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onito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 허재선;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65-76
    • /
    • 2000
  •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에 의한 중금속 (Cd, Pb, Cu)의 생물축적에 관한 연구

  • 김성길;곽희상;강주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9-240
    • /
    • 2000
  • 산업사회의 발달로 해양생물이 살아가는 생태계는 지역에 따라 자연적인 정화 능력 이상의 많은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있으며, 이는 연안 생태계 내에 살아가는 생물이나 그 생물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Johnston, 1976). 이러한 중금속의 악영향으로 인하여 중금속에 대한 생물축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생물을 biomonitor로 활용을 하며, 대형 수생식물, 이매패류, 다모류, 따개비류 및 어류 등을 이용하여 중금속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환경 평가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Rainbow, 1995). (중략)

  • PDF

CCD카메라를 이용한 생물감시장치의 독성자료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ing Reliability of Biomonitor by Using CCD Camera)

  • 김현창;김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351-1357
    • /
    • 2010
  • 우리나라 주요하천의 수질오염감시를 목적으로 물벼룩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가 설치, 운용되고 있다. 기기 목적상 유해물질에 대해 신뢰성 있는 신속한 독성경보를 내릴 수 있어야 하고, 무인원격측정기기이므로 계절별, 연간 하천의 물리적인 변화에도 측정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국내에 운영중인 장비는 물벼룩의 단위시간당 뛰는 횟수(Impulse)를 측정하는 방법과 유영형태를 분석하여 독성지수(Toxicity)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두 장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운전되었음에도 가동률과 긴급점검횟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원인은 용기 내 기포발생과 압력차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포와 미시적인 압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측정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고, 나아가 생물감시장치가 어떤 환경에 설치되더라도 수질오염감시의 목적을 정상적으로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Chronic Toxicity(Mortality) of Freshwater Amphipod Diporeia spp. for Zn in Sediment Microcosm

  • Song, Ki-Hoon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2007
  • Sediment microcosm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14 and 28 days using Zn spiked sediment to examine chronic toxicity (mortality) of Diporeia spp. as a function of density and time. Mean cumulative Diporeia mortality in 28 day sediment microcosms was 25% at $1,800\;{\mu}g\;g^{-1}$ total Zn in sediment. Although a certain fraction $(20{\sim}40%)$ of Diporeia was dead, its mortality was attributed by handling stress within 4 days and was not significantly encreased with increasing within the range of Zn concentrations examin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poreia can tolerate Zn contaminated sediment and may be useful as a biomonitor for Zn contamination in freshwater environments.

한국 연안 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 (Trace Metal Contents in Seaweeds from Korean Coastal Area)

  • 김지회;목종수;박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41-1051
    • /
    • 2005
  • 우리나라 연안에서 생산되는 미역, 김, 파래등 식용 해조류뿐만 아니라 비식용 해조류의 미 량금속 오염 실태를 파악하여 연안산 해조류의 식품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수은, 카드뮴, 납, 구리, 아연, 니켈, 망간 및 크롬 등을 대상으로 그 함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총 620건의 시료에 대한 채취지역별 미량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수은, 카드뮴, 니켈 및 망간 등은 충남 태안 지역에서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고, 크롬은 영덕, 구리는 통영 그리고 납과 아연은 울산지역이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조류의 미량금속은 아연, 망간, 리 순으로 우리 체내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성분들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크롬,니켈, 납의 농도는 비슷한 수준이었고, 카드뮴, 수은 순이었다 또한, 갈조류에서 수은과 카드뮴이 높게, 녹조류에서 크롬, 구리, 망간, 니켈, 납이 높게 그리고 홍조류에서는 아연이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다. 식용 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은 우리나라의 해산 어$\cdot$패류의 미량금속 잔류허용기준(생물기준, 수은 0.5ppm, 납 및 카드뮴 2.0ppm)과 비교할 때 대단히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연안에 넓게 분포하며 해안지선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비식용 해조류인 지충이는 카드뮴과 망간의 biomonitor로, 그리고 애기마디잘룩이와 지누아리는 각각 니켈과 아연의 biomonitor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용으로서 이용도가 낮은 갈조류인 고리매는 크롬과 납의 biomonitor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잘피의 광합성에 대한 중금속 및 TBT의 독성 영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Toxicity and Transfer of Heavy Metals and Tributyltin to Seagrass Zostera marina)

  • 최태섭;김광용;이병권;이정석
    • ALGAE
    • /
    • 제20권2호
    • /
    • pp.157-166
    • /
    • 2005
  • Uptake kinetics of Cd and Zn by leaves and rhizome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examined in controlled laboratory radiotracer experiments. Subsequently, acute toxicity of Cd, Cu and TBT on photosynthetic quantum yield (ΔF/Fm’ of Z. marina were determined, and the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rapid light curve (RLC) to those harmful substances were also compared. All measurements on photosynthetic activity were determined by chlorophyll a fluorescence method using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Metal uptake by Z. marina was saturat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in leaves and rhizomes. Uptake of Zn by Z. marina was faster than that of Cd. Metal uptake rates in Z. marina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and also with the increase of biomass. The adverse effect of TBT on effective quantum yield was stronger than other pollutants. Average acute toxicity on the RLC of the seagrass exposed to TBT and two heavy metals (Cd and Cu) was going to decrease as follows: TBT > Cd > Cu. Our preliminary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Z. marina potentially can be used as a biomonitor of harmful substances contamination in coastal waters.

Effects of Salinity, Temperature and Food Type on the Uptake and Elimination Rates of Cd, Cr, and Zn in the Asiatic Clam Corbicula fluminea

  • Lee, Jung-Suk;Lee, Byeong-Gweon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79-89
    • /
    • 2005
  • Laboratory radiotrac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ssimilation efficiencies (AE) from ingested algal food and oxic sediment particles, uptake rates from the dissolved phase, and the efflux rates of Cd, Cr and Zn in the Asiatic clam Corbicula fluminea. Among three elements, AE from both algal and sediment food was greatest for Cd, followed by Zn and Cr. The AEs of tested elements from algal food (Phaeodactylum tricornutum)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from sediments at a given salinity and temperature. The influence of salinity (0, 4 and 8 psu) and temperature (5, 13 and $21^{\circ}C$) on the metal AEs was not evident for most tested elements, except Cd AEs from sediment. The rate constant of metal uptake from the dissolved phase $(k_u)$ was greatest for Cd, followed by Zn and Cr in freshwater media. However, in saline water, the $(k_u)$ of Zn were greater than those of Cd. The influx rate of all tested metals increased with temperature. The efflux rate constant was greatest for Cr $(0.02\;d^{-1})$, followed by Zn $(0.010{\sim}0.017\;d^{-1})$ and $Cd\;(0.006\;d^{-1})$. The efflux rate constant for Zn in clam tissues depurated in 0 psu $(0.017\;d^{-1})$ was faster than that in 8 psu $(0.010\;d^{-1})$.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in estuarine systems can considerably influence the metal bioaccumulation potential in the estuarine clam C. fluminea. The relatively high Cd accumulation capacity of C. fluminea characterized by the high AE, high dissolved influx rate and low efflux rate, suggested that this clam species can be used as an efficient biomonitor for the Cd contamination in freshwater and estuarine environments.

양액의 전기전도도 및 칼륨 수준이 들깨 수원 16호의 대기오염 지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ic Conductivity and Potassium Level of the Culture Solution on the air Pollution Sensibility of Perillar Frutescens Suwon 16)

  • 김정규;이용범;고강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1-418
    • /
    • 1996
  •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지표식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알려지고 있는 들깨 수원 16호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식물의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기공의 개폐와 관련된 K와 EC를 주 변화요인으로하여 $NO_2$, $O_3$, $SO_2$ and $NO_2+SO_2$ 가스를 접촉시키면서 들깨의 가시적 지표성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양액재배 실험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들깨의 건물생산량은 55일 후에 K100 및 200mg/l 처리구에서 32.2 g/주로 가장 높았고, EC는 2.0 ds/m에서 16.3g/l으로 가장 높았다. 기공확산저항은 7-8위엽이 전개된 시기에 K 200mg/l와 2.0mg/l에서 가장 낮았다. 한편 K 50, 100mg/l, EC 0.5 ds/m 처리에서 대기오염가스의 접촉량의 증가에 따른 가시피해도의 증가가 가장 균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K 50-100mg/l 수준, EC 0.5-1.0 dS/m 수준, 7-8위엽이 전개된 시에 들깨 수원 16호는 가장 뛰어난 대기오염 지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