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pesticide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41초

한국에서 CMV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Serratia spp. Gsm01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효과 검정 (Isolation and Evaluation of an Antiviral Producing Serratia spp. Strain Gsm01 against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이선화;석정기;;서동욱;박덕환;조준모;박동식;허장현;임춘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44-350
    • /
    • 2006
  •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세균은 강원도 홍천 인삼재배지의 수삼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세균은 생리 생화학 테스트와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Serratia 속으로 동정 되어져 본 세균을 Gsm01으로 명명하였다. Gsm01 균주를 MGY 액체배지에 증식시켜 배양 여액을 0.45 ${\mu}m$ filter에 통과시킨 Culture filtrate (CF)를 명아주 (Chenopodium amaranticolor)에 반엽법으로 처리한 결과,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CMV)에 대한 억제율이 98%로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신유도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담배 (Nicotiana tabacum cv. Xanthi-nc)의 하엽에 CF와 CMV-Y를 처리하였을 때, CF를 처리한 식물에서 접종15일 후까지 바이러스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고추의 포장시험에서 무처리 식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바이러스 증상은 52.9% 감소한 것으로 보아 포장 시험에서 CF를 처리한 농작물의 산출량이 무처리 식물에 비해 14%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Gsm01 균주의 CF는 고추에 어떠한 약해도 나타내지 않아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프리카 시설재배지에서 약제 살포방법에 의한 해충방제 효과와 최적 살포함량 (Pest Control Effect and Optimal dose by Pesticide Dispersion Spray Method in the Paprika Cultivation)

  • 진나영;이유경;이보람;전준학;김유섭;서미자;임치환;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0-357
    • /
    • 2014
  • 유리온실내에서 파프리카에 살포되는 분무기의 종류에 따라 살포되는 농약 부착량과 해충방제정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해충의 최적방제조건에서 단위면적당 농약함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험이 시도되었다. 파프리카 시설재배지에 두 종류의 분무기로 적절하게 7개구간으로 나누어 3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약 살포할 때 발생되는 사각지대를 감수지로 조사하였을 때 무인연무기는 하우스내의 식물에 골고루 부착하지 못하였으며 고압식 U자형분무기 모든 식물에 충분하게 부착되었다. 또한 살포된 농약 잔류조건에서 모든 부분에 최저잔류농도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았다. 살포조건에 따른 해충방제에서 담배가루이와 목화진딧물은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분무되는 무인연무기 Pyrifluquinazon 10% 입상수화제를 살포하였을 때 감수지가 청색으로 변한 부분은 각각 82.5%와 81.2%이며, 중간부분은 각각 53.0%와 42.6%의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농약이 부착되지 않은 아래 부분은 해충발생이 방제전보다 더 증가하였다. 한편 농가에서 하나의 약제를 수년 동안 반복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약액이 충분하게 부착되었어도 매우 저조한 방제효과로 저항성 경향이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최적 살포량을 위한 실험에서는 9그루 파프리카 잎에서 약액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하게 살포하였을 때는 5 l에서 81.8% 그리고 1/2물량인 2.5 l에서는 84.5%로 매우 유사한 방제효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Tele-operative Modular Robotic System For Watermelon Cultivation in Greenhouse

  • H. Hwang;Kim, C. S.;Park, D. Y.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517-524
    • /
    • 2003
  • 생물생산에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들을 생력화하기 위한 연구 개발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개발은 주로 노동집약적인 작업,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 그리고 작업자에 유해한 또는 가혹한 환경하의 작업 등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물생산 분야의 생력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작업성과 강건성이라는 작업성능 측면에서의 기술적인 문제와 고가의 시스템 및 설비 비용에 따른 경제성 문제가 항상 걸림돌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언급한 문제점들 외에 기계가동률, 유지보수 등 생물생산분야의 생력화에 있어 내재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원격로봇 시스템에 의거한 새로운 생력화 개념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개념의 생력화는 주어진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농민), 컴퓨터 그리고 로봇을 위시한 자동화 작업설비를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수월성을 갖는 기능을 중심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다. 또한 시설재배에 요구되는 전정, 관수, 방제, 제초, 수확, 운반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들을 노동 투하정도와 기능적 유사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관적으로 작업을 생력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제안한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대상 작목으로는 중량으로 인하여 비교적 취급이 어려운 수박을 선택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크게 무선원격 모니터링 및 작업제어 모듈, 무선원격 영상 획득 및 데이터 송수신 모듈, 4자유도 직교좌표형 로봇 암을 장착한 갠트리 장치부, 교체가 가능한 모듈형 선단 작업장치, 수박 운반 적재모듈의 5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와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으며 무선 원격데이타 송수신과 분산 제어기를 이용하여 작업자와 컴퓨터 그리고 로봇 작업기간의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제어를 구현하였다. 개발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하여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개념의 생력화 시스템은 생물생산분야의 생력화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는 실질적이고 실현 가능한 시스템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림농업지대에서 fenarimol, chlorothalonil 그리고 ethoprophos의 행방 (Environmental Behavior of Fenarimol, Chlorothalonil, and Ethoprophos in Agroforesty Field)

  • 김은혁;조기영;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41-3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산림소득작물로 재배면적이 급증하고 있는 오미자를 대상으로 일반 농경지와 산림농업지에 살포된 3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행방을 비교 평가하였다. 농약살포후 초기 유출수에서만 미량으로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을 뿐 그 외의 유출수에서는 검출한계미만 수준으로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토양 중 fenarimol과 chlorothalonil은 처리후 30일째부터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ethoprophos는 처리후 135일째부터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다. 수확한 오미자 생재를 대상으로 fenarimol, chlorothalinol, 및 ethoprophos의 오미자 작물에 대한 잔류 정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3종의 농약 모두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일반 농경지 보다 산림농업재배지에서 토양중 잔류량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100% 수광조건인 일반 농경지에 비해 90% 울폐도를 가진 산림농업 재배지에서 광분해도가 더 낮았던 점 그리고 농약성분이 산림농업지에서 비교적 풍부한 fulvic acid와 humic acid와의 흡착량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인삼 지상부를 첨가한 사료 급여가 닭에서 나타내는 효과 (Efficacy of orally administered ginseng stem and leaf in chickens)

  • 박소연;이광열;조영재;박보경;김기주;이나래;김동건;김영희;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
    • /
    • 2015
  •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as a natural medicine due to its saponin contents. Although the total amount of ginseng stem and leaf saponins (GSLS) is 4~5 times higher than that of saponin in the root, the root is mainly used. This is due to two reasons: nervous system-stimulant activity of GSLS and pesticide residues in GSLS. In this study, residual agricultural pesticides were removed from GSLS using two types of bacterial treatments. Two GSLS treatment groups of chickens (GSLS-1 and GSLS-2) were established. The chickens were fed 0.4% GSLS-1 or GSLS-2 mixed with crop. We then evaluated the effects of GSLS on bodyweight and several immune parameter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s, chickens fed GSLS-1 and red ginseng saponin ha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rates (16.6% and 8.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vaccine control group treated with Noblis Salenvac-T. The group fed GSLS-1 also had the highest IgG titer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end of experiment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at GSLS-1 is a good candidate feed additive for the chicken industry.

왕겨를 가연성 담체로 하는 봉상 농약 훈연제의 연소성에 미치는 산화제의 영향 (Effect of Oxidizing Agents on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oke Rod of Pesticides Using Rice Chaff as a Combustible Carrier)

  • 임희경;김용환;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32-338
    • /
    • 2004
  • 농약 원제, 왕겨, 무기산화제 및 아교 혼합 분말에 물을 가하여 반죽한 다음 성형하여 봉상 훈연제를 제제하고 훈연제의 연소성을 측정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산화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하는 봉상 훈연제는 11개의 농약에 대하여 빠르고 균일한 연소 속도와 높은 훈연율을 나타내었다. 연소 균일성, 연소 속도 및 훈연율을 고려할 때 봉상 훈연제에는 산화제로써 염소산나트륨이 가장 적당하였다. 가장 높은 훈연율을 나타내는 산화제 첨가비는 농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연소 속도가 다른 훈연제가 훈연율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왕겨를 가연성 담체로 한 훈연제는 $50^{\circ}C$에서 60일간 보관하였을 때 대부분 유효성분의 경시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하였다. 연소실, 냉각기, 포집병 1, 여과기, 포집병 2, 포집병 3, 포집병 4, 응축기 및 진공펌프로 구성된 연기 포집 장치는 연소시 연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훈연제의 훈연율 측정에 적합하였다.

BioRational Approaches for Insect Control

  • Bowers, William-S.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9-303
    • /
    • 1992
  • Investig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idespread pesticide use has revealed a virtue/vice relationship. Although many pesticides perform their function and disappear without harm to the environment, others persist beyond their useful purpose and cause direct of indirect hazard to man, domestic animals and wildlife. Concurrently, many pests have rapidly adjusted to chemical control practices through changes in behavior that avoid exposure to pesticides of throuth genetic selection for populations resistant to the toxicants. The prospect of losing control over insect herbivores and desease vectors and returning to the days of global hunger and disease is unthinkable. Fortunately, from basic studies of insect and plant biology many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afe, selective and environmentally pacific strategies for insect pest management are being realized.

  • PDF

토양에서 분리한 Paenibacillus spp. KPB3의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세균성 풋마름병 억제 효과 (Effects of a Soil-Born Paenibacillus spp. Strain KPB3 on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 석정기;;이선화;;박덕환;조준모;허장현;김병섭;임춘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3-319
    • /
    • 2006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의 토마토 풋마름병이 다발생한 포장으로부터 건전한 토마토 뿌리를 채취하여 약 200개의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들에 대한 저지원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풋마름병원균 (Ralstonia solanacearum)에 항균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KPB3 균주를 선발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조사 와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Paenibacillus spp. 균으로 동정하였다. KPB3균주의 활성적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포트 실험에서 KPB3 균주를 토양 관주처리 결과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구의 방제효과가 66.7%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마토 포장에서의 방제효과 시험은 2006년 봄과 가을에 2회 실시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풋마름병 발생은 가을보다 봄에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KPB3 균주 처리구에서 봄과 가을 각각 50%와 60% 이상 방제 효과를 나타내어 KPB3 균주는 토마토 풋마름병 억제용 생물 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Phytotoxicity and Translocation of Residual Diquat Dibromide from Sandy Loam and Loam Soil to Following Crops Cultivating in the Soils

  • Cho, Il Kyu;Kim, Won-Il;Yang, Hae-Ryong;Seol, Jae Ung;Oh, Young Goun;Lee, Dong-gi;Moon, Joon-Kwan;Cho, Woo Young;Kim, Kil 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9
    • /
    • 2021
  • BACKGROUND: Diquat dibromide is a fast-acting nonselective herbicide and plant growth regulator.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pesticide contamination in the following crops, the phytotoxicity and transition of diquat dibromide residue in soil into the following crops such as pepper, radish, lettuce and corn have been assessed through phytotoxicity trial and residual evaluation in the unintentional contamination of the higher residual diquat dibromide. METHODS AND RESULTS: The pepper, radish, lettuce and corn were cultivated in the sandy soil and loam soil where the 35 mg/kg and 90 mg/kg diquat dibromide were applied, respectively. Mild growth inhibition symptoms were observed in radish, lettuce and corn crops at the 90 mg/kg- diquat dibromide treatment on the 30 day of cultivation. Diquat dibromide was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QTRAP (LC-MS/MS). The recovery rates of diquat dibromide from soil and crop were determined within range from 89.1 to 116.4%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less than 14.7%. Diquat dibromide residues in soil were found to be 23.90-30.22 and 69.59-82.57 mg/kg from the 35 mg/kg and 90 mg/kg of diquat dibromide-treated soil, respectively after 30 days of crop cultivation. This result implicates that diquat dibromide did not convert to metabolites and remained mostly in the soil, even though it was partially decomposed during crop cultivation. In addition, the diquat dibromide in pepper and radish that were grown for 47 days, and lettuce and corn that were cultivated for 30 days were detected to be 0.01 mg/kg or less in the sandy loam and loam soil where the 90 mg/kg diquat dibromide was applied. CONCLUSION(S): Diquat dibromide did not cause severe phytotoxicity in the following crops as well as it did not uptake and distribute to the following crops, even though it was considered to be residual in th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