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arization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4초

퍼지의 사다리꼴 타입과 영상 단계적 분할을 이용한 동적 적응적 이진화 방법 (Dynamic Adaptive Binarization Method Using Fuzzy Trapezoidal Type and Image Stepwise Segmentation)

  • 이호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70-675
    • /
    • 2022
  •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binarization method to improve image recognition rate. The research goal is to minimize the information loss that occurs during the binarization process, and to transform the object of the original image that cannot be determin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to an image that can be judged. The proposed method uses a stepwise segmentation method of an image and divides blocks using prime numbers. Also, within one block, a trapezoidal type of fuzzy is applied. The fuzzy trapezoid is binarized by dividing the brightness histogram area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bershi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loss was minimized in general imag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verted binarized image expressed the object better than the original image in the special image in which the brightness region was tilted to one side.

앤드인 탐색 스트레칭과 퍼지 시그마 이진화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 충수 추출 (Extraction of Appendix from Ultrasonographic Images using Ends-in Search Stretching and Fuzzy Sigma Binarization)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81-128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충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충수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은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앤드인 탐색 스트레칭 기법, 블록 이진화, Grassfire, 팽창 연산을 이용하여 복부 근육의 최하단 근막 부분을 추출하여 제거한 후, 퍼지 시그마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의 객체화 및 객체 제거를 통해 충수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복부 초음파 영상에 적용한 결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충수 영역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분 지역 이진화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Part Binary Algorithm)

  • 이선범;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4
    • /
    • 2015
  • 바코드 영상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이진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기존 이진화 방법에는 글로벌 임계값 이진화 방법과 지역 임계값 이진화 방법이 있다. 글로벌 이진화 방법은 하나의 임계값을 사용한다. 바코드 영상에서 부분적으로 명도가 다를 경우나 blur가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진화 패턴정보가 유지되지 않는다. 지역 임계값 이진화 방법은 이진화 패턴 정보가 유지되는 반면 글로벌 임계값 이진화보다 처리속도가 느려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는 부분 지역 이진화 알고리즘을 제안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 지역 이진화 알고리즘을 하드웨어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Vivado를 통해 합성 하였다.

  • PDF

DP-LinkNet: A convolutional network for historical document image binarization

  • Xiong, Wei;Jia, Xiuhong;Yang, Dichun;Ai, Meihui;Li, Lirong;Wang, 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5호
    • /
    • pp.1778-1797
    • /
    • 2021
  • Document image binarization is an important pre-processing step in document analysis and archiving. The state-of-the-art models for document image binarization are variants of encoder-decoder architectures, such as FCN (fully convolutional network) and U-Net. Despite their success, they still suffer from three limitations: (1) reduced feature map resolution due to consecutive strided pooling or convolutions, (2) multiple scales of target objects, and (3) reduced localization accuracy due to the built-in invariance of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CNNs). To overcome these three challenges, we propose an improved semantic segmentation model, referred to as DP-LinkNet, which adopts the D-LinkNet architecture as its backbone, with the proposed hybrid dilated convolution (HDC) and spatial pyramid pooling (SPP) modules between the encoder and the decoder. Extensiv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recent document image binarization competition (DIBCO) and handwritten document image binarization competition (H-DIBCO) benchmark datasets.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DP-LinkNet outperforms other state-of-the-art techniques by a large margin. Our implementation and the pre-trained models are available at https://github.com/beargolden/DP-LinkNet.

자동차 번호판 이진화 방법에 대한 성능 비교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Binarization Methods for Vehicle License Plate)

  • 김민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9-17
    • /
    • 2009
  • 자동차 번호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번호판 이진화 방법들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관련 연구자들마다 효과적인 이진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유사한 시행착오를 겪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기존의 번호판 이진화 방법들을 구현하여 성능을 양적으로 비교 제시하였다. 이진화 성능 측정은 저수준 척도와 고수준 척도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이진화 자체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후속 단계에서의 유용성을 함께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진화 방법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도의 특성에 따라 번호판 영상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진화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조도의 강도보다는 조도의 균일성 여부가 이진화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도가 균열한 영상은 Otsu의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조도가 불균일한 영상은 파라미터를 보정한 Niblack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밝기 정보를 이용한 영상 이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age Binarization using Intensity Information)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21-726
    • /
    • 2004
  • 영상의 이진화는 문자 인식, 영상 분석 등 다양한 영상 처리 분야의 전처리 과정으로 자주 적용되고 있다. 영상 이진화는 임계치의 설정에 따라 처리 성능이 좌우되며, 대부분의 기존 이진화 방법은 밝기 값의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밝기 값이나 히스토그램의 골짜기를 임계치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양봉의 특징을 보이지 않거나 특정 영상을 추출하려는 경우에는 적절한 임계치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레이 스케일 영상에서 밝기 값을 여러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의 밝기 평균값을 구하고, 두 개의 구간에 대해 평균값 사이의 거리를 각 구간에서 평균값과 양극과의 거리 비율로 나누어서 계산된 값을 두 개의 구간을 합친 새로운 구간의 임계치로 설정한다. 최종적으로 하나의 구간이 생성될 때까지 구간 통합과 임계값 계산을 반복함으로써 이진화 임계값을 산출한다. 제안된 이진화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영상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이진화 방법들보다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적응 퍼지 이진화 (An adaptive Fuzzy Binarization)

  • 전왕수;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85-492
    • /
    • 2016
  • 이진화는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퍼지 이진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 창 내의 화소의 밝기 값 분포에 따라 ${\alpha}$-컷을 구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이진화를 수행한다. ${\alpha}$-컷을 구하기 위해 수행속도가 빠른 기존의 이진화 방법들을 이용한다. 기존 방법들로 구해진 임계치들을 퍼지 소속 함수들의 중심값으로 설정하고, 화소의 밝기값 분포를 이용하여 퍼지 소속 함수들의 구간을 결정한다. 결정된 퍼지 소속 함수들을 이용하여 ${\alpha}$-컷의 조정율을 구하고, 각 화소의 소속도에 따라 이진화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전경과 배경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전경의 손실이 적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퍼지 이진화를 이용한 IVUS 영상의 내막/외막 분할 (Segmentation of Intima/Adventitia of IVUS Image using Fuzzy Binarization)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514-1519
    • /
    • 2019
  • 혈관내 초음파(IVUS)는 인간 관상 동맥의 혈관 벽 구조를 관찰하고 평가하는데 적용되는 영상이다. IVUS는 정기적으로 관상 동맥에서 죽상 동맥 경화 병변을 찾는 데 적용된다. 혈관 구조의 자동 분할은 관상 동맥 장애를 감지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혈관 내 영상에서 퍼지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내막/외막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혈관을 탐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퍼지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지만 픽셀 강도의 상이한 균질성을 갖는 경우에는 평균 이진화 기법을 적용한다. 우리는 퍼지 이진화 결과와 평균 이진화 결과를 IVUS 이미지와 차별화하여 혈관벽의 내부/ 외부를 감지하기에 효과적인 자동 분할 방법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구현 결과로부터 Intima-Media Thickness (IMT) 또는 대상 영역의 부피와 같은 중요한 통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자 영상을 위한 효율적인 이진화 방법 (An Effective Binarization Method for Character Image)

  • 김도현;정호영;조훈;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77-1884
    • /
    • 2006
  • 영상의 이진화는 영상을 물체와 배경으로 구분하는 전처리 과정으로써, 처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물체를 규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처리과정이며 크게 전역 임계 값 설정 방법과 지 역 임계값 설정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역적 이진화 방법의 장점과지역적 이진화 방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문자 영역에 대한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이진화 방법을 제안한다. 한글 명도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지역적 이진화 알고리즘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더 좋은 품질의 문자 이진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Fast Algorithm for Korean Text Extraction and Segmentation from Subway Signboard Images Utilizing Smartphone Sensors

  • Milevskiy, Igor;Ha, Jin-You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5권3호
    • /
    • pp.161-166
    • /
    • 2011
  • We present a fast algorithm for Korean text extraction and segmentation from subway signboards using smart phone sensors in order to minimize computational time and memory usage. The algorithm can be used as preprocessing steps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binarization, text location, and segmentation. An image of a signboard captured by smart phone camera while holding smart phone by an arbitrary angle is rotated by the detected angle, as if the image was taken by holding a smart phone horizontally. Binarization is only performed once on the subset of connected components instead of the whole image area, resulting in a large reduction in computational time. Text location is guided by user's marker-line placed over the region of interest in binarized image via smart phone touch screen. Then, text segmentation utilizes the data of connected components received in the binarization step, and cuts the string into individual images for designated characters. The resulting data could be used as OCR input, hence solving the most difficult part of OCR on text area included in natural scene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binarization algorithm of our method is 3.5 and 3.7 times faster than Niblack and Sauvola adaptive-thresholding algorithms, respectively. In addition, our method achieved better quality than other methods.