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sample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3초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심전도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G Oata Compression Algorithm Using Neural Network)

  • 김태국;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02
    • /
    • 1991
  • This paper describes ECG data compression algorithm using neural network. As a learning method, we use back error propagation algorithm. ECG data compression is performed using learning ability of neural network. CSE database, which is sampled 12bit digitized at 500samp1e/sec, is selected as a input signal. In order to reduce unit number of input layer, we modify sampling ratio 250samples/sec in QRS complex, 125samples/sec in P & T wave respectively. hs a input pattern of neural network, from 35 points backward to 45 points forward sample Points of R peak are used.

  • PDF

제주 연안해수로부터 한천 분해 효소 및 자일란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Catenovulum jejuensis A28-5의 동정 및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garase- and Xylanse-producing Catenovulum jejuensis A28-5 from Coastal Seawater of Jeju Island, Korea)

  • 김다솜;정가람;배창환;여주홍;지원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8-177
    • /
    • 2017
  • Strain A28-5는대한민국 제주도 연안의 해수샘플로부터 고체배지내 xylan과 agar를 분해하는 균주로 분리되었다. Strain A28-5는그람 음성균으로 한 개의 polar flagella로 운동성을 갖는 $Na^+$ 이온 요구성 균주로 분석되었다. 또한 ampilcillin과 thiostreptone 등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Genome 내 G+C content는 43.96%이고, Menaquinone-7 (MK-7)을 predominant quinone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Strain A28-5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C_{16:1}$ ${\omega}7c/iso-C_{15:0}$ 2-OH (23.32%), $C_{16:0}$ (21.83%), $C_{18:1}$ ${\omega}7c$ (17.98%)였다. strain A28-5의 16S rRNA gene sequence는 Catenovulum agarivorans YM01와 가장 높은 상동성(98.94%)을 보였으며,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제작을 통해서 Catenovulum agarivorans YM01와 가장 높은 근연관계를 보이는 것을 증명하였다. Catenovulum agarivorans YM01과의 DNA-DNA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하여 A28-5을 Catenovulum 속의 신종으로 분류하여Catenovulum jejuensis A28-5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의 액체배양으로부터 준비된 두 종류의 조효소를 이용한 xylan 또는 agarose와의 효소반응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각각 tetramer와 hexamer의 xylooligosaccharides와 (neo)agarooligosacchardes가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림식물 11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in Korean Native Forest Plants)

  • 조명래;이종석;이사라;손연경;배창환;여주홍;이해석;마진경;이옥환;김종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98-1106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from 11 forest plants, and determine their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proantocyanidins content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antioxidant compounds. Among the samples, Cornus officinalis, Castanea crenata, Lindera erythrocarpa, Carpinus laxiflora and Pourthiaea villos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IC_{50}=21.12{\sim}28.93{\mu}g/m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 zoline-6-sulfonic acid) (ABTS) ($IC_{50}=28.18{\sim}52.55{\mu}g/mL$) radical scavenging ability with reducing power ($IC_{50}=59.91{\sim}93.64{\mu}g/mL$) than other plants; and C. crenata, L. erythrocarpa and Rubus coreanus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geq}60%$). In addition,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showed highe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values (${\geq}1,100{\mu}M$ TE/g sample) than other samples. High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observed in C. crenata (429.11 mg GAE/g), L. erythrocarpa (437.11 mg GAE/g), C. laxiflora (408.67 mg GAE/g) and P. villosa (404.11 mg GAE/g).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educing pow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contents ($R^2=0.71{\sim}0.79$), bu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not correlated with NO inhibition and ORAC ($R^2=0.35{\sim}0.4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 officinalis, C. crenata,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are potential natural antioxidative candidate ingredients.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분리(分離) 및 그 생화학적작용(生化學的作用)과 성질(性質)에 대(對)해서 - (Studies on the inhibitory substance of yeast growth - (Part 1)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east growth inhibitor -)

  • 서정훈;고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19-25
    • /
    • 1972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로 부터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 Yeaststatic substance인 일종(一種)의 peptide (Astradix-P)를 얻었으며 이 물질(物質)의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다. 1) 이 물질(物質)은 일종(一種)의 peptide이며 그 PI는 8.2로 나타났다. 2) 이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을 조해(阻害)하며 이 조해(阻害)는 정균효과(靜菌效果)에 기인(起因)한다. 3) 본(本) 물질(物質)은 열안정성(熱安定性)이 매우 커서 $100^{\circ}C$에서 10시간(時間), 혹은 $121^{\circ}C$에서 30분간(分間) 가열(加熱)하여도 거의 실활(失活)하지 않는다. 4) pH에 대(對)해서도 안정(安定)하며 $pH2{\sim}pH10$까지는 별(別) 영향(影響)이 없다. 5)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glucose, sucrose, maltose등의 당류(糖類)는 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아니한다. 6)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Mg, Ca, $PO_4$ 등 염류(鹽類)도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7)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류(酵母類)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며 그 유효농도(有效濃度)는 ${\mu}g/ml$의 범위(範圍)에 있으며 예(例)로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등 균주(菌株)의 $G.I.\;_{50}$$4{\mu}g/ml$이며, S. coreanus, S. sake는 13, $18\;{\mu}g/ml$이며, Candida pulcherrima는 $3\;{\mu}g/ml$, C. tropicalis는 $38{\mu}g/ml$로 나타났다. 8)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alcohol 발효(醱酵)에 대(對)해서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 PDF

감자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환원당 함량과 potato chip의 색상 (Reducing sugar contents of potato tubers and potato chip color by pretreated methods)

  • 남경아;노완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37-442
    • /
    • 1992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어 재배되고 있는 감자 품종인 수미(秀美, Superior) 및 남작(男爵, Irish Cobbler) 두 품종을 원료로 potato chip을 제조할 때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Maillard 반응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환원당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저해제로 알려진 $CaCl_2$와 NaCl을 사용하여 감자를 전처리한 후 환원당 함량을 분석하고 potato chip을 제조하여 색상을 비교한 결과 NaCl로 침지 처리한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15{\sim}30%$에 불과하고 chip의 색상도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NaCl 침지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평균 40%였으며, 특히 두 품종 모두 0.08% NaCl 용액으로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에 침지처리한 것은 NaCl 용액으로 처리한 것보다 효과는 있었으나 색상이 고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갈색화되었다. $CaCl_2$용액에 침지 가열처리한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환원당의 감소가 약 50% 정도였으며 그 중에서도 0.05% 및 0.07% $CaCl_2$ 용액에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환원당의 감소는 물론 chip의 색상도 가장 좋았다. 침지시 상온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72{\sim}82^{\circ}$ 에서 NaCl 용액 보다는 $CaCl_2$ 용액으로 blanching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한국(韓國) 주요식품(主要食品)의 아미노산(酸) 함량측정(含量測定) (Gas-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mino Acids in Some Korean Foods)

  • 박양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43-51
    • /
    • 1969
  • 우리나라 주요 식품들의 단백질 아미노산 함량을 최근에 와서 크게 실용화되고 있는 GLC 방법에 의해 분석함에 있어서 GLC의 기술적 재평가를 하고자 시험 하였든바 1. 우선 여러식품들의 단백질 질소함량을 조사하여 GLC 분석에 필요한 시료량을 정하였으며 2. GLC에 주입한 17종 아미노산들이 대하여 조사한 결과 Arginine, Cystine, Histidine, Tyrosine을 제외한 13종만이 주입한 량에 비례하여 detector response 를 얻었다. 3. 13종 아미노산에 대한 RMR 치(値)를 얻었다. 4. 아미노산에 대한 recovery 검정(檢定)을 하였든바 거의 100% 가까이 recover되었으며, 가수분해가 recover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든바 별 영향이 없었음을 알았다. 5. GLC와 ion-exchange chromatography 분석법을 비교시험하였든바 백어포 시료에 있어서는 Threonine과 Asparagine만이 두 방법에서 거의 같게 나왔고 다른 아미노산들은 GLC에서 보다 많은량이 나타났다. 6. 각식품들에 대한 단백질 아미노산함량을 측정하였든바 식품종류에 따라 그리고 보리 및 대두에 있어서는 품종에 따라서도 아미노산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Bence Jones 단백질(蛋白質)의 정제(精製) 및 N-말단검출(末端檢出) (Purification and N-Terminal Study of Bence Jones Proteins)

  • 김준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59-64
    • /
    • 1970
  • Bence Jones 단백질(蛋白質)(As,Ik,In)를 DEAE-Sephadex A-50 Column으로 0.02M phosphate Buffer(pH8.)와 0.5M NaCl를 gradient로 사용(使用)해 정재(精製)하였다. 시료(試料) As(K-형(型))의 정재결과(精製結果) 주성분(主成分)인 F-1는 조단백질(粗蛋白質) 500mg로부터 350mg 얻었으며 다른 시료(試料) Im와 Ik($lambda$-형(型))에서도 각각 주성분(主成分)을 242mg(Im)와 146mg(Ik) 얻을 수 있었다. 정재(精製)한 시료(試料)는 그의 순도(純度)를 알기 위해 Poly acryl amide의 Disc electrophoresis로 확인한 후 K-형(型) Bence jones단백질(蛋白質)의 일종(一種)인 As와 $lambda$-형(型)의 일종(一種)인 IM를 6N-HCI로 $105^{\circ}C$에서 20시간(時間) 가수분해(加水分努)후 Amino 산(酸) 조정(組成)을 살펴보았다. DNP법(法)으로 시료(試料) K-형(型)(As, Ko, Ta)의 단백질(蛋白質)의 N-말단(末端)을 검출(檢出)해 Ta는 glutamic acid, Ko, As는 Aspartic acid임을 확인하였으며 Paper 상(上)에 나타난 DNP-Amino 산(酸)은 5% $NaHCO_3$ (pH8) 4ml에 추출(抽出)해 그 수량(收量)을 ${\varepsilon}=18.1{\times}10^3DNP$ $Asp\;{\varepsilon}=17.41{\times}10^(3){\;}DNP{\;}Glu$에 의(依)해 산출(算出)하였더니 Ko는 54.3%, As는 65%이였으며 Ta는 85%의 수량(收量)이였다. ${\lambda}$-형(型)의 Im,Ik의 시료(試料)도 DNP법(法)으로 N-말단(末端)을 검출(檢出)해 보았더니 검출(檢出)되지 아니하였다.

  • PDF

Muscat Bailey A 품종 포도주의 청징과 여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Fining and Filtering of Muscat Bailey A Grape Wine)

  • 방병호;백진경;이승옥;정은자;이문수;이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87-16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포도 품종을 이용한 'unfined' 혹은 'unfiltered' 포도주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 영천에서 재배된 Muscat Bailey A 품종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가당을 하여 $28^{\circ}Brix$로 조절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정제 과정에 들어가기에 앞서 청징제 첨가와 여과기 사용 여부에 따라 시료 A, B, C로 나누어 청징, 여과, 병 숙성 후의 각 시료별 이화학적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 A는 청징제를 첨가하고 여과기도 사용하였고 시료 B는 청징제만 첨가하고 여과기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시료 C는 청징제도 여과기도 사용하지 않았다. 병 숙성을 마친 후의 각 시료별 총 페놀 함량, intensity, hue, color, 유기산 함량, 휘발성 향기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시료 C가 다른 시료들에 비교해 최대 19%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intensity와 hue, color의 측정 결과는 예상대로 여과 과정을 거친 시료 A가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선명하고 투명한 색상을 나타냈으나 색의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졌다. 유기산 함량과 휘발성 향기 성분의 측정은 전체적인 결과에서 각 시료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청징 과정과 여과 과정의 유무에 따른 차이라고 하기보다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사료된다. 실험 결과 중에서 시료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유기산 함량은 발효 중 malo-lactic fermentation 과정이 이루어졌더라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며, 휘발성 향기 성분은 청징 과정이나 여과 과정이 아닌 다른 양조 과정에서의 조건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금속과 체류시간이 산업단지하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n effect of heavy metal and Retention time to nitrification using industrial wastewater)

  • 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0-397
    • /
    • 2018
  • 산업단지 인근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은 유입되는 산업폐수 내 중금속으로 인해 질산화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 반응조 운전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폐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장의 질산화 효율 개선을 위해 중금속과 체류시간이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운전 결과를 바탕으로 질산화율 향상을 위한 하수처리장 운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실 반응조 운전 결과 체류시간 0.5일 이상으로 운전 할 경우 60% 이상의 질산화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동일한 조건에서 일반 도시하수처리장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낮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인 원인으로 산업 폐수 내 함유된 중금속의 영향으로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SNR 기준)을 분석하였다. S 하수처리장과 일반 하수처리장 시료(A MWTPame )를 이용한 반응조의 SNR은 각각 0.13 ~ 0.21 mg NH4/gMLSS/hr과 0.74 mg NH4/gMLSS/hr의 범위를 보였다. 이는 S 하수처리장 시료를 유입수로 하는 반응조 내 미생물의 활성이 낮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폐수가 유입되는 하수처리장에서 질산화 효율개선을 위해 체류시간 증가 및 전처리를 통한 중금속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 박유화;김성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33-237
    • /
    • 2008
  •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인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지상부위로부터 정유를 얻고, 휘발성분을 headspace(HS)와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법으로 흡착시킨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털진달래 정유에는 탄화수소 15종, 알코올 3종, 아세테이트 1종 등 총 19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2-${\beta}$-pinene(16.1%), camphene(11.9%), ${\delta}$-3-carene(11.4%), d,l-limonene(9.5%), and ${\gamma}$-terpinene(9.5%)이었다. SPME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3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7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19.6%), 2-${\beta}$-pinene(18.0%), ${\delta}$-3-carene(17.4%), timethyl hydrazine(9.7%), ${\gamma}$-terpinene(8.5%), and d,l-limonene(5.5%)이었다. 그리고 HS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1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3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25.8%), ${\delta}$-3-carene(24.8%), 2-${\beta}$-pinene(20.2%), d,l-limonene(5.4%), tricyclene(5.1%), trimethyl hydrazine(4.6%)이었다. 털진달래 정유의 향취는 coniferous, balsamic, woody하였으며,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0.030 ${\mu}g/mg$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