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edical ethics Educa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8초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 (Correlation Study of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 박소연;박경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55-26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특성과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간에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을 포함한 대학생 651명으로 생명윤리의식과 자존감에 대해 2015년 5월 2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은 생명의료윤리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은 대학생이 생명의료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의 생명의료윤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생명공학을 제외한 안락사, 뇌사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김근면;성경숙;김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92-29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 life-sustaining treatment by measuring thei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resulti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assess the level of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fter the nursing students signed a consent form they were asses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5, 2016, and analyzed using SPSS 23.0 WIM Program.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edical ethics, mortality ethics.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e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students with easy access to continuous education to help them establish an acceptable view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한의대 교과목으로서 의료윤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olleges of Korean Medicine)

  • 이정원;이해웅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24
    • /
    • 2018
  • Objectives : According to the data from the 2016 Year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10 out of 12 medical schools of Korean medicine are offering medical ethics. Medical ethics has become essential in Korean medicine education, but there has been no agreement on the content of education yet, so initial discussions are necessary with respect to the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Methods : In this study, basic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papers, reports, books, and media articles on medical ethics related to Korean medicine education, and by studying the website of medical schools of Korean medicine nationwi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atus of medical ethics lectur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thics lectures by western medical schools. The contents suitable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at medical schools of Korean medicine were discussed. Results : The topics of the medical ethics include: the basic concepts of medical ethics, the ethics of birth, the ethics associated with genetics, the ethics associated with death, and the ethics regarding doctor-patient interaction, the ethics of medical research, medical rationing ethics, ethics between medical staffs, medical law and ethics, philosophical base of medical ethics, ethics of doctor as professional, and moral personality formation of doctor. The contents of medical ethic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reflected views on the human body and life based on "Huangdi's Internal Classic"and medical ethics from the viewpoint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Conclusions : Medical schools of Korean medicine are medical training institutions, and medical ethics education is essential to become a Korean medicine doctor as professional worker, medical practitioner, and biomedical researcher.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basic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in both western and Korean medicin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depending on the clinical practice. The contents of medical ethics o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modified for Korean medicine doctors,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thics would be set up upon that. In the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medical ethics needs to be added as one part so that all the ethical problems related to the clinical situation can be solved.

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와의 관계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 김옥현;안성아;오수미;공정현;최혜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78-8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의 영향관계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J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병원 간호사 15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을 하였다.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도덕적 민감성은 평균 4.70점(7점 만점), 도덕적 고뇌는 62.80점(336점 만점), 생명의료윤리의식은 2.21점(4점 만점)이었고, 도덕적 고뇌는 도덕적 민감성과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정적 상관관계, 도덕적 민감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이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 향상 및 도덕적 고뇌 감소를 위해 도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능력을 향상시키는 생명의료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 임미혜;박창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23-4431
    • /
    • 2014
  •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 광역시 소재 간호대학생 516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 조사를 하였으며,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3.03({\pm}0.21)$점이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는 $3.49({\pm}0.38)$점,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2.68({\pm}0.32)$점이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비판적 사고성향(r=0.248, p=0.000), 전문직 자아개념(r=0.180, p=0.000)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생명의료윤리 교육경험, 학년, 전문직 자아개념, 가족 중 의료요원 유무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 교육현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10-418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 3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4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평균 112.23점, 3.95점, 2.03점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은 전공 만족도(t=3.320. p=.001), 임상 실습 만족도(t=2.557, p=.012), 실습 동료와의 관계(t=4.234,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돌봄행위는 전공 만족도(t=3.423. p=.001), 임상실습 만족도(t=4.364, p=.000), 실습 동료와의 관계(t=3.70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전공 만족도(t=-2.404, p=.01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인권감수성은 생명의료 윤리의식(r=.27, p<.01)과, 대인돌봄행위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17, p<.05)과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을 강화하고, 대인돌봄행위 및 생명의료 윤리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 조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11-320
    • /
    • 2013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윤리 의식 함양에 필요한 윤리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4점 만점에 간호과 학생들이 평균 3.04점으로 비 간호과 학생들의 2.88점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79, p<.001). 두 그룹간에 태아의 생명권, 태아진단, 신생아 생명권, 안락사, 장기이식, 뇌사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상자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간호과에서는 한 학기 이상 윤리관련 수업 경험 유무, 생명윤리 관련 문제로 고민한 경험 유무, 윤리적 가치관이었고, 비 간호과는 학년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상자들의 낮은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각 학과별로 기본적인 생명윤리 교육부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윤리적 사고 판단과 의사결정 능력, 가치관 고취를 위한 교육과정을 통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영역별 집중연구나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김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48-4055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와 전남 지역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요양병원에서 근무한지 5개월 이상 된 간호사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대상자들의 의식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생명의료윤리 하위영역별 의식 중 태아생명권의 의식과 임신중절의 의식이 가장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높았으나,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아 임상상황에서 의사결정이 혼돈된다. 따라서 기관의 신규간호사나 간호대학생에게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통해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하여 환자의 안녕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간호학과 1학년의 도덕적 행동, 생명의료윤리 의식, 죽음 태도가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ral Behavio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Death Attitudes on Hospice Awareness in Nursing Freshman)

  • 김정숙;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피스완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에 소재한 J대학 간호학과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호스피스 인식은 도덕적 행동(r=.22, p=.002), 생명의료윤리 의식(r=.29,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명의료윤리 의식(β=.224, p=.012), 그 다음으로, 부모님의 경제력(상)(β=.187, p=.027) 순이었다. 설명력은 11.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인식 제고를 위한 대학생활 동안 도덕적 행동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rgan dona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ime)

  • 이자옥;오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89-297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해 모색해보고자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장기기증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202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2.98점, 장기기증태도는 2.67점이었고 뇌사는 2.67점으로 가장 낮았다. 두 변수간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이었고(r=.18, p<.01)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영향요인은 장기기증태도, 성별,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교육 수혜경험이었으며 설명력은 9.1%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이식의 인식고취를 위해 뇌사 및 장기기증 태도 함양에 초점을 둔 간호윤리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