정이 필요하며 (2) 정부 각 부처에 분산되어 있는 대테러 업무가 기능적으로 하나로 모아져 대응역량을 최고화 할 수 있게 대테러 관계부처를 강력히 조정할 권한을 가진 통합대테러조직을 구축하고 (3) 생물안전 수준이 높은 실험실 설치 및 전략적 비축의약품을 충분히 확보하며 (4) 대응에 필요한 세부적인 내용을 담아 매뉴얼을 작성 활용함으로써 생물테러에 경험이 없는 우리 대응요원의 한계를 보완하는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위기관리단계별 생물테러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Bioterrorism by the Phases of Crisis Management)

  • 김창호;이광렬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113-144
    • /
    • 2007
  • 9${\cdot}$11 테러 이후 우리는 뉴테러리즘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고 있다. 뉴테러리즘의 형태중 가장 전형적인 모습이 생물테러리즘이다. 그러나 생물테러리즘에 대하여는 자료의 특수성으로 인해 접근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시민들의 인지도 부족하고, 전문가들의 연구도 활성화되어 있지 아니한 분야이기도 하다. 생물테러는 국가적인 위기이므로 위기관리 관점에서 다루면 좀 더 구체적은 대비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위기관리 4단계를 중심으로 하는 단계별 대비 활동을 구체화하여 생물테러에 적용한다면 단계별 활동할 사항을 도출할 수 있고 우리의 대비실태를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생물테러는 발생하기는 어렵지만, 발생하면 국가적으로 많은 혼란을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지구상 생물테러가 발생한 사례와 생물테러와 유사한 사례를 찾아 연구된다면 우리나라의 생물테러대비에 많은 시사점과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한구고가 유사한 문화와 환경을 가진 중국에서 발생한 SARS 사례는, 생물테러 사태는 아니지만 예상하지 못한 시기와 장소에서 발생한 강력한 전염병에 대응한 사례로서 생물테러 대비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SARS에 대응한 사례를 중심으로 생물테러라는 국가위기를 관리/대응하기 위한 활동을 위기관리 4 단계 즉 완화 및 예방단계, 대비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